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대일 Jan 25. 2024

일본 여행

   일본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박훈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글은 유용하다. 특히 일본을 통해 한국과 한국인을 보다 더 심도있게 자각하는 계기로써도 무척 유용하다.

   오래된 칼럼에서 박훈은 일본 사회 속 일본인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사회나 공동체보다 개인을 우위에 두고, 사회에 대한 개인의 비판, 저항, 이탈을 용인하는 것을 개인주의라고 한다면, 일본은 개인주의가 매우 희박한 사회이다. 소속집단보다 개인이 더 우선한다고 생각하는 보통의 일본인은 거의 없을 것이며, 집단을 상대로 대의 혹은 자기이익을 내걸고 투쟁하는 개인도 드물다. 우선 일본 사람들은 말수가 적으며, 입을 열어도 자기주장을 하려는 게 아닌 경우가 많다. 주변공기를 읽고서 그에 맞춰 말한다(분위기 파악이라는 일본말은  ‘空氣を讀む’, 즉 공기를 읽는다이다). 한국에서 분위기 파악 못하면 핀잔 좀 받는 데 그치지만, 일본서 공기를 읽지 못하면 진지하게(!) 주목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아웃된다.

   이런 사회에서 한 개인이 사회를 상대로 도도하게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거나, 사회 전체의 원리를 비판하며 그것을 초월하려는 행동이나 발상은 쉽게 나오지 않을 것이다. 이런 사회가 꼭 나쁜 것은 아니다. 모두가 모두를 배려 혹은 의식하며 질서와 규율을 지키고, 공동의 이익(예를 들면 국익)을 추구하기에 용이하다. 그 속에서 터져 나올 수 있는 긴장과 반발의 에너지를 무마하는 장치가 ‘고립의 허용’이다. 개인이 집단에 저항하여 집단전체의 원리를 왈가왈부하는 것은 용서하지 않지만, 그 원리를 좋아하지 않으므로 나는 따로 살겠다하는 사람들을 용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집단 전체의 원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 안에서이다. 교토대학생들이 면벽식사를 하도록 배려해주고, 어떤 친구가 도깨비 같은 패션으로 지하철을 타도 간섭하거나 나무라지 않는 것은 개인주의가 아니라 ‘고립허용주의’이다.(오타쿠는 사회에 당당하게 발언하는 ‘개인’들이 아니라, 허용된 고립의 공간에서 뛰노는 존재들이다) (<박훈, 역사와 현실-한국의 개인, 일본의 개인>, 경향신문, 2017.02.09 에서)


​   이에 반해 박훈은 한국인을 이렇게 평가했다.


​   그럼 한국 사회는 어떤가. 내가 일본에 유학할 때 도쿄대 교수 한 분이 “내가 알기로는 전 세계에서 자기주장이 가장 강한 사람들은 인도인과 한국인”이라고 했다. 당시에는 어쩐지 유쾌하게 느껴지지 않았지만, 생각해보면 한국사람들이 말 많고 목소리 큰 건 사실인 거 같다. 게다가 들어보면 죄다 자기주장이다. 또 자기가 속한 집단이나 사회에 대해 이의제기(다른 말로 하면 ‘딴소리’)하는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공동의 이익에 대해 당당하게(!) 자기이익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익숙하다.​

   그럼 한국은 개인주의 사회인가. 개인주의가 근대성의 중요한 지표라고 한다면, 한국은 일본보다 이 면에서는 더 근대적이고 선진적인가. 여기서 나는 곤혹스러움을 느끼는데, 근대성이든 개인주의이든 서양역사에서 유래한 개념들이며 이것을 곧장 동아시아사회에 적용하려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칼럼에서 나는 한국을 중앙(서울)으로 휘몰아쳐 올라가는 소용돌이 사회라고 말했다. 그 속에서 개인들이 분투하며 휘날리고 있다. 사태판단은 신속하게, 스스로가 해야 하며, 누군가 도움의 손길도 마땅치 않다. 확실히 한국의 개인들은 일본보다 풍파로 단련된 ‘자립적 주체’이지 않을 도리가 없다. 살아남기 위해서.

   한국은 개인주의 혹은 개인이 강한 사회이지만 그것이 만든 것은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다. 한국의 유서 깊고, 활력 있는 개인, 개인주의는 이를 뛰어 넘어 새로운 사회모델을 제시하 수 없는 것일까. 실패한다면 우리의 개인주의는 결국 ‘각자도생’으로 끝나고 말 것이다.(같은 칼럼)


​   다른 대학교 편입 필기 시험을 치르자마자 큰딸은 그제 친구 둘과 일본 도쿄로 3박4일 여행을 떠났다. 도쿄를 벗어나지 않는 자유여행이라지만 마리나베이 불꽃축제를 즐기면서 새해를 맞겠다며 다녀 온 싱가포르 자유여행처럼 일정을 쪼개고 쪼개어 발바닥에 땀이 나도록 여기저기를 들쑤시고 다닐 게 분명하다. 

   근데 싱가포르 갈 적엔 전혀 안 들던 생각이 일본행이라니까 괜히 발동한다. 큰딸 눈에 비친 일본인, 일본사회는 어떨지, 칼럼 쓴 필자가 분석한 것마냥 공기를 읽지 못하면 진지하게 주목의 대상이 되는지 궁금하다. 아니 너무 거창하다. 도쿄 거리를 걸으며 피부로 체감하는 일본사람 이미지라도 가감없이 듣고 싶다. 귀동냥으로 얻어 듣긴 하겠지만 딸내미 덕분에 일본에 관심 많은 아비는 모처럼 귀호강하게 생겼다.

작가의 이전글 권력이 벗겨지기 직전인 벌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