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옳지 못함을 넘어 '악'했다.
며칠 전에 개봉한 <1987>은 많은 사람들, 아니 거의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는 故박종철 열사의 고문치사가 주 배경이 되는 영화이다.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등등 실력파 배우들이 대거 출연해서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주제가 무거운 만큼 가볍게 영화를 즐기고자 하는 마음보다는 하나의 다큐멘터리를 본다는 마음으로 영화를 보았던 것 같다.
1987년 1월, 22살의 대학생이 경찰 조사를 받다가 사망했다. 증거를 없애기 위해, 박처장(김윤석)은 부검조차 하지 않고 시신을 화장하라고 명령 하지만 그날 당직 검사였던 최 검사(하정우)는 이를 거부하고 부검을 요청한다. 하지만 부검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권력을 부당하게 사용해서 부검 결과를 감추고 단순 쇼크사였다고 언론에 보도한다. 하지만 실제 부검 소견의 사망 사유는 고문치사였음이 명백했다. 차가운 남영동 대공분실에 갇혀 있는 진실을 알리기 위한 수많은 노력들을 그린 영화가 바로 <1987>이다. 그들은 모두 주인공이었다.
그들은 모두 주인공이었다
사실 나는 1987년도엔 태어나지도 않았다. 다큐멘터리와, 역사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들어보았을 뿐 최루탄이 굴러다니고 사람들이 피를 흘리며 비틀거리는 그런 거리에 있어본 적도 없다. 그런 내가 이 영화를 제대로 리뷰를 할 수 있을지도 지금 글을 쓰면서도 의심이 되고, 불안하다. 난 최대한 <1987>을 '선'과 '악'이라는 개념을 배제한 채 보고자 노력했다. 우린 모두 알고 있다. 이 세상을 선과 악으로 구분해서 바라보는 것만큼 의미 없고, 무모한 짓은 없다는 것. 그렇게 나름 비판적이고 객관적으로 영화를 보려고 노력을 했다. 그 상황에 있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더욱 조심했던 것 같다.
선과 악의 구분을 떠나, 그들은 옳지 못했다
하지만 이 세상을 선과 악으로 나눌 순 없지만, 올바르지 못한 행동, 절대 해선 안 되는 행동은 분명히 존재한다. 1983년 10월 9일 , 미얀마 아웅산 묘소 폭파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남한 내에선 북한에 대한 적대심이 굉장히 컸고, 이러한 정치적, 사회적 분위기는 대공 수사 기관의 어깨에 힘을 실어주었다. 하지만 간첩을 잡고자 설치된 대공 수사 기관의 존재 의미는 점차 변질되어갔다. '빨갱이'를 잡는다는 이유로,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는 수많은 젊은 대학생들을 고문했다. 선과 악은 구분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나름 중립적으로 영화를 보려 했지만, 그들이 한 행동은 누가 봐도 옳지 못한 행동이었다. '사돈의 팔촌까지 뒤지면 월북자 안 나오는 사람이 없다, 조심해라'라는 구절이 <1987>에 나온다. 빨갱이를 잡는다는 것은 그저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을 쥐도 새도 모르게 없애버릴 하나의 '명분'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생이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고, 사실조차 엄폐하려는 정부는 옳지 못함의 수준 '그 이상'이었다. 정말 이 세상에 선과 악이 존재한다면, 당시 정부를 '악'이라고 볼 수밖에 없었다.
진실은 감옥에 가둘 수 없다
언론과 경찰까지 장악해버린 정부를 상대로 맨몸으로 길거리에 나온 대학생들은 무기 대신 용기를 품고 행진했다. 과연 내가 1987년도의 대학생이었다면 최루탄 가스로 눈물이 줄줄 나고, 사복 경찰들이 곤봉을 휘두르는 그런 거리에서 구호를 외칠 수 있었을까. 같은 대학생이었던, 박종철, 이한열 군이 시위를 하다 목숨을 잃은 것이 집에, 학교 도서관에 있던 수많은 학생들까지 거리로 나오게 한 도화선이 되었다. 대학생들이 던진 수많은 달걀들은 움직일 것 같지 않던 커다란 바위에 금을 가게 만들었고, 끝내 무너지게 만들었다.
누군가는 이런 말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랑하는 가족들 두고 시위를 하다 죽으면 도대체 남은 가족들은 무슨 죄냐, 경찰한테 잡혀가면 남은 가족들까지 피해를 볼 수도 있는 상황에서 굳이 시위에 참여를 해야겠냐고. 시위에 뛰어든 청년들이 멍청하고 생각이 없어서 시위에 참가한 것이 절대로 아니란 말을 하고 싶다. 시위를 하다가 죽거나, 고문을 당하면 가족들한테도 피해가 갈 것을 알고 있지만, 그런 이유로 불의 앞에서 침묵을 지킨다면, 사회는 변할 수가 없다. 정의롭지 못한, 옳지 못한 사회가 바뀌지 않는다면 故박종철, 故이한열 열사와 같은 희생자가 누가 될지 아무도 모르는 것이다. 그게 내가 될지, 친구가 될지, 가족이 될지 모르는 그런 사회를 바꾸기 위해 자아를 '나'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나서 '우리'로 확장시킨 대학생들을 비난할 순 없다. 그들의 희생으로 인해 현재의 대한민국이 존재하는 게 아닐까.
어쩌면 정말 한국인이라면 봐야 할 영화일지도
사실 난 '한국인이라면 봐야 할 영화'라는 말을 굉장히 싫어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1987>은 예외로 두고 싶다. 이 영화는 어쩌면 정말 한국인이라면 봐야 할 영화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들 하는 미팅과 연애도 포기해가면서 길거리 위에서 최루탄을 마셔가며 목이 쉬어라 구호를 외친 그들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가 즐겁게 대학 생활을 하고 있는 게 아닐까.
1987년 뿌연 거리 위의 대학생들에게 늦게나마 이 말을 전하고 싶다.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