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네버엔딩 Jul 21. 2024

관계회복력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힘

엄마는 며느리 셋에 대해 불평 불만을 말하지 않는다. 내가 못마땅해서 이러쿵 저러쿵해도 엄 마는 맞대응하지 않는다. 엄마가 섭섭하거나 상처받을 것이 분명한 때에 내가 엄마에게 속상 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그만하면 됐어.” 


엄마가 늘 하는 말이다. 내 자식도 내 맘대로 못하는데 남의 자식은 오죽하겠느냐는 것이다. 남의 얘기 들으면 우리 며느리들은 훌륭하다고 하면서 그만하면 됐다고 한다. 그리고 또, 내 자식은 아무리 야단쳐도 돌아서면 그만이지만 남의 자식은 다르다면서 그래서 조심해야 한다 고 했다. 엄마는 어떻게 저럴 수 있을까 싶을 때가 많다. 내가 본 엄마는 회복탄력성이 기본 으로 좋은 데다가 관계회복력도 좋은 것 같다. 며느리가 아무리 밉상 짓을 해도 만나면 아무 일 없다는 듯이 대한다. 


나는 어렸을 때 뭔가 내 마음에 안 들거나 삐치면 입을 닫고 말을 안했다. 그러면 엄마는 제 풀에 꺾여 스스로 입을 열 때까지 내버려둔다. 야단도 치지 않고, 뭐 때문에 화가 났느냐고 묻지도 않는다. 그게 며칠이나 지속되어도 엄마는 마치 아무일 없다는 듯이 대한다. 엄마의 이런 대처 방식은 비판하고 싶은 마음을 자제하고, 어린 나의 감정을 인정하고 존중해 준 태 도에 기인했다고 생각한다. 


내가 아이들을 키워보니 엄마가 그런 걸 참은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둘째는 성격이 예민한 데다 감정 기복이 심해서 내 성질을 북돋울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왜 저렇게 화를 내는지 도대체 알 수 없을 때가 많았다. 늘 참아주려고 하지만 가끔은 나도 참기 어려울 때가 있다. 그럴 때면 나도 말을 안 한다. 둘째가 먼저 기분이 풀려서 내게 말을 걸어도 내 기분이 풀리지 않으면 나는 입을 열지 않는다. 분위기가 싸늘하다. 이건 엄마가 나 에게 하던 방식이 아니다. 이럴 때마다 엄마가 나에게 많이 참아 주었다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되고 엄마에게 감사한 마음이 든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엄마처럼 해야겠다고 마음 먹어도 안 되는 것들이 많다. 역량 차이는 어쩔 수 없나보다.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크고 작은 다양한 역경과 시련과 실패에 대한 인식을 도약의 발판으 로 삼아 더 높이 뛰어 오를 수 있는 마음의 근력을 의미한다(위키백과). 회복탄력성은 대인관 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인관계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갈등이 생겼을 때 탄력적인 사람들은 더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해결책을 찾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홧김에 성질을 내고 싶은 충동을 조절 할 줄 안다. 이렇게 형성된 관계는 서로에 대한 신뢰와 연결성을 높이고, 이것이 선순환되어 더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만하면 됐다는 만족감 때문에 엄마는 우리들을 닦달하지 않았던 것 같다. 돌아보니 나는 나의 아이들에게 이런 만족감은 가지지 못했다. ‘이만하면 됐다’가 아니라 ‘어쩔 수 없지’였다. 첫째는 공부 재능을 가지고 있지만 욕심이 없어서 그 능력을 발휘 못했으니 어쩔 수 없지. 둘 째는 공부 재능 대신 다른 재능을 가졌지만 그것을 활용해서 뭔가 이루기 위해 끈기있게 도전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니 어쩔 수 없지. 이런 식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 끝나지 않았고 언제 어떻게 자신들의 재능을 펼치면서 살아갈지 기대하는 마음은 여전히 품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길어진 인생, 길어진 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