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뉴아이스타일 Jan 16. 2017

굿? 이어(Goodyear)그리고
웰트(welt)

신발 이야기 2.


굿이어(Goodyear), 웰트 구조(Construction)


굿이어(Goodyear) 웰트(Welt)에서 말하는 구조는 신발 밑창에 상부(어퍼)를 부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신발 주요 부분]

*상부(The Upper) -신발 착용시 위에서 볼 때  실제 발을 덮고 있는 가죽 또는 다른 모든 소재로, 상부 자체는 많은 핵심 포인트 (뱀프, 발 뒤꿈치, 구멍 등)로 분류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신발을 신고 있을 때 발을 덮고 있는 모든 것


*안창, 깔창(The Insole) -신발을 착용했을때 발바닥이 접촉되는 신발 내부의 물질


*구두창, 밑창(The Outsole) -구두솔의 바닥과 외부의 물질로, 걷는 동안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


*웰트(The Welt) -신발 밑창 둘레를 따라 실행되는 스트립. 


*형상(The Last) - 구두의 뼈대로 기본 형태에서 시작, 마지막에 구두의 외형을 제공.  지속성은 설계 및 시공 모두에 사용



굿이어 웰트는 가장 오래된 제법 중 하나로 내구성이 좋고 기계 또는 손으로 제작할 수 있다.  YES? OR NOT?



Goodyear Welt 단독 신발의 건설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Charles Goodyear Jr. (Charles Goodyear의 아들)는 1869년에 Goodyear 기계를 발명했습니다. 찰스 굿이어(찰스 굿이어 2세)에 의해 발명된 굿이어( Goodyear) 기계는 가죽,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둘레를 따라 신발 밑창을 실행하는 공정에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웰트, 윗면, 밑창을 신속하게 바느질할 수 있었으며 곧 생산에서 손 재봉을 대체할 수 있었습니다. 웰트는 깔창과 신발 윗면 사이에 있는 끈입니다. 밑창의 둘레를 따라 바느질되어 있어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구두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킵니다. 


Goodyear welt는 전통적인 제조 방법에 비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것 중 하나지만, 신발의 진실성 때문에 일부 신발 제조 업체에서는 여전히 사용합니다.]

                                                                                      

           *이미지 출처 :프레데릭 J. 알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굿이어 웰트'

  


찰스 굿이어 (Charles Goodyear, 1800년 12월 29일 ~ 1860년 7월 1일)는 미국의 발명가로 코네티컷 주의 뉴헤이븐에서 출생, 고무 제조에 대한 여러가지 연구와 발명으로 오늘날 고무 공업에 크게 이바지 하였다.

금속 상사에서 근무, 고무와 유황이 작용하여 굳은 고무를 만드는 가황을 발견(1834년 ~ 1844년), 1836년  질산에 의한 생고무 표면 처리방법의 발명으로, 고무 표면의 점착성 때문에 일어나는 불편을 없애 주었으며, 1844년에 특허를 얻었다. 

1852년
에 보나이트를 발명, 그의 이름을 기념한 타이어 (tire)가 있다.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는 미국의 타이어 제조 회사로, 1898년에 프랭크 자이 벌링이  고무 개발자 찰스 굿이어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자전거 고무 타이어 제조로 시작하여 오랫동안 세계 최대의 타이어 업체로 이름을 알렸으나, 현재 타이어 제조에서는 일본과 프랑스에 뒤쳐져 사업을 다각화하였다."


우리가 알고 있는 그 굿이어 타이어? 그렇다면 어떻게 굿이어 기계가 신발의 제조에 사용되게 된 것일까? 어떻게 고무 제조 관련 발명가는 신발 제조 관련 기계를 발명하게 된 것일까?


'다니엘(Dancel:1847년 2월 14일에서 1898년 10월 13일까지)은 발명가로 독일에서 태어나polytechnical 학교에서 기계 공학및 기계공 거래를 배워 1865년, 해외 뉴욕시로 이주 2년이 안된 시점에 , 봉제 신발 기계를 발명했습니다. 
Charles Goodyear Jr.가 이 기계에 대한 권리를 구입하고 다니엘(Dancel)을 공장장으로 고용,  그후 많은 신발 제조 기계및 관련 장치를 이론화하고, 특허화 했습니다. 여기에 신발 둘레를 꿰매는 기계 (그중 하나는 stitcher로 변환됨)와 신발 밑창을 꿰맬수 있는 기계가 포함됩니다. 
1874년, 신발 둘레에 웰트를 꿰매기 위해 신발 웰트 스티치 가이드를 만들고 설치하며 사소한 개선 추가만으로 현재까지 사용 중이며, 1876년에 특허받은 신발 제조 기계로 자신의 가게를 오픈, 구두의 바깥 바닥과 어퍼(상부)를 바늘로 꿰맬 수 있는 기계를 발명했습니다. ( 이전 모델에 비해 개선, Goodyear Company의 요청에 따라 8년 기간동안 개발) 
다니엘은 1885년 굿이어 컴퍼니 (Goodyear Company)에 선물, 1891년에 그것을 따라갔고 일 년 후 곧바로 직선 바늘 기계가 배달되었으며 1895년경 Brooklyn에 본사를 둔 Dancel Machine Company를 개발했습니다. 
다니엘은 죽기 직전에 전술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고 바늘 한 획으로 잡힌 안창을 꿰맬 수 있는 기계를 만들고 다양한 신발 관련 스티치 형성 문제의 '다니엘(Dancel) 설루션'은 현재 있는 토대인 '굿이어 웰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는 또한 철조망 펜싱, 스카이브, 게이지및 마크 가죽을 제조하고, 가죽 단추 구멍을 만들고, 문질러 유형을 만들고, 바다표범에서 털을 제거하도록 설계된 기계를 공동 특허했습니다.'
-출처: 위키 백과 및 참고 문헌-




[굿이어 웰트 구조]

*신발의 상부와 깔창 사이의 둘레를 따라 바느질하는 기계와 신발의 밑창과 어퍼를 한 획으로 꿰매는 데 사용하는 굿이어 기계는 굿이어 2세가 다니엘에게 특허 권리를 구입한 기계로 현재까지 별다른 추가 없이 업그레이드만으로 충분히 사용하고 있다. 


즉 Goodyear welt 구성은 신발의 깔창에 솔의 부착점으로 접착된 캔버스의 윗부분과 캔버스(gemming)의 띠를 꿰매는 작업을 포함, 웰트로 둘러싸인 공간은 코르크 또는 다른 필러 재료(일반적으로 통기성을 위해 다공성 또는 천공성)로 채워지고, 아웃솔은 모두 시멘트로 부착되어 스티칭 된다. 


굿이어 기계의 발명에서 신발 제조 기술 개발의 업그레이드는 오랜 세월 인류 문화적 배경에 걸쳐 완료 되었다.



*핸드 소운을 기반으로한 굿이어 웰트 과정 




고전적 굿이어 웰트 구조 제화 방식의 구현



1. 굿이어 웰트의 첫 번째 과정으로 깔창을 바느질하기 위한 준비


가죽으로 된 안창


굿이어(Goodyear) 웰트 구성 신발의 상부와 웰트(띠)를 꿰매기 위한 홀드 패스트(일반적으로 늑골이라고 알려져 있는 명칭의 구조물) 준비



굿이어 구성 신발을 위한 홀드 패스트


*린넨 테이프와 같은 보충제를 접착제로 깔창에 부착시켜 만든 홀드 패스트



맞춤 신발 구성을 위한 홀드 패스트


 *자르고 조각하여 만든 홀드 패스트(맞춤신발은 의뢰인 단 한 명의 라스트에 따라 제작하기 때문에 매번 홀드   패스트를 자르고 조각하여 만든다)


'굿이어 웰트 구조 신발에서 홀드 패스트는 대부분 반복 생산과 대량화 생산을 하기 때문에 린넨 테이프와 같은 보충제를 접착제로 깔창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어떤 점에서 신발의 완전성은 깔창에서 린넨 깃까지의 접착제 본드의 강도에 기반한다.(클래식(고전)은 핸드 소운(Hand-sewn)을 기반으로 시작된다. 굿이어 웰트 구조 제화 방식의 이해는 굿이어 웰트 구조 제화에 대한 현대적 실용성이나 합리적 가치에 따른 정확한 판단 기준이 될수 있다. 물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스 노가 아닌 경계(boundary)에서 생각해 보는 것이다. )'



2. 상부를 깔창과 연결시키기 전 형상을 만드는 두번째 과정(상부를 마지막으로 늘린 다음 깔창과 함께 연결하여 수행)




3. 세 번째 단계는 상부의 형상과 웰트의 연결로 신발 고유의 실이 상부와 둘레, 웰트와 꿰매어진다. (밑창은 마지막 단계에 별도의 스티치를 통해 한 획으로 상부와 부착된다.) 





4. 네 번째 단계는 웰트 구조 방식에 형성된 캐비티(어떤 물체 속의 구멍 또는 층)에 코르크 재료로 충전한다.




웰트 방식에 캐비티(어떤 물체 속의 구멍) 형성 코르크 재료로 충전(세부 디테일이 많지만 이번 글은 굿이어 웰트 관련 사항만 )



5. 마지막 부분은 시멘트로 부착시켜 웰트와 스티칭 한다.








상부와 밑창은 연결시 잠금 장치 스티치로 특정 지점에서(오랜 착화나 마모에 의한) 웰트가 파손될 경우에도 체인이 풀리지 않는다.



*완성된 굿이어 웰트 슈즈




[웰트]

웰트는 깔창과 밑창 사이의 완충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래된 밑창을 떼어 내고 새 것을 부착할때 기계 또는 손으로 특정 기계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웰트 구조속에 형성된 여분의 구멍은 신발의 내수성과 지지력을 향상한다.)


굿이어 웰트 기계화를 구현했던 이유는 손으로 만드는 신발과 달리 굿이어 기계의 부분적 사용은, 반복적 생산이 가능한 제조 방식, 그에 따른 생산 속도와 시간 단축, 기성 생산, 대량화 가능등 속도와 효율성,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이익률을 높이는 것이었다. 


100년이 넘은 제조 방식을 지금까지 별다른 업그레이드 없이 선택하는 기능이나 기술적 이유는? 


굿이어(Goodyear) 웰트(Welt) 구성 제화 방식은 19세기에 산업혁명의 흐름에 따른 하나의 도구로 우리나라 역시 1970년부터 시작된 새마을 운동 전후 1968년에 도입됐다.


최근에는 몇몇 1류 양화점에서 주문 화도 수공이 아니라, 기계로 만들고 있는데 기계화를 처음 시작했기 때문에 [메이커]에서 수공 제품보다 품질 관리를 오히려 더 철저히 하고 있다. 

구두는 우선 고급 제품일수록 모양이 좋으면서도 발이 편하고, 또 오래 신을수록 튼튼하게 만들어져 있다.  

1968년 3월 8일 매일경제 [꿰매어서 만든 굿이어. 웰트 제품] 내용 발췌


현재 대부분 굿이어(Goodyear) 웰트(Welt) 기계를 사용한 웰트식 제화 방식은 하나의 장르다.  객관적으로 굿이어 웰트 제화 방식 하나만으로 어떤 특별한 방법이나 다른 방법보다 우수 하다고 할수 없으며 모두 각기 다른 목적과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수공예 신발 제화의 완성은 제화공의 역활이 가장 크다. 한번에 하나씩 손으로 만들기 때문에 품질과 세부 디테일등 장인 정신이 반드시 필요하다. 전통적인 수공예 신발 제조는 이제 신발의 산업적 대량 생산과 기계화를 위한 대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부분 대체, 기술자와 제화공, 소비자와 유통인 관계 구조로 만들어 지고 있다. 


굿이어(Goodyear) 엣지 공정은 남성 신발 제조를 위한 전통적인 핸드 웰트 방식의 대체 기계로서 반복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신발의 마지막 부분을 기계로 시멘트 또는 고강도 접착제로 밑창을 부착하거나 웰트로 스티치 한다.  결과적으로  깔창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대적으로 방수가 되어 어퍼가 실용적인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에 웰트로 스티치된 신발은 자동 기계 생산된 몰딩 밑창 신발보다 제조 비용이 비싸다.

작가의 이전글 라스트에 관하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