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용범 Feb 26. 2021

105. 이왕 태어났으니

사람 사는게 그리 대단한 일일까. 아침에 눈을 뜨면 하루가 시작되고 출근하여 오전 오후 보내다가 저녁이 되면 잠시 쉬다 잠이 든다. 성주풀이라는 민요에는 인생 뭐 별거 없겠냐는 듯 조상들의 삶을 초월한 듯한 통찰이 느껴진다.

‘낙양성 십리하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이며 절세가인이 그 누구냐. 우리네 인생 한 번 가면 저 모양이 될 터이니.’

이 가사로 보면 인생 참 허무하구나라는 느낌에 곡조가 많이 슬퍼야 할 것 같은데 그리 흥겨울 수가 없다.마치 ‘사람들아 그러니 너무 아등바등 살지 말지어다’라는 한 수 가르침을 주는 것도 같다. 조선의 왕릉이나 경주의 고분들은 그 속에 잠든 인물들이 누군지 알 수 없지만 서울 현충원에는 나에게 익숙한 대통령 네 분이 묻혀있다. 이승만,박정희,김영삼,김대중 대통령들이다. 이들과 내가 동시대를 살았다는게 새삼 낯설게 여겨진다.

그런데 달리 보면 사는게 참 대단하고도 경이로워 보인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은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순서에 맞추어 오가고, 밤 하늘을 보면 대부분 생명체라고는 없는 별들인데 나는 어쩌다 이 지구라는 행성에 태어나 살고 있는지 기적 같은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내 몸을 이루는 세포나 주변의 물질들을 쪼개고 쪼개다 보면 원자가 나오고 이어 양자와 전자, 쿼크까지 나오지만 대부분은 텅빈 공간들이다.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나는 어떻게 보고 듣고 맛보고 생각과 감정을 느끼며 살고 있는지 이 또한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삶이 대단한 거냐 하면 꼭 그런 것도 아니다. 그럼 사는게 별게 아니냐 하면 또 그런 것도 아니다. 내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산다는 게 참 허망하면서 대수롭지 않기도 하고, 놀랍고 경탄할 만한 일이 되기도 한다. 이것도 일체유심조라 해야 할까. 어떻게 살아야 하나라는 물음은 두 가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일단 몸뚱이는 물질계이니 먹이고 재우고 적당히 운동도 시켜주어야 한다. 인간의 삶이 다른 동물들 처럼 직접 사냥하거나 열매를 딸 일도 없고 집을 직접 짓지 않아도 되니 그나마 효율적인 삶이다. 다음으로 생각이나 감정은 보이지 않는 정신적 영역이니 물질계인 몸이 사그라지는 그날까지 나 자신과 주변에 대해 따스하고 감동하는 시간들로 채웠으면 좋겠다. 천지만물은 좋게 봐달라는 어떤 말도 하지 않는데 그냥 인간들이 빨간꽃 노란꽃, 좋다 싫다를 논하며 울다 웃다의 롤러코스트를 타는 것 같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는게 내가 보는 세상이라면 이왕 태어났으니 좀 가볍고 재미나게 살아보면 어떨까한다. 성주풀이의 후렴은 이렇게 끝난다.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작가의 이전글 104. 노트에 대한 집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