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용범 Jun 26. 2023

기록에 대한 기록

“기록한다는 것은 지금 전두엽에 새기기 위함이지 기록하고 잊기 위함이 아닙니다.” 유튜브에서 기록학자 김익환 교수의 영상을 보던 중 들은 이야기다. 이 말은 내가 알고 있던 메모에 관한 내용과 다른 내용이라 관심이 갔다. 우리는 보통 잊기 위해 메모한다는 이야기를 들어왔다. 그의 영상을 두세 번 반복해서 돌려보며 기록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기에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김 교수는 기록을 일상 기록, 구상 기록, 지식 기록으로 나누었다. 하나씩 알아보자.


1. 일상 기록


하루를 보내면서 한 시간이나 90분 단위로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간단히 기록하라. 쉽지 않겠지만 이것이 쌓이고 쌓이면 사라지는 자신의 시간들이 기록으로 남게 된다.  


하루를 시작하는 아침에는 오늘 할 일을 4-5가지만 기록하라. 하루를 허투루 보내는 일이 없을 것이다.


2. 구상 기록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그 일을 어떻게 할 것인지 기록하는 것이다. 먼저 그 일의 목적을 기록하고 어떤 식으로 전개할지 일의 프로세스를 기록하라. 그리고 각 프로세스별로 어떤 아웃풋을 낼 것인지 기록하라. 일의 최종 결과물은 각 프로세스별로 나온 아웃풋의 총합이다.     


3. 지식 기록


책을 읽거나 강의를 듣는 등 새로운 지식을 익힐 때 기록하는 법이다. 중요한 것은 알게 된 지식의 내용을 기록하는 게 아니라 나의 생각이 가미된 기록을 하는 것이다. 읽거나 들으면서 동시에 기록하지말라. 6개 장으로 이루어진 300페이지 책이라면 50페이지 정도의 한 장이 끝날 때까지는 기록하지 말고 읽는데 몰입하라. 그 장이 끝나면 고개들어 읽은 내용과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라. 이것이 쌓이면 내면화된 자신의 지식이 된다. 인공지능 시대에 많은 지식을 알고 있다는 건 더 이상 중요한 게 아니다. 얼마나 그 지식으로 자신의 것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


그분의 강의를 들으며 그동안 알고 있던 기록에 대한 생각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되었다.

작가의 이전글 혹시, 지난날이 아쉬우세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