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미 Jan 19. 2016

제목 없음 4.

네 번째 이야기. 언니는 내게 ○○였다.


나는 부산함과 고독함에 익숙해져야 했다.

꽤나 모순적인 이 두 단어가 아무렇지 않게 융화되는 공간.

우리 집은 꽤나 이상한 곳이었다.


사람에 따라 전혀 다른 곳이 되어버리는, 마법학교 같은 그런 공간이었다.


언니와 함께 따스한 햇살을 맞이하며 눈 뜬 내 방은, 분명 따사롭고 포근한 공간이었다.


우리는 우리의 발을 맞대며 장난스러운 아침을 맞이하곤 했다.

여행 같았다.

언니와 함께 맞이하는 아침은 여행 같았다.

서로를 부리지 못해 안달이 나, 누가 먼저 침대 밖을 나가 모닝커피를 타 올 것인지,

그것이 우리 세계의 가장 큰 난제였다.

그때는 알 수 없었으나,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그 시간 속 내 방은 빛이 가득하다.


그 난제의 답은 언제나 ‘나’인 경우가 많았는데, 입을 삐죽 거리며 커피 2잔을 침대로 대령한 건 나였으니까.

언니는 내가 타 준 커피를 좋아했으니까.

내가 언니가 끓여준 라면을 좋아했던 것처럼.


만인의 기호식품조차 언니라는 꼬리표가 붙게 되면 그건 내게 가장 반짝이는 추억이 되곤 하였다

그저 라면이고 커피에 불과한 그 식품들에게, ‘언니’라는 수식어가 붙게 되는 순간.

마법이 일어난다.


그것은 곧 내게 잊지 못할 첫 명품 선물만큼이나 값진 것이 되어

제 멋대로 내 머리 속에 샤넬, 프라다, 구찌로 자리 잡는 것이다.

내 머릿속엔 샤넬, 프라다, 구찌가 왜 이리도 많은지,

손에 잡히는 명품은 하나 없음에도 기억에 잡히는 명품은 중국 부자만큼이나 풍족하다.


이런 생각에 웃음이 피식하고 나올 때면, 라면과 커피가 내게 수줍은 듯 말을 건네는 듯하다.


“저, 그냥 라면이고 커피인데요.”
“그래, 커피야. 아침마다 언니 모닝커피 탈 때는 네가 정말 싫었어.”
“그래,라면아. 알아, 너 그냥 라면이라는 거. 넌 급하게 먹을수록 맛있더라.”

언니가 집에서 나간 후, 내 방은 따스하고 포근했던 기억을 잃은 듯 텁텁해졌다.

무거운 공기가 방 전체를 감고 돌아, 방 안에 있으면 숨을 쉬기가 힘들 정도였다. 하얀 커튼 사이로,

똑같이 햇살이 들어와도 그 아침은 그냥 눈 뜨기 힘든 싫은 아침일 뿐이었다.


아침에게 얼굴이 있다면, 그건 분명 내가 싫어하는 누군가의 얼굴일 것이라고.

못 생긴 얼굴일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불 안에서 꼼지락거렸다.


엄마가 퇴원하신 후 엄마는 ‘주부’ 생활을 시작하셨다. 어렸을 때에도 받아본 적 없는 챙김을 다 큰 성인이 되고 나서야 더 받게 되었다.


이불 안에서 꼼지락거리고 있으면, 엄마가 모닝커피를 갖다 주시곤 하는데,

그러고 보니 언니가 나간 후 혼자 편하게 마신 모닝커피는 다 마신 적이 없다.

늘 한 입, 두 입 정도 마시고는 결국 남은 커피는 싱크대에 버려졌다.


언니와 모닝커피를 타지 않기 위해 벌이던 치열한 전투가 빠져버려서 일까


언니가 없이 맞이하는 아침은 더 이상 내게 여행 같지 않았고,

언니가 없이 맞이하는 내 방 안의 공기는 더 이상 포근하지 않았으며,

언니가 없이 마시는 모닝커피는 내 하루를 깨워주기에 역부족이었다.


그럼에도 잘 살아가는 걸 보면,

웃기까지 하는 걸 보면 역시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구나 했다.

그저 내 일상 속에 여행, 포근한 공기, 맛있는 모닝커피. 딱 그 정도가 빠진 정도.

그래서 조금은 쓸쓸해진 정도.


언니는 내게 여행, 포근한 공기, 맛있는 모닝커피였나 보다.


그런 것들이 내 일상에 결여된 후 글쓰기는 척척 진행되었다. 하나를 내어주고, 하나를 되받으니,

이건 무슨 정치 인가 싶었다.


사실 하나보다는 많이 내어준 것 같은데. 하고 어리광을 피워보기도 했다.


어찌 되었든, 언니에게는 언니의 시간이 있고 나에게는 나의 시간이 있으니 나는 살아야 했다, 잘.


그래서 부쩍 “생각보다 잘 이겨내었지?”하고 나 자신에게 관대함을 내어주기도 한다.


그리고 또 그것은 인정하기는 싫지만 인정해야만 하는, 내 곁을 다른 사람에게 내주었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는 대목이 떠오르는 부분이다.

그렇게 텅 비어 버린 공백을 누군가가 들어와 새로이 채워준다는 것은 참, 신기한 일이다.


이러한 마법을 파울로 코엘료는 “소울 메이트”라고 칭한 걸까.

라고 생각했다.



작가의 이전글 누군가의 우울함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