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젊은 시절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anderer Oct 05. 2021

문득 내 인생이 이렇게 끝날까 두려워졌다

영화 '괜찮아요, 미스터 브래드'


 자격지심은 항상 자기 전 침대 머리맡에 내려앉는다. 침대에서 뒤척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잡생각이 머릿속을 헤집는다. 아닌가? 그 반대던가? 여하튼 그 생각들이 발전적인 고민이라면 퍼뜩 일어나서 어디에 메모라도 해두겠지만 이건 그런 고상한 종류의 고민이 아니다. 내 선택과 결정의 정당성을 앗아가는 비열한 질투심이다. 시기와 질투는 강한 원투펀치를 날린다. 일말의 성취를 느껴 알차게 하루를 보냈다 한들, 자기 전에 그런 상상을 해버리면 끝장이다. 그 한방에 K.O. 오늘 하루 정말 열심히 살았는데 모든 과정이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눕기 전에 SNS로 슥 훔쳐봤던 지인의 일상이 눈앞에 사라지지 않고 아른거린다.


 질투는 풍부한 감정이다. 감정의 온도에 따라 천차만별의 이유를 갖는다. 예컨대 식어버린 질투의 본질은 불안이다. 고착화된 일상 속에서 돌파구는 사라진 것만 같을 때 눈에 들어오는 건 타인의 결괏값이다. 불안에서 시작된 질투심은 특별히 어떤 액션으로 이어지진 않는다. 불만족은 무기력으로 이어지고 망상은 꼬리를 문다. 때때로 질투는 강력한 힘이 된다. 동기부여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라이벌을 통해 발전적인 피드백을 자신에게 던질 수도 있다. 질투에 눈이 먼 사람은 기꺼이 자신을 다그칠 수 있다. 자신을 괴롭히는 데에는 별다른 이유가 필요 없다. 이 영화는 그런 이야기들을 건넨다.


 이 영화에서 특히 재밌었던 부분은 지극히 현실적인 감각으로 감정을 묘사한다는 데 있다. 브래드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폐부를 찌른다. 나름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사회에 공헌하는 일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지만 브래드는 불만이 있었다. 한때 동문수학하던 친구들은 이젠 비교조차 어렵다. 할리우드의 거물 감독, 헤지펀드사 대표, IT 회사를 팔고 마우이에서 지내는 친구. 백악관에서 일했던 친구는 이젠 교수다. 한가닥 하는 동창들과 비교하는 일은 멍청한 일이지만 그러고 나면 실패했다는 생각이 든다. 애써 그들의 인생 중 어느 한 부분은 실패했겠거니 넘겨 짚기에도 부질없는 일이다. 그럼에도 그들의 인생은 화려한 성공으로 점철되어 있으니까.


 과거의 일이기는 하지만 언론사를 운영하기도 했고 피바디 상을 탄 적도 있다. 지금은 비영리사업을 하고 있다. 영화에서 짧게나마 언급되는 브래드 씨의 인생 궤적이 흥미로웠다. 적어도 눈으로 보이는 그의 객관적인 위치는 나쁘지 않았다. 그가 문제로 삼는 건 조건이다. 브래드 씨는 조건을 상상하며 끝없이 가정에 빠졌다. 단순한 질투는 현재의 상태를 비교하는 데에서 그친다. '저 돈이 내 것이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저 지위를 내가 누릴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생각들은 먼지처럼 가볍다. 그렇지만 불안과 열패감이 만들어내는 환상은 단순하지 않다. 오히려 너무 디테일해 살아온 날들을 끌어안고 침몰한다. 선택할 수 있었던 과거를 시뮬레이션한다고 생각해보면 지금의 결과치가 얼마나 불만족스러울지는 명확하다.


 하필 그런 망상을 하는 때가 아들의 대학 면접을 위해 투어를 다니는 중이었다는 점은 극을 더 풍성하게 꾸민다. 대학, 싱그러운 젊음이 넘나드는 공간을 거닐며 브래드 씨는 더 짙게 망상에 빠진다. 대학생들은 여전히 이상적인 세상을 꿈꾼다. 우리가 바꿀 수 있다 혹은 바꿔야 한다는 생각들. 동시대를 살지만 어쨌거나 먼저 살아봤던 입장에서 해줄 수 있는 이야기들이 오간다. 이상과 현실의 간극에 대한 솔직한 감상은 청년에겐 다르게 다가온다. 좀 더 직설적이게 표현하면 꼰대의 변명이다. 한때 이끄는 사람이었던 거 같은데 지금은 남에게 아쉬운 소리를 하고 다니는 본인의 모습이 초라해진 것만 같으니까 속이 보이는 보호막을 친다. 그런데 굳이 그럴 필요가 있나?


 한 번 사는 인생에 이런 결과물이면 인생 망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은 한번쯤 하지 않나. 공들인 과정이 변수로 무너지는 순간을 마주하면 더욱 그 부질없는 망상에 집착한다. 무너져보면 조건을 바꿔본다. 최선의 결과물을 상정해두고 일생의 선택을 소거한다. 했어야 하는 일과 하지 말았어야 하는 일을 고른다. 그렇지만 분명한 건 돌아가서 선택을 바꾼다 한들 원하던 방향대로 흘러가진 않을 거란 점이다. 생각보다 인생에 능동적인 선택이란 게 많지 않다. 인생이 그런 식이다. '받아들이기 싫으면 어쩔 건데?'하고 몽니를 부린다. 물길은 거세고 내가 놓는 돌멩이 몇 개로는 그 흐름을 바꿀 수 없다.


 브래드 씨의 인생에 나의 과정이 겹쳐 보여 그런지 공감 가는 부분이 많았다. '오! 좋은 일 하시네요'하는 답변에 반응하는 일과 현실과의 간극을 생각하며 느끼는 감정들. 그 까끌까끌하게 씹히는 감정의 조각들에서 동질감을 느꼈다. 영화에서 같이 일하는 직원이 퇴사를 하면서 브래드 씨에게 이런 말을 했다. '좋은 일을 하는 것보다 차라리 돈을 많이 벌어서 기부를 하는 게 낫다'라고. 저기서 좋은 일이라는 표현이 비영리사업의 모든 과정을 평가절하한다는 생각을 했다. 이상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과 현실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상적인 방법. 이건 어디까지나 영역이 다른 문제라고 생각을 한다. 인생을 꼭 정량 평가로 계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 그의 입장에서는 재화의 형태 아니라 아쉬울 수야 있겠지만 부족한 인생은 아니다.


 처음엔 저 나이가 되었을 때 저렇게 될까 걱정했다. 결국 잘못 살았다고 후회하고 싶진 않았다. 살면서 시기가 맞지 않을 때도 있고, 사람이 맞지 않을 때도 있다. 멍청한 판단을 하는 때도 있고 완벽한 선택을 하는 때도 있다. 실수도 있고 실패로도 이어지겠지만 열패감을 갖진 말아야 한다. 무슨 일이든 일단 선택을 하면 최악은 면하고 차악에서 차선까지는 운에 노력을 더하면 보답받을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최선의 결과는 어디까지나 내 손을 벗어난 문제다. 브래드 씨의 말처럼 세상을 사랑할 수는 있어도 소유할 수는 없었다. 역으로도 가능하다. 세상을 소유할 수는 없어도 사랑할 수는 있다.


사진 출처 : 다음 영화 '괜찮아요. 미스터 브래드'

매거진의 이전글 고독의 시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