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북유럽연구소 Mar 12. 2018

김정은과 트럼프는 어디에서 만날까

Let's guess! 북미 정상회담지를 맞춰보아요!

뉴스를 보는데 자료화면에 스웨덴 신문이 보였다.


엥? 스웨덴이 김정은과 트럼프의 정상 회담지 후보라고? 

어제 우리는 평양으로 합의를 봤는데?ㅎㅎ 


해외 매체를 훑어보니 지금 북미 정상 회담의 후보지 맞추기가 유행인가 보다.  


#워싱턴포스트 

스웨덴이 가장 유력. “스웨덴과 평양의 오랜 관계, 그리고 스웨덴이 북한 내에서 외교상 미국의 이익 대변국으로 활동해온 점을 고려할 때” 양쪽 모두에게 특별히 거부할 이유가 없는 나라라는 점을 들었다. 그 밖에 후보지로는 스위스, 몽골리아 등이 있으며 양쪽 국가 모두에게 중립적인 나라여야 할 것.  


#뉴욕타임스

판문점 평화의 집


#AP 

스웨덴, 스위스, 아시아 도시 중에서는 베이징. 


#ABC 

국제해협 위에 배를 띄우고 선상 회담을 할 수도. 

(상상력이 풍부하네, 아님 과거 이런 예가 있나요?) 


전시장에서 이야기 중인 구보타 히로지씨 


사진가인 구보타 히로지Kubota Hiroji의 전시 개막식에 갔었다. 

인터뷰에 이어 저녁식사를 하면서 구보타씨와 재미난 이야기를 나눴다. 구보타씨는 아시아인 최초의 매그넘 작가로 1978년부터 23차례나 북한을 오가며 북한을 기록해온 분이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삼대에 이르는 북한 지도자 세 사람을 모두 만나 사진을 찍었고 김일성의 특별허가를 받아 다른 어떤 작가보다 자유롭게 북을 드나들며 남들이 보지 못한 곳도 카메라에 담았다. 요 몇 년 사이에도 북한을 몇 차례 방문하셨다.  과거 3년 가까이 함께 일한 인연이 있어 이제는 친구 같고 선생님 같은 분이다.  


평창 올림픽으로 시작해 남북관계와 북미관계로 이야기가 흘러가자 처음 듣는 재밌는 이야기가 쏟아졌다. 구보타씨가 북한에 촬영을 하러 갈 때 특히 민감한 주제를 촬영하러 갈 때면 늘 김영남이 나와 맞아주고 설명을 했다고 한다. 구보타씨 기억에 매우 합리적이고 균형감 있는 사람이었다고. 


구보타씨는 와세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했고, 사진가로 온 세계를 다니며 촬영을 해온 덕에 국제정치와 외교에 해박하다. 일본인이기 때문에 나와 역사나 정치 이야기를 하는 걸 매우 조심하지만 그래도 국제정세 이야기는 단골 대화 주제였다. 구보타씨 친구들 중에 정치인(일본내 좌파)과 외교관이 많아서 그런지 가끔 재밌는 이야기를 주워듣기도 했다. 


마침 어제 발표된 김정은과 트럼프의 북미 정상회담 이야기가 나오자 두 사람이 어디서 만날 것인가가 화제에 올랐다. 구보타씨는 망설임 없이 “평양”이라고 답했다. 


> 워싱턴: 김정은이 워싱턴에 갈 가능성은 희박하고, 

> DMZ: 가깝지만 너무 군사적 냄새가 나고, 

>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지라서 한 번 더 쓰기는 그렇고,

> 서울: 북미 정상회담이라 그것도 좀 애매하고, 

> 베이징: 시진핑이 북미 정상회담을 반길 리가 없으며, 

> 평양: 평양의 배경을 생각하면 극적인 그림을 원하는 트럼프 성격상 받을 수도 있다. 

> 제네바: 평양이나 워싱턴이 부담스럽다면 중립국에서 만날 수도 있는데 그렇다면 김정은이 국제학교를 다닌 스위스 제네바가 유력하다. 


한편 워싱턴 포스트는 구보타씨의 분석과는 달리 만약 트럼프가 평양에 간다면 북한을 너무 고려해주는 거 아니냐며 반대파에게 비난을 당할 가능성이 크다고 썼다.  


유력한 후보지는 스웨덴! 

스웨덴은 북한에 대사관을 둔 몇 안되는 나라 중 하나이며, 중립국으로 DMZ에 감독관도 파견하고 있는 나라다. 특히나 평양의 스웨덴 대사관은 북한과 국교를 수립하지 않은 미국의 이익대표국 역할을 하면서 미국민의 영사 업무도 대행한다. 북한에 억류된 미국 시민의 귀환을 위한 협상도 미국을 대신해 스웨덴이 북한과 한다. 나 역시 처음으로 북한 사람을 본 곳이 북한 대사관이 있는 스웨덴이었다.  


마침 지난 주 스테판 뢰뷔엔 스웨덴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의 회담에서 북미간 협상에서 스웨덴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고 한다. 스웨덴 외교가에서도 스웨덴이 중재자의 역할을 맡는 것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한국 전쟁 이후 북한과의 대화와 지원, 관계 수립에 가장 큰 노력을 기울인 나라가 독일과 스웨덴이니 가능한 일이다. 독일에 비하면 스웨덴은 EU 내의 영향력 면에서도 국가 규모도 작아 오히려 중재자의 역할을 맡기에 적합하게 보이기도 한다. 


거기다 북한의 외무부장관인 리영호가 조만간 마곳 발스트룀 스웨덴 외무부장관을 만나러 공식 방문한다고 한다. 예정에 없던 방문이라 논의 주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시점상 이번 북미 정상 회담과 관련이 있지 않겠느냐 하는 추측이 나온다. 


암튼 구보타씨는 회담지로 평양이 될 가능성이 99%라고 했다. 다만 트럼프는 햄버거를 좋아하는데 평양에 가면 아마 냉면을 먹어야 할거라고ㅎㅎ 


어디가 될까요? 맞추는 사람에게 평양 냉면 사주기 어때요?

매거진의 이전글 2018 평창 올림픽 개막식 해외 반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