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부엌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루파고 Apr 14. 2023

이곳은 회사인가, 식당인가? 열다섯 번째 이야기

냉동실에 처박아 놨던 찬밥과 자연산 섭죽으로 몸보신하기

서해에서는 담치라고 불리는 국내 토종 해산물, 편하게 그냥 홍합이라고 하자.

동해에서는 섭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

그리고 평소 우리가 먹는 홍합은 토종 홍합이 아니라고 한다.

외국 선박들에 붙어서 들어와 토착화된 거라고~~



2주 전에 주문한 담치(섭)가 도착했다.

섭죽을 만들어 먹겠다는 일념으로 무려 보름을 기다린 셈이다.

한창 다이빙할 땐 쌀자루로 지고 나오던 때가 있었는데 이제 비싼 돈 주고 사 먹는 신세가 됐다.

홍합 류는 조류가 센 물속에서 번식한다.

처음 담치밭을 발견했을 땐 물속에서도 입이 쩍 벌어지는 광경이었다.

어마어마하게 큰 수중여를 가득 메운 담치들의 모습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조류가 세기 때문에 조금 때 작업을 많이 하는 편이고 가급적 물이 멈춘 간조, 만조 때 작업한다.

(합법적으로 했으니 오해는 마시라!)


100% 자연산이다.

담치(섭)를 양식한다는 소린 들어본 적이 없다.



일단 담치(섭)를 쇠수세미로 최대한 깨끗이 닦아 솥에 넣고 팔팔 끓인다.

섭죽에 들어갈 물은 일명 홍합탕을 쓰는 거다.



입을 쩍 벌린 담치(섭)를 꺼내 살을 발라낸다.

살이 토실토실하다.

누구는 그냥 1인당 하나씩 주자는 의견이 있었을 정도로 그냥 먹어도 좋겠다는 생각인데 그러고 보니 예전에 흔히 먹을 땐 한 입 가득 넣고 우물거리며 먹었던 기억이 난다.

맛 하나는 어디 비견할 데가 없다.



발라낸 녀석들의 뿌리에 칼을 찔러 넣어 떼어낸다.

잘 익어서 그런지 툭툭 잘 빠진다.



미리 끓이기 시작했던 죽에 먹기 좋게 자른 담치(섭) 살을 투척했다.

섭죽을 끓이기 위해 따로 밥을 한 건 아니다.

그날 먹지 못한 밥을 냉동실에 얼려 두었는데 너무 많아져 이렇게 소비하는 편이다.



최근 도입한 식판 위에 한가득 담아 한 숟가락 떠먹는다.

담치(섭)의 식감이 기똥차다.

또 해 먹자는 사람들...

이거 은근히 귀찮은 작업인데 전 직원들의 행복을 위해 또 이 한 몸 불살라 보리라.

코로나 때부터 회사에서 밥을 해 먹던 게 이젠 당연한 일이 되어 매일 밥을 해서 먹지만 이렇게 작정하고 사진 찍어 후기까지 올리는 건 정말 오랜만인 것 같다.

특이한 음식을 만들 땐 또 이 취미생활을 이어가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틀을 끓여야 만들 수 있는 영양백만점 돼지족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