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트펫 Jun 19. 2019

'심장사상충' 검색이 시사하는 의미

우선 그래프부터 하나 제시해드리겠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지난 2017년 7월 1일부터 2018년 5월 1일까지 반려동물의 심장사상충 관련 키워드 집합(초록색, 심장사상충/심장사상충약/사상충/사상충약/개사상충/고양이사상충/반려견사상충/반려묘사상충)와 구충제 관련 키워드 집합(분홍색, 강아지구충제/고양이구충제/반려견구충제/반려묘구충제), 뽕따 아이스크림 (보라색, 뽕따)에 대한 최근 1년간 네이버 검색량 시계열 그래프입니다. 


보시다시피 계절 편차가 낮은 구충제 계열과 달리, 여름과 겨울 사이 심장사상충 키워드 검색량 차이는 2배 이상 발생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죠.  

사진=Fotolia(이하)

심장사상충의 검색량의 계절 편차는 뽕따가 아닌 다른 아이스크림 브랜드나 비키니를 대입해봐도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발생합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인 뽕따가 아니더라도, 데이터가 조회 가능한 2016년부터 쭉 비슷한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데이터로부터 다음과 같은 거친 추론을 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에게 지속적인 예방의학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걸 인식하고 있는 보호자의 경우에도, '사상충 예방은 여름에만 하면 된다'를 전제로 행동하는 사람의 비율은 50%에 달한다는 겁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수의학과 관련된 단체 가운데 '사상충 예방은 여름에만 해도 된다'고 말하는 단체는 국내외를 통틀어 단 한 곳도 없습니다. 


교과서에도 그렇게 쓰여 있고, 제조사들 역시 어디까지나 연중 투약을 전제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죠.  


예방약이 아이스크림은 아닌데, 왜 수의학적 스탠더드와 '바닥 민심'은 계절별로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요? 보호자들이 예방의학에 대해 잘 모르고, 수의사들을 신뢰하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한다면 비슷한 약품인 구충제 카테고리의 안정적인 수치가 설명되지 않습니다.  


이 데이터는 약을, 정확히 말해 '동물용 의약품'을 '아이스크림처럼 사고파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훨씬 많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줍니다.  


정말 그래도 되는 걸까요?  


만약 동물용 의약품이 무분별하게 유통되고 있다면,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검색어 데이터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의문이 아닐 수 없습니다. 

※ 본 콘텐츠는 양이삭 수의사(yes973@naver.com)가 노트펫에 기고한 칼럼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에디터 김승연 <ksy616@inbnet.co.kr>


매거진의 이전글 호주의 반려견 사료 스캔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