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륜 Oct 25. 2021

모든 것을 다 가진 왕은 어떻게 할까?

<수학의 감각> - 박병하

  나는 문학과 사회과학 분야 책을 좋아한다. 도서관에 가면 평소에 덜 읽는 자연과학•기술과학 서가에 가서 슬렁슬렁 있어 본다. 그러다 눈에 들어오는 책이 보이면 슬쩍 빌린다. '지극히 인문학적인 수학이야기(부제)'인 책의 첫 장이 마음에 남아 메모한다.






  1장. 안 된다는 생각이 가능성을 밀쳐 낸다: 무한으로 상상하기



  즉 무한이란 '수가 점점 커지고 있는 과정'이 아니라 '이미 구현된 실체'로 인식하는 관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을 쉽게 드러낸 예가 0.9999…다. 소수점 다음에 9가 무한히 있는 수이다. 첫 번째 관점인 '9가 계속되는 과정'이라고 보면 9가 아무리 계속되어도 0.9999…은 1이 될 수 없다.


  반면 9가 '이미 무한개 있다'고 보면 이 수는 분명 1이다. 이 관점에서  0.9999…는 1의 다른 표현일 뿐이다. 이것이 믿기지 않는다면 피자를 배달시켜 보면 된다.


  피자 1개를 시킬 때마다 그 안에 쿠폰이 1장 들어 있다고 가정하자. 쿠폰을 10장 모으면 피자 1개를 공짜로 준다. (…) 나에게 쿠폰 9장이 있다고 하자. 나는 친구에게 쿠폰을 1장 빌릴 수 있다. 빌린다. 쿠폰 10장이 되었다. 그것으로 공짜 피자를 받는다. 그 안에 있는 쿠폰 1장을 꺼내서 친구에게 돌려준다. 다시 말해 쿠폰 9장은 쿠폰 없이 주는 피자 1개와 같다. 이와 같이 어떤 무한을 과정이 아니라 한 덩어리의 실체로 본다는 것은 말장난이 아니라 중요한 사고의 전환을 뜻한다.


  언뜻 봐서는 0.9999…가 1보다 살짝 작다는 생각과, 1이라는 생각 사이에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지만 중요한 문제에서 자주 그렇듯이 작은 차이가 큰 차이를 유발한다. (…) 무한을 머릿속에 도입해 상상하는 것은 단순한 놀이가 아니다. '이건 말도 안 돼'라는 생각은 상상력을 좀먹는다. 이런 태도를 가진 사람들에게 조언하고 싶다. 머릿속에 무한을 데려와 가정해 보아야 한다고. "이건 말도 안 돼!"라고 말하는 순간 자기 스스로 상황을 말도 안 되게 만들고 있는 거니까. (…) 그중 첫 단계가 무한 도입하기, 일명 '크로이소스는 어떻게 할까(What would Croesus do)?'라는 사고 습관이다.


  문제가 닥치면 제약조건이나 유한한 자원을 먼저 보려 하지 말고 모든 것을 다 가진 왕 크로이소스가 되어 보라는 뜻이다. 이제 우리가 가진 자원은 구현된 무한이며 그래서 무엇이든 다 할 수 있게 되었다. 문제를 다시 보자. 불가능의 요인은 모두 녹아 버렸다. 우리가 서 있는 상상의 공간은 툭 트였다. 걸리적거릴 것이 없다. 자신도 모르게 제약 조건에 두었던 시선이 순식간에 가능성으로 옮겨 간다. 큰 수를 가져와 상상하고, 무한이 구현된 덩어리라고 상상하라. 무한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리라. (p. 20-26)






  상상은 무한이고 자유다. 불가능 요인을 살펴 가능성을 따지는 정도를 지나, 모든 것을 다 가진 자라면 어떻게 할지 생각해 보면 새로운 방법이 떠오르기도 한다. 내 머릿속은 내 것이다. 누구의 허락이 필요 없는 나의 세계다. 이곳에서 나의 유한한 시간을 무한한 공간으로 펼쳐보려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랑한다는 말을 지지하는 전제 행동은 참이어야 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