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용 Sep 13. 2020

협착증의 종류

도로의 어디가 막혔느냐 -디스크 대 협착증 - 

협착증도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종류가 있다. 그 위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분류체계가 있는 것이다. 이는 소수의 척추 전문가들만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그 진단과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므로 척추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 협착된 부위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중심성 협착증 (고속도로가 좁아진 경우)

둘째, 외측함요 협착증 (나들목이 좁아진 경우)

셋째, 추간공 협착증 (톨게이트가 좁아진 경우)


각각의 협착증도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병기를 나눌 수 있다. 

이중 중심성 협착증의 병기가 특히 중요한데, 이유는 노인성 협착증의 많은 부분이 주로 진행된 중심성 협착증이기 때문이다 [Schiaz 2010, Weber 2015].

첫째, 경증 협착증 (1기) – 각각의 신경근이 구분이 되며 뇌척수액 음영이 확실히 보임.

둘째, 중등도 협착증 (2기) – 각각의 신경근이 구분이 되나, 전체 신경낭을 차지하고 있음.

셋째, 중증 협착증 (3기) – 각각의 신경근이 구분이 안되나, 후방의 경막외 지방 음영이 보임.

넷째, 말기 협착증 (4기) – 신경근 구분도 안되고, 지방 음영도 보이지 않음.


이중 경증 (1기) 및 중등도 (2기) 협착증은 약물, 물리치료 및 주사치료 등을 포함한 보존요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만약 이 단계에서 시술을 권유받았다면, 해 볼만 하다. 과잉치료의 느낌이 있지만 어쨌든 효과는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증 (3기) 또는 말기 (4기) 협착증이 되면 얘기가 달라진다. 이경우 신경학적 파행과 같은 전형적인 증상이 동반된다면 기본적으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다. 보존요법 또는 시술은 실패 확률이 높다 [Schiaz 2010].


현실은 어떤가? 많은 노인성 협착증이 중증 또는 말기 협착증에 해당하지만 수술이 두려워서 또는 비수술 요법을 먼저 해야 하기 때문에 등등 갖가지 이유를 들어서 시술을 정당화하고 실제로 시행한 후 실망하게 된다. 단언컨대, 중증 또는 말기 협착증의 경우, 완치를 추구한다면 수술이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만일 보존요법을 한다면 시술을 하지 말고 비교적 합리적 비용이 드는 주사요법을 반복할 것을 권유한다.


나들목이 좁아진, 외측함요 협착증도 병기를 나눌 수 있다 [Bartynski 2003] (참고로 나들목이란 고속도로에서 지방도로로 전환되는 좁은 길을 말한다.)

경증 협착증은 외측함요가 좁아져 있지만 신경 자체의 모양은 유지되는 경우이고

중등도 협착증은 외측함요가 좁아져 있고 신경도 눌려있다. 

중증 협착증은 외측함요가 좁아져 있고 신경도 심하게 눌려있으며 뇌척수액의 신호 강도가 소실되어있다. 

역시 중등도 이상의 바깥쪽 협착증은 수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바깥쪽 협착증은 병기는 수술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기준이 되기는 어렵다. 


톨게이트가 좁아진, 추간공 협착증도 병기를 나눌 수 있다 [Lee 2010]. 

경증 추간공 협착증은 추간공의 수평 또는 수직의 양방향으로 신경 주변 지방이 소멸된 상태이고

중등도 추간공 협착증은 추간공 주변의 사방으로 모두 지방이 소실된 상태이며

중증 추간공 협착증은 신경 자체가 눌려서 납작해진 상태를 말한다. 

주로 경증일 때는 약물 요법 또는 주사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중등도 협착증일 경우 신경주사 요법을 우선 생각해야 하고 중증 협착증일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공통적으로 중심성, 외측함요, 추간공 협착증 중 어느 경우에 해당하든지, 중증 또는 그 이상의 병기를 보일 때에는 신중하게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옳다. 누구나 수술을 받기 싫어하지만 어쩔 수 없는 사실이며, 이경우 수술이 오히려 삶의 질과 수명을 늘리는 지름길이다.

협착증은 신중하게 병기에 맞추어서 치료 방침을 정하자.


한 줄 요약: 고속도로가 막히는 중심성 협착증은 서서히 진행하며 그 병기가 중요하고, 나들목이나 톨게이트가 막히는 국지적인 협착증은 통증이 매우 심하니 적극적인 치료를 요한다. 


<참고문헌>

Bartynski WS, Lin L. Lumbar root compression in the lateral recess: MR imaging, conventional myelography, and CT myelography comparison with surgical confirmation. AJNR Am J Neuroradiol. 2003 Mar;24(3):348-60. PubMed PMID: 12637281.


Lee S, Lee JW, Yeom JS, Kim KJ, Kim HJ, Chung SK, Kang HS. A practical MRI grading system for lumbar foraminal stenosis. AJR Am J Roentgenol. 2010 Apr;194(4):1095-8. doi: 10.2214/AJR.09.2772. PubMed PMID: 20308517.


Schizas C, Theumann N, Burn A, Tansey R, Wardlaw D, Smith FW, Kulik G. Qualitative grading of severity of lumbar spinal stenosis based on the morphology of the dural sac on magnetic resonance images. Spine (Phila Pa 1976). 2010 Oct 1;35(21):1919-24. doi: 10.1097/BRS.0b013e3181d359bd. PubMed PMID: 20671589.


Weber C, Rao V, Gulati S, Kvistad KA, Nygaard ØP, Lønne G. Inter- and Intraobserver Agreement of Morphological Grading for Central Lumbar Spinal Stenosi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Global Spine J. 2015 Oct;5(5):406-10. doi: 10.1055/s-0035-1551651. Epub 2015 May 6. PubMed PMID: 26430595; PubMed Central PMCID: PMC4577324.

 
 


이전 06화 디스크병과 협착증의 진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