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남수 Jun 07. 2022

불의 기억

 아궁이

닷새나 고향 산을 태운 산불을 보며 마음이 멀리 달려가서 ‘불’이 화마(火魔)가 아니라 추억이 되는 순간을 떠올려본다.


60여 년 전 내가 자라던 시절은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밥을 해 먹고 방을 덥히고 쇠죽을 끓였다. 여름에는 부엌에 불을 피우면 방이 더워지니 마당에 간이 아궁이를 만들어 사용했는데 해가 쨍쨍한 점심에 국수라도 삶으려면 머리에 흰 수건을 쓰고 줄줄 흐르는 땀을 닦아가며 불을 땠다. 겨울은 따뜻한 아궁이 앞이 그만이다. 그 시절의 고단함은 논외로 하고 여자들이 아궁이 앞에 쪼그리고 앉아 불을 때서 자궁 건강에 도움 되는 측면은 있었다는 말은 일견 수긍이 가는 대목이기도 하다. 

아무튼 마른 솔잎 한 줌을 넣어 성냥을 탁 켜서 밑불을 만든 후 솥 안의 음식에 따라, 가느다란 삭정이를 똑똑 꺾어 때거나, 쪼개 놓은 장작을 때기도 한다.


가장 고소한 순간은 남은 잔불 위에 석쇠를 놓고 굽는 갈치구이였다. 내륙지방이라 생선은 매우 귀한 음식이었기에 특별한 날에나 꼬리 쪽 한 토막 얻어걸리는 정도였지만 아궁이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음식이다.

무쇠솥 가에 뜨거운 김이 넘쳐흐르면 불을 끄고 잠시 뜸을 들인다. 이때 솥뚜껑을 열어 얇은 채반 위에 얹은 호박잎이나 계란찜을 살짝 올려 두면 뜸 드는 동안 맛있게 완성되었다. 틈을 준 후 다시 약한 불을 살짝 한소끔 때 주면 드디어 밥은 구수하게 익는다. 


불을 다 때고 난 아궁이는 입구를 잠그는 무쇠 뚜껑을 단단히 걸어 혹여 불씨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두었다가 시간이 지난 후 소복하게 식어있는 잿더미를 긁어내어 거름 만드는 헛간에 퇴비와 함께 섞었다.      



작가의 이전글 빗소리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