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닷츠 Feb 02. 2024

GA 데이터를 보는 PM에게 GTM이 필요한 이유_1

GTM (구글 태그 매니저)의 개념부터 이해하자

GTM (구글 태그 매니저)의 원리부터 이 도구를 GA과 함께 활용할 때 어떤 점이 좋은 지,

또 이 환경을 PM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몇 편에 걸쳐 작성할 계획입니다.


추천 독자:

* GTM을 처음 접하고 아직 업무에 사용해 본 적 없는 분

* GTM의 개념과 기본 원리를 쉽게 이해하고 싶은 분

* GTM 도입의 필요성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거나 설득해야 하는 분




웹 서비스의 성과를 측정하는 가장 흔하고 쉬운 방법, GA

유저를 위해 열심히 만든 기능이 잘한 것인지 판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웹 서비스일 경우 유저가 서비스 내에서 어떤 행동과 이동을 하는지 추적하면 된다.

그래서 많이들 사용하는 웹 로그 분석 환경이 GA (Goolge Analytics)이다.



웹 서비스에 GA를 설치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

: 해당 코드를 포함하여 배포하면 된다

예) 

- 유저가 메인 화면에서

- A 버튼을 눌렀을 때의 행동을 A_click 이벤트로 정의한다면,

- 누를 때마다 +1씩 카운트 되는 데이터를 GA에 보내야 한다.

> A 버튼 클릭 시 A_click 이벤트를 GA에 전송해줘~라는 코드를 작성 후 배포



하지만 이 방법의 문제점은


1. 코드를 직접 작성, 수정, 배포하는 개발자만 할 수 있다.

웹 서비스에서 추적하는 데이터 항목은 계속 추가/수정되기 마련이고 양이 방대하다.

PM/PO, 마케터, 데이터 분석가 등은 개발자가 아닐뿐 더러 코딩할 줄 모르는 게 당연하다.

GA 관련 변경사항이 생길 때마다 개발자에게 부탁하는 것도 비효율적이다. 



2. '배포' 자체가 자주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서비스를 '배포'한다는 것은 메모장에서 텍스트 수정하듯이 빈번할 수 없다.

정확히는 그렇지 않는 것이 좋다.


배포라는 것은 어느 정도 일정 규모의 코드/변경 단위를 묶어서 하는 것이고,

배포 과정 자체가 그렇게 가볍고 쉬운 것이 아니며

잘못 되었을 경우 유저가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서비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


개발 이해에 대한 글이 아니므로 더 자세한 이유 및 설명은 생략한다.

(개발자에게 짧은 주기로 계속 '이거 바로 배포해주세요'라고 하면 싫어할 것이다.)



그래서 GTM이 유용하다

GTM은 서비스의 배포를 거치지 않아도

별도의 GTM 관리 환경에서의 컨테이너라는 배포를 별도 시행하여

새로 정의하거나 수정한 이벤트 수집 환경을 서비스에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다.



GTM은 웹 서비스 위에 올리는 레이어다



https://www.washington.edu/accesscomputing/webd2/student/unit4/module3/layer_basics


포토샵을 조금 만져본 분이라면 레이어가 뭔지 알고, 익숙할 것이다. 계층을 뜻하는데 여러 장에 나눠 페이지를 갖고 이를 겹쳐서 한 장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개념이라고 단순하게 이해하면 된다.

웹 서비스의 버튼에 A_이벤트가 레이어로 덧씌워지는 것을 표현했다


GTM에 이벤트 관련 추가/수정 내용을 작성하고, 이 변경 내용을 반영하면 서비스 위에 GTM 레이어가 씌워지는 느낌으로 겹쳐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가 된다.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정확한 원리 설명보다 느낌적인 느낌의 예시로 설명해보겠다.

예를 들어, <제출하기> 버튼 클릭 시 A_이벤트가 발생하도록 하고, 이 이벤트 데이터를 GA로 수집하고 싶다고 하자. 위 예시 이미지에서처럼 GTM이 배포된 웹 서비스(우측)에서는 유저가 버튼을 눌렀을 때 그 위에 겹쳐진 GTM 의 내용도 실행이 되는 것이다. GTM 상에 해당 내용을 정의해놨다면 웹 서비스 코드 상으로 버튼에 이벤트 관련 내용을 작성해놓은 게 아니어도 상관이 없는 것이다.



GTM 상에 어떤 내용을 정의해놓는다는 것은 한 단계 더 정확도를 높여 '컨테이너'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컨테이너 안에는 변수, 태그, 트리거가 담겨 있는데 각각의 용도와 관계를 포함한 정확한 설명은 다음 편에서 이어 하겠다.



keyword
작가의 이전글 쿠팡 배송이 더 좋아진 단순하지만 실용적인 워딩 한 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