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자옥 Dec 11. 2020

가르치기보다 배우기

스스로 어른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도 이제 어른이야.”, “그래도 내가 너보다는 어른인데.” 또는 “어디 어른한테”라고 한다. 이런 사람들의 공통점이 하나 있다. 가르치는 걸 좋아한다. 틈만 나면 가르친다. 아는 게 생기는 족족 가르치고 싶어 한다. 어디선가 들은 얘기도 마치 자기 생각인 양 가르친다. 전생에 선생님이 되려다 꿈을 이루지 못한 건지. 묻지도 않은 걸 나서서 가르친다. 


막 상가 투자를 시작한 지인 한 명 있었다. 나이는 나보다 대여섯 살 정도 많았다. 투자가 좀 성공적이었는지 그는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상가 얘기를 했다. 거리를 걷다가도 이런저런 아는 척을 했다. 저런 자리가 명당자리라거나, 저런 덴 투자하는 거 아니라거나. 하도 신이 나서 말하기도 하고 마침 나도 관련 책 몇 권 정도는 읽은 터라 일단은 관심 갖고 들었다. 근데 듣다 보니 점점 얘기가 단순한 아는 척을 넘어 지루한 설명으로 이어졌다. 설명은 곧 설교로 넘어갔다. 심지어 중간중간 자기 말을 이해했는지 확인까지 했다. 더 이상 관심이 없어 대충 대답하니 큰일이라며, 이렇게 세상 물정 모르고, 돈에 관심이 없어서 되겠냐며 설교는 더 장황해졌다. 사실 그가 하는 얘기는 책 한 권만 읽어도 알 수 있는 내용이었고, 그쪽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법한 기초적인 이야기였다. 그만 모를 뿐. 그는 한동안 어딜 가나 상가를 비롯한 투자 얘기에 열을 올렸고, 마치 무지한 자들에게 하나라도 더 알려야 한다는 사명감이라도 있는 듯 열심히 사람들을 가르쳤다. 


한 선배가 있었다. 그는 나를 비롯한 후배들을 보면 그렇게 인생에 대한 가르침을 주려 했다. 사는 게 그런 게 아니라느니, 살아 보니 그런 건 하나도 중요하지가 않다느니.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게 뭐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글쎄요’라고 했더니 사뭇 진지한 표정으로 ‘사람이야’라고 할 때는 소름이 돋는 줄 알았다. 선배라고는 하지만 기껏해야 나보다 서너 살 정도 위인 그가 살았으면 얼마나 살았다고, 또 알면 뭘 얼마나 안다고 이런 말을 하나 싶었다. 그것도 인생에 대해서. 


가르치려는 습성은 꼭 나이 먹은 어른만 있는 건 아닌 듯하다. 회사에서 막내 밑으로 새로운 막내가 들어오면 예전 막내는 새 막내를 신이 나서 가르친다. 업무만 알려주면 될 것을 회사 생활 전반에 걸친 조언도 아낌없이 준다. 뭐 거기까지는 애교로 봐준다. 얼마나 좋고 신기하겠나. 처음으로 자기 밑에 후배가 생겼는데. 근데 가끔 “이런 게 사회야.”라며 꽤나 큰 어른인 척 삶의 태도까지 가르치려 들 때가 있다. 오버다 싶다. 보고 있으면 ‘저나 잘 것이지. 누가 누굴 가르쳐.’란 생각이 절로 든다.

© mohamed_hassan, 출처 Pixabay


어른들은 왜 그렇게 가르치는 걸 좋아할까? 왜 그렇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는 걸까? 나부터도 그렇다. 아이가 얼마 전 3D 프린터로 집을 짓는 영상을 보여주며 좀 충격적이라고 했다. 이런 게 일반화되면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겠다며 직업에 대해 좀 더 신중히 생각해 봐야겠다고 했다. 얼마나 기특한 일인가. 혼자서 그런 생각을 다하고. 같이 신기해하고, 공감해 준 걸로 끝냈어도 될 걸 난 굳이 몇 마디를 더 했다. “그러니까. 그래서 사람이 미래도 내다볼 줄 알아야 하고. 시대 변화도 빨리 캐치해야 하는 거야. 그러려면....” 내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아이가 말했다. “응!” 왜 그랬을까, 뒤늦은 후회를 했다. 기껏 자기 의견을 내놓은 아이에게. 그 얘기는 거기서 끝이 났다. 


그만 가르치자. 나만 알고 있다는 생각은 버리자. 큰 착각이다. 내가 아는 정도는 남들도 다 알고 있다. 혹시 모르고 있더라도 살다 보면 곧 알 것들이다. 그리고 몰라도 사는 데 크게 지장 없다. 그거 모른다고 그 사람 인생 어떻게 되지 않는다. 쓸데없는 걱정은 안 해도 된다. 가끔은 하도 가르쳐서 다 알고 있다고 하면 아는 사람이 그러냐며 다시 가르치려는 사람도 있다. 뭔가를 안 할 때는 몰라서 안 하는 것보다 별로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거나, 실천할 마음이 없어서 그런 경우가 더 많다. 그러니 굳이 다시 가르치려 들지 말자. 내가 가르치면 다를 거라 생각하는가? 무슨 근거로? 뭔가를 배울 마음이 있는 사람들은 비용을 지불하고서라도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싶어 한다. 아무나 할 수 있는, 아무데서나 들을 수 있는 얘기를 듣고 싶어 하진 않는다.  


또, 나이가 나보다 어리면 생각도 어릴 거라는 생각도 버리자. 생각과 경험은 나이와 비례하지 않는다. 평탄하고 부유하게만 살아 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자기가 하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모르는 나이 많은 어른을 많이 봤다. 이야기 나누다 보면 오히려 내가 뭐라도 좀 알려 줘야만 할 것 같다. 반대의 경우도 많았다. 나보다 한참 어린데도 어쩜 나보다 생각이 더 깊은지. 나는 이 나이가 되어서 느끼는 것들을 벌써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 걸 보면 난 뭐하고 살았나 싶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내가 가르치기는커녕 배워도 한참 배워야 할 것 같다. 


누군가를 가르칠 시간이 있으면 그 시간에 뭐라도 더 배우자. 책을 읽든, 좋은 강의를 찾아 듣든, 매번 만나는 사람들 말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 새로운 경험과 생각을 듣자. 


“최고가 되고 싶다면 읽고, 읽고, 또 읽어야 한다. 나이가 21살이건 51살이건 101살이건 상관없이, 뛰어난 사람이 결국은 이기게 마련이다. 그리고 뛰어난 사람은 모두 독서광이다.” <지금 하지 않으면 언제 하겠는가>에 나오는 말이다. 스스로 어른이라 생각한다면 나이가 21살이건 51살이건 101살이건 가르치기보다 배우는 데 힘써야 한다. 본인은 더 이상 배우지도 않으면서 남 가르칠 생각만 하면 그 모습을 본 다른 사람들은 배운다. 저렇게 살면 안 된다는 것을. 그걸 가르쳐줄 생각이었다면 말리지는 않겠지만 아니라면 가르치는 건 좀 그만하자. 그만 가르치고 나나 잘 하자.

작가의 이전글 인정은 받기보다 해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