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그러네 Nov 16. 2022

수능을 생각한다.

수능. 청년들이 십대를 마감하며 겪어야 하는 통과의례 앞에 온 나라가 거의 멈춘다. 날씨보다 마음이 훨씬 춥다. 수험생은 마음이 떨리고 부모는 가슴이 아린다. ‘최선을 던져라’ 응원하지만, 아무것도 해줄 수 없는 속내가 종일 힘들다. 실수없이 실력만큼 지르고 오기를 기원한다.


친구들이 경쟁의 대상이 되어버린 오늘이 밉다. 선생님도 제자들의 이 하루가 안타깝고, 가족과 친지들도 같은 마음이다. 이날은 온 나라가 몸살을 앓는다. 세 번째 맞는 코로나 수능. 수능만큼은 누구도 소홀할 수가 없다. 온 나라가 절묘한 긴장에 빠져든다.


수능의 ‘역할’은 무엇인가. 실력평가인가 소양인증인가. 대학입시를 위해 설정된 관문이지만, 실력을 평가해서 줄세우기의 도구로 삼는 일은 너무 낡은 생각이다. 대학 공부를 해낼 수 있겠는지 기초적인 소양을 인증하는 정도로 그 기능을 조절해야 한다.


대학에 들어가는 방법이 놀랄만큼 다양하다. 수능의 결과로 학생의 진짜 실력을 평가할 수가 이제는 없다. 겨울로 들어가는 길 스산한 아침에 서 있는 수능의 고전적인 모습은 유효기간이 지났다.


그 ‘하루’도 문제다. 몸이 아프거나 컨디션이 바닥인 건 용납되지 않는다. 돌발상황이 발생해도 오늘을 피하지 못한다. 엄청난 경사를 맞거나 깊은 슬픔을 당해도 수능은 수능이다. 무조건 오늘 치른다. 딱 하루 딱 한 번이다.


거른다면 온통 일 년을 기다려야 한다. 365일 가운데 딱 하루만 치러야 한다는 생각은 누가 만들었을까. 여지껏 그랬다 해도 이제는 바꾸어야 한다.


교육과 관련된 제도를 바라보는 정책적 시선이 어쩐지 느슨하고 게으르다.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세상에 우리 수능은 멈춰 서 있다. 생기발랄한 십대에게는 일 년에 적어도 몇 차례 기회를 주어야 한다.


대학이 무슨 성역인가. 고등교육을 위한 준비상태를 살핀다면서 이처럼 불필요한 긴장을 유지해야 하는가. 대학입시와 고등교육에 관한 결정도 과감하게 대학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  


대학입학을 위한 기본소양을 살피는 새로운 수능은 일 년에 수차 치를 수 있도록 하여, 학생도 교사도 부모도 훨씬 편안하고 유연하게 치러야 한다. 실수를 돌아보며 수정해 가는 값진 경험도 허용해야 한다.


일 년에 딱 하루 로또처럼 만나는 수능은 이제 접어야 한다. 딱 한 번 시험을 잘 쳤던 경험을 평생 붙들고 국민 앞에 무례하게 서 있는 사람들을 목격하지 않는가. 제도와 시스템은 시대와 세대에 어울리게 바꾸어야 한다.


오늘을 향해 달려온 수험생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기울인 수고와 노력에는 결실과 보상이 반드시 돌아오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꾸준히 실력을 쌓은 사람이 끝내 이기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 교육을 생각하면서 ‘한판의 경쟁’을 떠올리는 게 정상일까. 일등만 대접받는 교육은 교육이 아니다.


교육은 과정도 결과도 모두에게 뿌듯함과 보람을 안겨주어야 한다. 수능과 대입제도, 대학과 대학교육은 오늘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


다음세대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매거진의 이전글 놀 거리가 없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