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그러네 Dec 28. 2022

기대를 높이 건다.

2022년이 저문다. 정치가 국민을 편안하게 하지 못하는 가운데 해를 넘긴다. 갈등과 반목이 진행되는 속에서 새해를 맞는다. 세대와 지역 간에 격차를 확인하며 달력을 넘긴다. 선진국 문턱에 섰다는데 국민의 일상은 여전히 힘들다. 


정치권 언사에 민생은 없다. 국민을 언급하지만 진심은 보이지 않는다. 언론의 담론에 서민의 일상은 찾아보기 힘들다. 언론은 누구를 위하여 존재하는 것일까. 국민이 안 보이는 정치는 무엇에 목숨을 걸고 있을까. 정치의 진심은 누굴 위해 작동하고 있을까. 새해는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까.


정치와 언론이 유유상종(類類相從)을 극복해야 한다. 우리 편의 목소리만 들어서는 바꿀 방법이 없다. 생각의 지평을 열겠다는 다짐이 있어야 한다. 편견과 고집을 내려놓고 상대방의 생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당장은 힘들어도 차분히 들을 귀를 준비해야 한다. 진영논리에 빠져 하염없이 같은 목소리만 반복하면 국민도 나라도 나아질 방도가 없다. 


상대방이 항복하고 돌아올 가능성이 있을 턱이 없다. 반대편이 힘들면 중도진영의 생각에라도 마음을 열어야 한다. 나만 옳다는 고집으로는 국민 가운데 화합의 물꼬가 터지지 않는다. 온라인에서조차 차단과 봉쇄로만응대하면 나라는 하나가 될 방법이 없다. 끼리끼리만 뭉치는 관성을 떨쳐내야 한다. 다른 생각들이 풍성하게 드나드는 담론의 장을 펼쳐야 한다.


공격성향(攻擊性向)을 재고해야 한다. 작은 틈을 비집고라도 반박과 공격을 앞세우는 습성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 상대도 우리만큼 생각하지 않을까. 변화와 혁신을 바라는 마음은 같지 않을까. 결투와 총성을 바라지 않는다면 지금보다는 부드러워야 한다. 공격하고 돌아서서 사이다 맛을 고소해만 한다면, 발전과 진전을 기대할 수 있을까. 


일단 듣고 이성적으로 헤아리며 상대하고 응대하는 토론을 이어가야 한다. 민주주의는 어차피 협상과 타협의 기술을 기대하지 않았을까. 만남과 대화에는 조정과 조율이 필수가 아닌가. 공격과 타도가 아니라 경청과 협력의 묘미을 발휘해야 한다. 공격성향을 극복하지 않고는 협상의 기술을 써먹을 수가 없다.  


헌법정신(憲法精神)을 다시 헤아려야 한다. 헌법은 ‘모든 권력이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명시하고 있다. 권력이 정권이나 금권을 가진 이들에게 있지 않고 ‘국민’에게 있음을 분명히 한 까닭은 어디에 있을까. 현실적으로 가능해 보이거나 구체적으로 확인되지도 않는 듯 보이지만 굳이 ‘국민’이 권력의 원천임을 왜 적어놓았을까. 어렵더라도 ‘주인의식을 가진 국민’이 생각을 모아 나라를 바르게 운영해 가기를 염원하지 않았을까. 우리는 나라의 주인처럼 일하고 있는가. 


보고 듣기도 하겠지만, 답답하고 필요하다면 의사소통의 통로를 살펴 개인적 의견을 개진하고 사회적 연대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그리하여, 사상가 벤담(Jeremy Bentham)의 생각처럼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민주주의를 통하여 구현되어야 하지 않을까. 새해 2023년에는 국민의 기대가 반영되는 나라가 되기를!



매거진의 이전글 성탄과 새해, 정치와 뉴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