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태규 Feb 22. 2024

이런 KBS에 시청료 내야 하나?

언론비상시국회의, 성명, 대통령 대담, 세월호 다큐

             ‘윤영방송’ KBS 시청에 수신료 내야 하나?



대한민국의 대표 공영방송인 <한국방송(KBS)>이 추락하고 있다. 이젠 공영방송이라고 부르기도 참담하다. “정권 화장실의 휴지 신세 같다”는 한 전직 방송인의 말은 정곡을 찔렀다.



윤석열 정권은 온갖 편법과 불법을 동원해 KBS 사장을 갈아치웠다. KBS 이사장을 쫓아낸 데 이어 5인 합의제 운영 원칙을 무시하고 방송통신위원회를 대통령이 임명한 위원 2인 체제로 운영, 법조언론인클럽 회장 출신의 친윤 언론인 박민 사장 체제를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KBS 전체 예산의 절반 가까이 되는 수신료의 ‘분리 징수’를 압박 카드로 활용했다. 그러고선 KBS를 장악한 후 분리 징수 유예로 선회하고 있다. 이번엔 ‘징수 유예’ 카드를 구성원들에게 ‘당근’으로 들이밀겠다는 건가?



박민은 사전 통고 없이 뉴스 진행자 등을 전격 교체했고, 노조와의 단체협약 사항인 임명동의제를 무시한 채 통합뉴스룸 국장 등을 일방적으로 임명했다. 100일도 안 되는 동안 그가 벌인 악행은 일일이 거론하기 힘들 정도다. 결국 KBS는 ‘친윤 방송’으로, 9시 뉴스는 ‘땡윤 뉴스’로 전락했다. 



설 명절을 앞두고 녹화 방영한 대통령과의 신년 대담은 그 축도이다. 대담자인 박장범 ‘KBS 뉴스 9’ 앵커는 국민이 알고 싶어 하는 것을 묻는 언론인이 아니라 권력에 아부하는 ‘기레기’의 전형을 보여줬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씨가 받은 명품 디올 가방을 ‘파우치’, ‘외국회사의 조그만 백’이라고 해 국민의 공분을 샀다. 4.10총선 뒤인 4월 18일 내보내기로 한 세월호 10주년 다큐멘터리는 이번 총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방영을 미뤘다. 총선 후 방영이 이번 총선을 좌우할 수도 있다는 억지 논리다. 



이 두 사례가 웅변하듯이 KBS는 더 이상 공영방송이 아니다. '윤영 방송'일 뿐이다. 이로써 공영방송 제대로 하라고 내는 수신료를 국민이 낼 이유도 사실상 사라졌다.



평생 언론인을 자임하는 우리는, KBS의 추락에 통탄을 금할 수 없다. 내부 구성원들의 무력함도 우리로서는 납득하기 힘들다. 대체 무슨 명분으로 수신료를 내라고 하는가?



전 국민적 ‘수신료 거부 운동’을 벌이기에 앞서, 안타까운 마음으로 KBS 구성원들의 각성과 분발을 촉구한다. KBS의 추락사를 면할 날갯짓을 보여달라. 



‘윤영방송’화한 KBS 시청에 왜 공영방송의 주인인 국민이 수신료를 내야 하나? KBS가 수신료 분리 징수 논란에서 벗어나는 정도는 하루빨리 공영방송으로서 국민 신뢰를 되찾는 것이다.  



                             2024년 2월 21일



       언론탄압 저지와 언론개혁을 위한 비상시국회의

작가의 이전글 일본신문의 실패에서 보는 한국신문의 미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