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못미 Oct 21. 2017

<문학의 기쁨>, 잡담1 + 평론의 문제

금정연, 정지돈, <문학의 기쁨>

"잘 쓴 책은 왜 안 더 비싼지 모르겠네" 
"잘 쓴 걸 어떻게 알아요?" 
"심의위원회 같은걸 만들면 되지 않을까요." 
"서서비행은 얼마에요."
"삼백만원."

- 이거 좀 재밌는 지점인데 일반적으로 상품의 가격은 수요-공급 원칙에 따라 결정된다. 한 권에 만원쯤 하는 책은 가격이 충분한가? 그럴리가. 가격대비 내용의 질을 놓고 따져보자면, 어떤 책의 가격은 매우 적절하고, 어떤 책은 터무니 없이 비싸고, 어떤 책은 터무니 없이 헐값에 팔리고 있을 것이다.

-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 생각나는대로 적어보자. 대량 생산 되어 희소가치가 없다. 틀린 말은 아닌데... 음, 희소가치가 없다는 설명보다는 일단 싼 값에 많이 찍어낼 수 있게 됐다고 하자. 그래서 싸졌다고. 책을 만들기 힘들었던 시절에는 굉장히 귀했고, 비쌌다.

- 그 다음으로는 개별 상품의 원가를 측정하기 곤란하다. 과자를 만든다고 하면, 원가에 부가가치를 좀 얹어서 팔거다. 그러나 소설의 경우 원가를 산출하기 곤란하다. 책을 찍어낼 때 인쇄비용에 작가의 인건비를 계산해야 할텐데 그게 좀 안될건 없겠지만 불가능에 가까울거다. 어찌어찌 계산이 된다고 해도 과자와는 성격이 좀 다른게, 과자는 고객이 그 과자를 섭취하면서 소모되지만, 책은 찍어내는대로 팔아치울 수 있는 이를테면 '무한증식하는 과자'쯤 되는거 아닌가 싶다. 아니면 처음부터 '인세'라는 비즈니스 모델은 투여한 노동력의 크기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생각해도 좋다.

- 여튼 어차피 많이 찍어서 손해볼게 없다면, 오히려 프레싱 결정 이후 추가비용은 덜 들어간다는 측면에서 일단 싸게 많이 파는 박리다매식 전략으로 전체 매출액을 올리는게 유리해 보인다.

- 오히려 만약 오히려 책 가격이 소장가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수요-공급 쪽의 영향을 받는다면 많이 찍어낸 책은 가격이 폭락할 것이다. 말이 안된다. 책의 경우 수요와 공급이 아니라, 수요와 총 매출액이 대응한다. 그래서 베스트셀러 코너가 존재하는 것이다. 많이 파는 것이 첫째, 책의 내용이 두 번째.

- 그러나 여전한 문제는 <오종택 자서전>과 <사피엔스>의 가격이 동일하다면 그건 좀 문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물론 <오종택 자서전>을 사려는 미친놈은 없을테지만). 정보 불균형은 독자 입장에서도 곤란하다. 가격이 품질의 지표가 되어주지 못한다면, 독자는 뭘 보고 고르지? 이 불쏘시개 같은 책을 가장 쉽게 따져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아무래도 평론일 것이다.

- 엥? 평론? 요즘 누가 읽기도 힘든 평론을 읽냐? 그리고 작품 고르겠다고 평론집에 또 돈을 써야한다는 무한 루프에 빠지게 된다. 그 평론을 평가하기 위해 평론의 평론이 필요하고... 아, 물론 네이버 블로그 이런 곳도 대안은 아니다. 게다가 평론은 작품의 가치를 온전히 반영하는가? <문학의 기쁨>은 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등단'이라는 제도 뭐시기 하면서 <관료제 유토피아>를 인용한다. 안된다는 뜻이다.

- 독자들이 각자 느끼는 효용의 포인트가 다르기 때문에 가치를 평가해서 가격을 매긴다는 발상 자체가 무용할 수도 있다. 이야... 그러면 그냥 어느 것에도 아무런 의미가 없는걸로 하자.

매거진의 이전글 유다는 정말 '유다'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