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못미 Oct 21. 2017

실체적 허구로서의 역사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우리가 역사를 배운다는 건 도대체 어떤 측면에서 도움이 되는 걸까예컨대 이런 거다군대에서 과거에 어느 지휘관이 부하들에게 무리한 요구를 했다고 치자중간 위치의 간부들은 그 명령에 이의를 제기하기보다는 그걸 가능하게 하는 쪽으로 자신의 합법적/비합법적 수단을 활용하려는 유인을 강하게 받는다이러한 경향은 그 아래 위계에 있는 간부에게로 차례로 넘겨진다그러나 명령의 상류에서 툭 던진 말은 하류에 이르러 일상을 질적으로 바꿔놓는 파급효과를 낳는다.
  
결국 시간이 흘러 최초 명령을 내린 지휘관은 부대를 떠나도 이 상황이 왜 이렇게 되어야 하는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 벌어진다단지 시스템을 관조하지 못하게 만드는 정보 불균형의 문제와 군대가 원래 그렇지 뭐” 하는 일상의 편견이 빚어내는 불합리다여기서 역사는 주머니 속에 넣어뒀다가 잔뜩 꼬여버린 이어폰 줄을 풀어내는 차분한 손길 같은 역할을 해줄 수 있을 것 같다맥락이 닿는 얘기인지는 모르겠지만 대표적으로 이제 와서는 너무도 당연한 자연권에 대한 얘기가 그렇다루소의 사회계약론에서 모든 인간이 존엄하다는 주장의 근거로 신이 그렇게 말씀하셨기 때문’ 같은 게 등장하지만오늘날 우리는 거의 개의치 않는다.
  
"대부분의 사회정치적 차별에는 논리적생물학적 근거가 없으며우연한 사건이 신화의 뒷받침을 받아 영속화한 것에 불과하다우리가 역사를 공부해야 하는 훌륭한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다.(211p)" 유발 하라리의 이 문장은 내가 앞서 설명한 모든 것을 압축해 담고 있다인간을 둘러싼 많은 신화들이 이와 같은 집단적 믿음과 구조적 망각(이 역시 일종의 역방향의 믿음이다덕분에 살아 숨 쉬며 우리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인간의 삶을 발전시켜왔고지탱해왔지만 한편으로 거대한 부조리의 온상인 허구’, ‘신화’, 혹은 가상의 실재의 실체에 대한 이해 없이는 사회를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에 대체 무슨 소용이나 있을까. ‘아니다아니다이것도 저것도 다 허구다’ 라고 말하는 건 좀 무책임할 수도 있다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호모 사피엔스 종의 행동원리와 그 행동원리가 그려온 역사의 궤적을 그리고 있다조금 더 들여다보면 인간이라는 종의 껍데기외피즉 제약에 대해서 강조하고 반복해 설명하는데 집중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그것은 아마 그 껍데기가 부서진 이후의 시대를 말하기 위한 사전작업은 아니었을까.
  
인류가 자연선택에서 지적설계로 넘어가는 순간 많은 것이 바뀔 것이다. "자유주의적 인본주의 신조와 생명과학의 최근 발견 사이에 엄청난 간극이 벌어지고 있다. (...) 우리의 사법 정치체계는 그런 불편한 발견을 대체로 카펫 밑에 쓸어 넣어 숨겨두려 노력하고 있다하지만 솔직하게 말해서우리는 생물학을 법학과 정치학으로부터 구분하는 벽을 과연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까? (335p)" 우리는 언젠가 우리 자신의 신체뿐만 아니라우리 자신의 욕망마음의 모양새 까지도 설계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사실 그 시대를 가장 잘 아는 사람들다시 말해 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이야말로 그 시대를 가장 모르는 사람들이다사후의 깨달음에 의해 필연적인 것처럼 보이는 것이 정작 그 시대에는 전혀 명백하지 않은 일이었다. (339p)” 미래의 모습을 도출할 수는 없지만 상상해볼 수는 있다상상이란 그렇게 강력한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공짜 점심은 없다, 기술도 그렇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