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현국 Jul 11. 2024

러시아 횡단 도로는 유라시아 대륙 평화의 열쇠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러시아 연방도로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평화를 위한 열쇠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러시아 연방도로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평화를 위한 열쇠입니다” - 러시아 뉴스통신사 리아 노보스티와의 인터뷰

​러시아 전역을 여행한 한국의 세계탐험문화연구소 소장 김현국

 

 한국과 러시아는 9월 30일 수교 32주년을 맞았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양국은 일관되게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협력을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은 올해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국제적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했지만 양국 관계의 미래는 무궁무진합니다.  유라시아의 정치 영역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다극화 운동은 실제로 한국에 유익하며 한반도의 통일과 유라시아 전역의 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러시아는 이에 대해 특별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RIA Novosti 특파원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20년이 넘는 여행의 역사를 통해 러시아와 러시아 국민에 대해 느낀 점과 한국이 유라시아 대륙에서 평화로 가는 길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마리아 디멘토바 인터뷰.

 

 - 외국인들, 특히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러시아에서 위험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 러시아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러시아 연방을 방문한 후 국가에 대한 이미지가 달라졌습니까?  나라에 대해, 사람들에 대해 여행하면서 어떤 인상을 받았습니까?

 

 - 러시아는 영토가 넓은데, 혹독한 자연조건 때문에 오토바이를 타고 여행할 때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1996년 첫 원정 당시 나는 러시아어를 몰랐고 러시아 도로와 도시에 대한 정보도 없었습니다.  러시아에 대한 적절한 자료를 찾지 못해 일본에서 출판된 러시아 연방에 관한 책으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내가 만난 러시아인들은 나를 정말 따뜻하게 대해주었습니다.  사람들이 항상 나를 돕고 싶어 했기 때문에 여행하는 동안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수없이 많은 러시아인들의 친절과 관심이 유라시아 대륙의 고르지 못한 길을 따라 험난한 길을 가는 저를 지탱해 주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습니다.

  나는 내가 대륙을 횡단면서 만난 사람들을 통해 러시아를 보았습니다.  길 위의 러시아인들은 모국어를 모르는 낯선 나그네에게 침대와 따뜻한 음식을 주저 없이 준비했고 고장 난 오토바이를 고치기 위해 애썼습니다.  특히 아침에 내가 멈춘 곳에서 짐을 오토바이에 실을 때마다 어디선가 사람들이 나를 흥미롭게 쳐다보며 "행운을 빕니다"라고 축복해 주시고 배려해 주시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어딜 가도, 어느 마을을 가도 좋은 '사마리아인'들이 있어서 그 길고 험난한 여정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러시아 바이커를 기억하지 않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러시아에서는 "오토바이를 타는 모든 사람은 형제입니다"라는 슬로건이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저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모스크바에 이르기까지 러시아의 많은 바이커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요즘 한국의 유튜버들이 러시아에 대한 많은 영상과 정보를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는데, 점점 더 많은 한국인들이 러시아에 대해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개인교류와 여행이 활성화된다면 이러한 추세는 더욱 심화될 것입니다.  러시아를 방문한 사람들의 인터뷰 및 기타 콘텐츠가 해외에서 이미지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러시아 정부가 러시아의 일상생활, 러시아 문화 및 역사를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는 사람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최근 들어 세계가 다시 다극화되고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어 '대 유라시아'라는 개념이 자주 거론되고 있습니다.  유라시아 국가들의 미래와 역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유라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대륙으로 세계 에너지 자원의 3/4을 차지하며 인구와 GNP는 다른 모든 대륙을 능가합니다.  미국에 이어 6대 경제대국과 미국 다음으로 국방비 지출이 가장 많은 6개국이 유라시아에 있다고 합니다.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국가안보 특별보좌관을 지낸 즈비그뉴 브레진스키(Zbigniew Brzezinski)는 유라시아를 20여 년 전 거대한 체스판에 비유하며 “미국의 위상은 유라시아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달려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세계가 다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세계의 중심이 된 유라시아가 국제정치의 주역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위상과 중요성에 비하면 규모 면에서 뒤떨어지지 않는 주요 지정학적 게임이 유라시아에서 펼쳐질 전망입니다.  최근 유라시아 대륙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들은 이미 그런 체스 게임이 시작되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 1996년과 2019년에 시베리아를 여행하며 2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는데, 러시아는 세월이 흐르면서 어떻게 변했다고 생각하시나요?

 

 

 - 1996년, 2001년, 2014년, 2017년, 2019년에 다섯 번 대륙을 횡단했습니다.  유라시아 대륙도로망을 자료화하고 있는 탐험가인 나에게 수년 동안 가장 놀라운 것은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고속도로망이 완성된 것입니다.  2010년 치타에서 하바롭스크까지 "아무르"(P297) 연방 고속도로의 개통은 블라디보스토크와 모스크바를 연결하는 러시아 횡단 도로망의 완성이자 아시아와 유럽을 하나의 노선으로 연결하는 역사적 순간이었습니다.

 남북한의 분단을 극복하고 '유라시아를 잇는 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사람으로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나에게 영웅과 같은 존재입니다.  나는 시베리아를 통한 연방도로 건설의 완성을 러시아의 "신 정책"(뉴딜)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이는 물류의 발전을 포함하여 많은 기회와 변화의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러시아를 관통하는 연방도로망이 유라시아대륙과 한반도의 평화를 이루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유라시아 평화의 열쇠, 도로, 이것이 어떻게 나타날까요?

 

  - 유라시아 국가들이 더 넓고 붐비는 도로망으로 연결된다면, 이는 대륙의 평화를 향한 돌파구가 될 수 있습니다.  유라시아 대초원의 고대 유목민들은 2500년 동안 유라시아의 무수한 길을 여행하며 공존의 정신, 다른 문화와의 조화를 발전시켰습니다.  길은 야만에서 벗어나 존재의 문명으로 나가는 출구입니다.  예를 들어, 국가 행사에서 그들은 정치적 성향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이웃 국가 및 이웃 민족의 손님을 태양 방향으로 앉혔습니다.  그들이 형성한 다원주의적 세계관이 되살아나 세계가 유럽중심주의가 없는 지구촌, 동서가 공존하는 지구촌이 되길 바랍니다.  러시아는 이와 관련하여 특별한 잠재력과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180개 이상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를 가지고 있는 곳으로 지역 간 최대 11시간의 시차가 있습니다.

 


 - 유라시아 대륙의 일부인 대한민국이 현 상황에서 어떻게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한국은 유라시아 대륙의 일부로서 하나의 특정 세력에 의존하지 않고 다른 국가와 협력해야 합니다.  다극세계는 공존이 우선인 한반도의 평화에 이롭기 때문에 우리가 강대국의 편에 서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한국은 평화로운 중재자의 이미지를 만들고 주변 강대국을 포함한 유라시아의 다양한 국가와 협력하여 신뢰를 얻을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1988년 노태우 대통령이 미국과 일본에 대한 일방적인 의존에서 벗어나 사회주의 국가들과 협력하기 시작하면서 유례없는 '북방정책'을 채택했을 때 좋은 경험을 했습니다.  특히 1990년 소련, 1992년에 중국과 수교했습니다.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지르는 이 길이 결국은 남북한의 평화통일을 향한 첫걸음이 되리라 믿습니다.  

미래는 정해져 있지 않으며 한반도는 통일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육로로 북한을 거쳐 모스크바까지 갈 수 있는 날이 올 것입니다.


러시아의 대표적인 뉴스통신사, 리아 노보스티(РИА Новости)와의 인터뷰


https://ria.ru/amp/20221007/evraziya-1821995338.html


​설명:

​로시야 시보드냐(러시아어: Россия сегодня)는 리아 노보스티(РИА Новость)에 기초를 두고 설립된 러시아 연방정부가 소유하고 운영 중인 미디어 그룹이다. 이 그룹은 스푸트니크, 리아 노보스티, 이노 SMI 등을 소유하고 운영 중이다.

 리아노보스티(РИА Новость)는 이타르타스와 함께 러시아 최대의 통신사였다.  현재는 러시아 시보드냐 미디어 그룹의 핵심 일원이 되어 있다


작가의 이전글 탐험가김현국, 119일 만에 유라시아 대륙횡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