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3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얼렁뚱땅 별미, 두부김치전

by 소미소리 Mar 13. 2025
아래로

신김치로 김치전을 하면 제맛인데, 아이들은 신김치를 좋아하지 않을뿐더러 신김치가 들어간 음식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아이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은 방학이라면 신김치전을 하고, 잘 먹지 않으면 다른 음식을 해주어도 상관없지만, 학기 중에는 집에 있는 시간도 많지 않으니 가능하면 한 번에 잘 먹고 편하게 먹을만한 음식을 해주고 싶어서 신김치 대신 겉절이로 김치부침개를 했다. 사실 나는 신김치를 송송 썰어 넣고 부친 부침개가 더 좋지만, 지난번에 넉넉히 담근 겉절이를 꺼냈다. 겉절이도 처음 담갔을 때는 다들 잘 먹더니, 담근 지 시간이 흐르니 그다지 반기는 사람이 없던 형편이었다. 겉절이를 한두 끼 먹을 양만 남기고 다 꺼내어 가위로 잘랐다. 굵은 대파 한 뿌리와 냉장고에 방치되고 있던 상추도 몇 장 잘라 넣고, 튀김가루로 반죽을 해서 부쳤는데, 너무 짰다. 김치국물로 간을 하면서 김치국물을 너무 부어버렸나 보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려고 냉장고를 열어보니, 며칠 내내 방치되고 있던 양송이버섯과 두부 반 모가 눈에 들어왔다. 음식이 싱거우면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으면 되지만, 짜게 돼 버린 음식은 해결이 쉽지 않다. 밀가루를 들이부으면 간이야 맞지만, 김치비율이 줄어서 제맛이 안 날 게 뻔하다.


짜게 된 반죽에 두부 반 모를 으깨어 넣고, 양송이버섯 세 개를 납작하게 잘라서 넣었다. 그리고 프라이팬에 앞뒤로 노릇노릇 부쳤다. 아이들은 기름을 넉넉히 넣은 걸 좋아하니 식용유를 충분히 둘렀다. 반죽에 으깬 두부가 들어가니 질척한 기운이 있어서 뒤집을 때 조심조심, 한쪽 면이 어느 정도 익어서 힘이 생겼을 때 뒤집는 게 좋다. 처음에는 중간 불, 뒤에는 약불에 한참 구우면 겉바속촉 부침개가 된다. 노릇하게 부쳐진 두부김치전을 먹어보니 의외로 입에 맞았다. 동그랑땡 맛과 다른 듯 비슷했다. 김치전과 동그랑땡의 중간쯤의 맛이다. 김치부침개처럼 쫀득한 맛은 없지만 부들부들하고, 양송이버섯의 식감이 두부와 잘 어울렸다. 워낙에 처음 반죽이 짰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 싱겁게 만들진 못했지만, 덕분에 김치전에 두부와 양송이버섯을 넣어도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둘째 아이만 새로운 맛을 싫어했고 나머지 가족들은 김치전보다 두부김치전을 더 좋아하며 먹었다. 실패를 통해 배우는 게 있다. 요리든 삶이든, 속상함만 가져다준 것 같은 문제가 사실은 인생을 더욱 윤택하게 만들어 가는 여정인 경우도 있다. 생각 없이 반죽에 들이부은 김치국물 때문에, 두부김치전이라는 별미를 하나 맛보았다. 다음에 반죽의 간이 딱 맞게 된다면 그때는 두부를 넣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래도 오늘 완전히 망친 줄 알았던 반죽만큼은 살렸다.

매거진의 이전글 새콤달콤 양배추무침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