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에 울부짖던 그 순간에도 놓지 않았던 너.
"엄마는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 싶지 않아요?"
올해 중학생이 된 딸이 묻는다. 엄마인 나는 "아니, 전혀" 1초의 망설임도 없이 대답한다.
"엄마는 지금이 제일 행복해" 딸을 위한 입에 발린 말이 아니라, 정말 진심이고, 사실이다.
집이건 학교건 늘 타인에게 나를 맞추느라 시달렸고, 간섭받던 시절이었다. 늘 불행했고, 우울했다.
어른들의 결정에 휘둘려 한번도 내맘대로 무언가를 결정하지 못한 10대를 보내며, 하루 빨리 고등학교 졸업하기를 기다렸다. 학창시절 많은 기억이 나질 않지만, 아직도 기억나는 한 장면이 있다. 고3때 친구와 창문너머를 바라보며 나는 말했다. "어서 수능을 치고 이곳을 정말 벗어나고 싶어." 친구는 단지 학교라고만 생각 했겠지만, 나는 그보다 내가 모든 환경에서 나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성인이 되고 싶었다. 더이상 학생의 신분으로 안팎으로 휘둘리는게 아닌, 내가 나일 수 있는 자유를 원했다.
고등학교를 벗어나 성인이 되면 뭔가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 같았다. 나를 묶는 모든 것들에서 벗어날 수 있을 줄 알았다. 모두의 눈치를 살피느라 자유롭지 못하던 그 시절, 내가 누구의 간섭없이, 온전히 내힘으로 유일하게 정한 것은 바로 대학교 전공이었다.
수능시험을 치고 나서야 난 깨달았다. 미친듯이 자유를 갈망하며 이 시간을 바래왔지만, 정작 나는 내가 어느 과를 가야 할지 심각하게 생각해 보지 않았다는걸 말이다. 나도 나를 모르겠는데, 어느 과가 너에게 잘 어울릴지, 너는 무엇을 잘 할거 같은지, 너는 무엇을 좋아할 거 같은지, 말해줄 사람이 없었다. 막상 과를 정하려 하니 당황스러웠다. 그것에 대해 한번도 자세히 알아보지 않은 내가 너무 어이가 없었다. 그렇게 자유를 갈망하면서도 그 다음을 생각해보지 않은 내가 신기했다.
찬찬히 어느대학에 무슨 학과가 있는지 책을 사서 그제야 보기 시작했다. 그런데 나는 그 때 또 깨달았다. 대학에서는 내가 꼭 이 학과를 가야겠다! 라는 끌리는 과가 없다는 사실을. 사실 뭘 하고 싶은지도 모르고 벗어나기 위해 무작정 하라는 대로 공부만 했으니 그런걸 알 턱이 없었다.
어학관련학과들중 굳이 영어를 선택한 이유는 간단했다. 나는 한자를 싫어했다. 그러니 중국어나 일본어를 배울 수 없었다. 다른 언어들은 이전에 들어본 적도 없으니 새로운 언어를 0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지 않았다. 나는 대학을 생각하면 설레고 기쁘기 보다는 이미 지금껏 해온 길이 너무 힘들고 지쳤다. 지금 이자리를 벗어나는게 최고 목표였지, 그 다음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볼 여력이 없었다. 그런데 영어는 중학교때부터 고등학교때까지 이미 6년을 배운 언어이기에 또다른 시작을 하지 않아도 되는 언어였다. 편하고, 익숙했고, 새롭지 않았다. 언어를 배움에 많은 에너지를 쏟을 필요가 없다는 생각에 무심코, 아주 쉽게 나는 영어를 선택했다. 하지만 그때는 몰랐다. 그 때 아무 생각없이 선택한 영어가 마흔인 지금까지 나를 따라다니게 될 줄은.
"수술을 해도 다리를 절 수도 있고, 뛰지 못합니다"
21살, 한참 즐거울 나이. 의사선생님께 나는 이 말을 들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병명도 생소한 이 병에 내가 걸린 것이었다. 고관절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괴사가 되는 병이다.
걸을때, 앉았다 일어날 때 다리가 좀 아프긴 했지만, X레이를 찍어도 큰 이상이 없었다. 통증이 심해진 몇 달 후에야 MRI를 찍어보니 이미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3기, 4기가 양쪽 다리 모두 진행중이었다.
인공관절을 하면 간단하다는 의사선생님의 말을 믿었다. 하지만 알아보니 내 나이가 너무 어리고, 인공관절의 수명이 10여년 밖에 되지 않는 다는걸 알게 되었다. 평생 재수술을 하면서 살아갈 수는 없었다. 혼자 인터넷으로 알아보다, 인공관절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수술하는 병원을 알아내어 수술을 받았다.
문제는 이 수술법으로 수술을 한 경우 뼈가 붙는 시간이 수개월이 걸린다는 점이었다. 수술전에는 이것이 내게 무엇을 의미 하는지 깊이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인공관절이 아닌 다른 수술법이 있다는 것에 감사했고, 그것으로 충분했다. 그렇게 나는 그토록 원하던 자유를 얻은지 얼마 되지 않아 다시 주저 앉았다.
버티는데 이골이 난 인생이었다. 그 오랜 시간을 이악물고 버텨오지 않았던가. 그까짓 수술의 통증쯤이야 얼마든지 견뎌낼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는 수술이 아니었다. 나는 또 바보같이 고3때 그랬던것 처럼 수술만을 위해 달려 오느라 그 뒤를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5개월은 눕거나 앉아만 있었고, 4개월은 목발을 짚었다. 의사선생님께 수술전 들었던 설명이었지만, 그때는 이것을 생각할 여력이 없었다. 오직 이 수술을 받을 수 있는 것에만 집중했었다. 누울수만 있고, 앉을 수만 있었던 5개월은 생각보다 지독했다. 막상 그 시간이 닥치니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그 때는 지금처럼 하루종일 아무것도 안해도 그저 그 하나로 즐거울 수 있는 스마트폰이 있지도 않았다. 나는 언제나 자유를 갈망했지만, 그 시간은 그리 오래지 않아 다시 날아가고, 나는 또 주저 앉았다.
친구들은 모두 즐거운 20대를 만끽하고 있었다. 교회 친구들은 교회 행사로 분주했고, 대학 친구들은 공부, 연애로 바빴다. 2002년 여름. 월드컵이 우리나라에서 열렸다. "대~한 민국! 짝짝~짝!짝짝!" 온 거리마다 흥겨운 응원이 울려 퍼졌고, 다시는 오지 않을 것 같은 열기의 낮과 밤들이 계속 되었다. 왜 하필 내가 일어서지도 못하는 이 시기에 평생 있을까 말까한 이 멋진 일이 일어나는지 너무 속상했다. 수술이 힘든게 아니라, 걷지 못하는 그 수개월이 내 마음을 이렇게 힘들게 할 줄은, 수술전엔 미처 몰랐다.
교회 친구에게 영어책과 영어사전, 영어테잎을 사다 달라고 부탁했다. 그 시간 내가 할 수 있는거라곤 그거 밖에 없었다. 영어라도 붙잡지 않고서는 버틸 수 없는 순간이었다. 몰입할 수 있는 무엇이라도 해야 했다. 아직 내가 이렇게 무너지지 않는다는 것을 붙잡을 무언가가 필요했다.
서지도, 걷지도 못하는 그 순간에, 누워서, 앉아서 나는 영어를 듣고, 읽고, 쓰며 걷지 못하는 나를, 그렇게 우울의 나락에 빠져들던 나를 멱살잡아 겨우 겨우 수면위로 끌어 올렸다. 낮에 실컷 책보며 공부해 놓고 밤이 되면 미친듯이 울부짖기도 하는 날들의 연속이었다. 기한이 있었지만, 그래도 수개월동안 걷지 못한다는 사실은 참으로 혹독했다. 더구나 모두가 열광의 도가니 속이던 2002 월드컵속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어떻게 그 시절에도 영어를 놓지 않고 있었는지 모르겠다. 너무 좋아 선택한 전공도 아니었고, 단지 다른 언어가 싫어서 무심코 선택한 전공이었을 뿐이었다. 살기위한 방편이 아니었을까. 이것마저 내가 놓아버리면 나는 정말 아무것도 아닌게 되는게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아니었을까.
내가 몇 달간 걷지 못하게 될 순간이 올 줄, 그래서 그 시간을 내가 영어로 버티게 될 줄 그 때는 미처 알지 못했다. 나는 대학 졸업후 지금까지 다른 직업을 가져 본 적 없는, 학원 영어 강사다. 다른 언어를 배우기 싫어, 무심코 선택했던 영어가 20여년을 나와 함께 할 줄 그 때는 알지 못했다. 영어로 이렇게 오랜시간 직업을 가지고 살아갈 줄 그 때는 미처 몰랐다. 내가 아이를 키우며 엄마표 영어를 하게 될 줄 그때는 몰랐다.
그렇게 걷지 못하는 순간에도 처절하게 붙잡았던 영어를, 때로는 벗어나 다른 길을 찾아볼까 애를 써보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은 언제나 영어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40년 인생중 20년을 함께 했고, 내 인생의 깊은 나락의 시절도 함께 했으니, 나 다운걸 가장 잘 설명해 주는건 바로 영어다. 앞으로 얼마간의 시간을 더 함께 할지 모르겠지만, 나를 나답게, 영어강사로 멋지게 살게 해준 영어에게 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