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기능 중심 잡기', '기능 담아내기', 그리고 그다음 단계
어떻게 사람이 다 잘하겠는가, 강점이 있고 약점이 있는 것이지.
좋은 기획자가 되고 싶다.
편식하지 않는 기획자.
팀원들이 망망대해에 떠도는 느낌이 들지 않게, 길을 닦아줄 수 있는 기획자.
언제든지 먼저 만들어둔 길을, 더 나은 길로 수정할 수 있게 열어두는 기획자.
나는 지금,
'기능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 정책 기획'만을 편식 중이다.
.
신규 서비스 프로젝트가 시작된 후 어려웠던 기능 기획을 마치고,
매우 즐겁게 머리를 싸매며 정책을 세우고, 시스템을 만들고, 모든 기능을 화면에 녹여냈다.
그렇게 무사히 기획하고, 쳐내고, 반영하여 하나의 앱을 만들었다.
이제 의도했던 모든 기능들은 서로가 순환되며 잘 굴러간다.
(개발만 마저 된다면.. 아멘...)
완성작을 보니, 의도한 '기능'은 모두 잘 들어갔다.
하지만 어딘가 부족하다.
기능은 구현되었지만, '기획 의도가 잘 담겼는가?' 확신이 들지 않는다.
그렇게 또다시 머리를 싸매본다.
이번에는 그렇게 즐겁지 않다. 기획자로서 내게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이다.
정해진 답은 없고, 스스로 답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 또다시 찾아온 기획자의 숙명.
.
부족한 것은 UI(User Interface, 이 글에서는 앱 화면을 의미한다) 디자인에서 나타났다.
화면에 기획 의도가 잘 드러나지 않고 있다.
사실 UI 디자인은 그동안 내게 저 밑, 낮은 작업 우선순위에 있었다.
디자이너 팀원을 믿고, 맡겼다. (어쩌면 방관했다.)
변명을 하자면, 그 당시에는 기능을 추리고 담아내는 것만으로도 급급했다.
어쩌면, 내가 현재 이 문제를 직시한 지금, 그러니깐 이 문제가 내 눈에 들어온 지금이,
그에 맞는 일의 순서일지도 모른다.
아니다. 역시나 변명이다.
기능 구현은 '화면 설계' 시점에서 마무리하고,
최종 GUI 작업으로 넘어갈 때 이 문제를 다뤘어야 했다.
.
정책은 기능단의 시스템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디자인에서도 정책이 필요하다.
기획자이자 PO(Product Owner)라면, 디자이너에게 '디자인 정책' 역시 제안해야 한다.
그래야 화면에 기획 의도가 무사히 반영될 수 있다.
그래야 디자이너가 혼자 망망대해를 가지 않고, 일을 반복해서 하지 않을 수 있다.
.
문제를 직시한 지금, 현재 화면은 위계질서가 없다.
기능은 많은데, 서비스가 담고 있는 이야기가 보이지 않는다.
어떤 기능이 메인이고, 어떤 흐름을 담아내고 있는지 '전달력'이 부족하다.
아래의 질문 흐름을 기반으로, 가장 중요한 홈 화면부터 다시 정책을 잡아봤다.
1. 서비스와 홈 화면의 기획 의도는?
2. 기획 의도를 반영하기 위해, 어떤 기능을 부각하고 어떤 기능을 최소화해야 할까?
3. 꼭 지켜야 하는 디자인 정책은?
그 결과는 대략 아래와 같았다.
1. 서비스와 홈 화면의 기획 의도는?
서비스의 의도는 사용자에게 oo 가치를 주는 것이다. → 이에 따라 3-4개의 메인 기능이 기획되었다.
홈 화면의 목적은 '각 기능의 핵심 요약 및 현황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전체 기능을 쉽게 파악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로, 대시보드 컨셉으로 진행한다.
2. 기획 의도를 반영하기 위해, 어떤 기능을 부각하고 어떤 기능을 최소화해야 할까?
가장 핵심인 기능 A는 최상단에 크게 배치하며, 클릭하고 싶게 만든다.
기능 B, C는 세부 화면과 중복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홈에서는 최소화한다.
기능 D는 홈 화면에만 있는 기능이며, 사용자 유입을 늘릴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강조한다.
3. 꼭 지켜야 하는 디자인 정책은?
담는 기능의 양이 많기 때문에, 각 기능은 최대한 간략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단, 요약 시 꼭 포함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 디자이너에게 구체적으로 안내)
최대한 짧은 스크롤로 사용자로 하여금 금방 모든 기능을 훑고 파악하도록 한다.
요약된 컴포넌트는 세부 화면으로 들어가고 싶게끔, 유도 가능하게 디자인한다.
각 요소는 oo에 따라 그룹핑하여, 기획의 스토리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
위의 질문에 따라 내린 정책이, 정답이 아닐 수 있다.
서비스 출시 후 받아본 데이터가, 내가 내린 답을 전면 부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적어도 리디자인 방향성을 수립하여 디자이너와 공유하고,
기획에서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사용자에게 보다 잘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문제를 디자이너가 혼자 막막해하지 않는다.
기획자와 함께, 같은 이해 선상 아래에서 본격적인 개선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막막함 대신, 주어진 정책을 기반으로 어떻게 최선의 디자인을 뽑을 수 있을지 집중해서 고민한다.
디자인을 가지고 수레바퀴 형의 답 없는 논쟁을 줄일 수 있다.
.
역시나 어렵다. 피하고 싶다.
하지만 이겨내고 싶다.
문제를 직시하여 꽤나 아프지만, 성장통인 듯하다.
작년보다도 성장하고 있음이 느껴진다.
올해는 기획자로서의 편식에서 벗어나는 시간이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