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반증주의, 칼 포퍼, 구획, 과학, 비과학, 추측, 논박
반증주의는 과학이란 반증가능성이 있어야 하고, 반증되지 않아야 과학적 지식으로 살아남을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무엇이 과학인지, 과학이 아닌 비과학인지를 나누는 구획 기준을 제시하였다.
위의 간단한 예를 다시 가져와보면, "모든 백조는 하얗다."는 명제는 하얗지 않은 백조 1마리만 존재한다면, 반증이 가능하다. 실제로 검정 백조(black swan)가 관찰되었기 때문에 이미 반증이 완료되어 지식이 아닌 단순한 명제에 불과해졌다. 다만 반증 가능성이 있으므로 과학적 지식의 후보가 될 수 있는 명제였다.
포퍼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반증 가능성이 될 수 없으므로 '과학'이 될 수 없다고 본다. A라는 사람이 신경증을 앓고 있다. 정신분석학에 의하면 트라우마 등의 영향을 받은 무의식 때문이라고 한다. (...) 거칠게 이야기하면 정신분석학에 따르면 다 무의식 때문이다. 당연히 무의식은 백조 이야기처럼 반증 가능한 영역이 아니다. 무의식 자체가 애매모호한 개념이고 실제 관찰 또는 실험할 수 있는 영역도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증주의에 따르면 정신분석학은 비과학이다. 이런 식으로 비과학들을 '과학'이라는 테두리 바깥으로 밀어낼 수가 있다.
과학과 비과학은 나뉘었다. 그렇게 남은 과학 내부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할까? 분명히 과학은 진보하는 것처럼 보인다. 뉴턴의 물리학보다는 아인슈타인의 물리학이 더 진보적이라는 건 틀린 말 같지 않다.
칼 포퍼의 유명한 책 이름 [추측과 논박]에서처럼, 과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추측'과 ‘논박’이 중요하다. 기존의 이론으로 이해되지 않는 현상을 예측해 내는 대담한 추측을 하고, 이를 입증해 내면 과학의 성과가 된다. 또 그동안 사실이라고 여겨졌던 것을 논박하여 거짓이라고 밝혀내는 것도 과학을 앞으로 나아가게 해 준다.
귀납에 의해 지식을 만들어 가는 과정은 100% 참을 보장할 수 없지만, 과학이 아닌 것은 반증으로 100% 걸러 낼 수가 있다. 그렇지만 반증주의도 한계가 있다.
실제 과학사를 보면 반증되는 사례가 관찰되거나 실험에 의해 도출되더라도 바로 비과학이라고 결론 내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론을 바로 폐기하지 않고 이론 및 관찰, 실험 방식에 대한 수정과 검토를 통해 이론을 더 발전시키는 사례가 있다는 것이다.
무엇인가 반증이 되었다. 여기서 반증된 것이 이론의 핵심인지, 아니면 관찰이나 실험 방법의 일시적 오류로 인해 반증이 된 것처럼 보이는 것인지 판별할 기준이 불분명하다는 점이 한계다.
(본인이 과학사에 대해 알지 못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양해 부탁 드린다. 실제 과학철학자들은 물리학 등을 전공한 이후, 대학원에서 철학 공부를 한 경우가 많다. 과학사의 구체적인 내용을 아는 것은 곧 과학 철학이 무엇을 수행하는가에 대한 물음과도 연관된다. 이는 다음의 한계 2에서 이어간다.)
반증주의가 하는 말이 모두 맞다고 치더라도, 실제 과학사에서 과학 이론들의 발전 과정이 반증주의에 따랐느냐는 또 다른 문제다.
반증주의는 '과학이 이래야 한다.'라는 주장에 가까워 보인다. 실제 과학사는 반증주의가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설명이 어려운 부분이 많다. 과학이 걸어온 실제 모습을 포괄하지 못하는 이론이 무슨 의미가 있는 건지라는 의문이 쉽게 제기될 수 있다.
과학 철학은 과학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사실, 서술적)를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철학 이론을 제시해야 하는가? 아니면 과학이 과학으로서 나가야 하는(당위, 규범적) 올바른 길을 제시하는데 그 역할이 있는가? 둘 중 하나만 만족해서는 안되고, 사실과 당위를 모두 포함하는 이론이어야 하지 않을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할만한 과학철학자 토마스 쿤은 '패러다임'을 통해 위의 한계들을 극복해보려고 했다. (TMI : 수능 언어영역에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관련된 지문이 출제된 바 있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