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2021년 경기의 양극화가 전 세계적으로 심해질 것이라는 안타까운 보도를 한 적이 있다. 보도가 맞아떨어진다면 각 나라별, 각 기업별 재무 현황에 따라 강자와 약자의 간극은 더 벌어질 것이다.
사실 강자와 약자 사이의 간격은 애초부터 멀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IMF를 포함해 잇따른 경제위기를 겪으며 간격은 멀어져만 갔다. 우리 실생활에서도 이런 상황은 지속적으로 관찰된다. 당장 창업시장만 살펴봐도 그렇다.
창업은 초창기에 큰돈이 들어간다. 여기서 큰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이른바 ‘재력가’들은 잇단 실패에도 새로 추진할 동력원은 충분하다. 물론 쉽지만은 않다. 그러나 우리 같은 서민들은 다르다. 한번 삐끗하면 바닥까지 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첫 창업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그래서 마련된 것이 정부차원에서 주는 창업보조금이다. 일반적으로 창업 관련 정부기관에서 마련해 지원한다. 많은 초기 창업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부분에도 허점은 있다. 지원 대상에 차이를 둔다는 점도 문제다. 실제로 상당수의 창업 보조금은 3년 이하 초기 창업자들에게만 이뤄진다.
일반적으로 3년을 죽음의 계곡(데스벨리)이라고 부른다. 3년이면 창업 성과가 판가름 나서다. 상황이 어려워질 경우 기업가치가 떨어질뿐더러 일부는 파산위기까지 처해진다. 반면 3년 이후 승승장구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정말 일부에 불과하다. 그래서 업계에서는 제한을 풀거나 완화시켜줄 것을 요구한다.
필자가 최근 만난 한 지역 상공 관계자는 "3년이면 이제 걸음마를 막 뗀 단계인데 사실상 국가에서 손을 놓는 거나 다름없어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했다. 이 관계자가 운영하는 업체는 3년이 지나고 지원이 뚝 끊기자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사실 3년 이상 창업자들을 위한 지원책이 없는 것도 아니다. 또 최초 창업에 실패한 이들을 위한 지원책도 있다. 그러나 요건이 까다롭거나, 실패했음을 인정하는 꼴이 돼 꺼리는 경우도 상당하다
그래서 요즘 같은 때만큼만이라도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한시적인 방안이라도 좋다. 3년, 7년, 최초 창업, 청년, 중장년 등 선을 그어버리는 지원책이 아닌 이때만큼은 벽을 허무는 게 어떠냐는 거다.
이는 부작용만 잡을 수 있다면 어쩌면 창업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도 있겠다. 강자와 약자의 사이도 조금은 줄어들 수도 있다. 오래된 생각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