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islander Oct 29. 2017

걱정말고 다녀와

Dear My Ken Loach 


That constant humiliation to survive. 
If you’re not angry about it, what kind of person are you?
- Ken Loach


그날은 배가 아파 새벽부터 화장실을 들락거렸다. 내 딴에는 괜찮다고 여겼던 일에 마음 쓰고 있었던 걸까. 그런 생각을 하다가 전날 먹은 음식들을 따져보기도 했다. 병원에 갈 정도는 아니나 그렇다고 무시할 수도 없는 애매한 통증.

나이를 느끼는 127가지 중 하나는 통증을 통해서 몸의 세부를 인식하는 순간이다.
젊었을(?) 때는 그저 두통, 치통, 생리통(복통)으로 퉁쳤고, 십이지장이나 담낭, 췌장의 위치 따위를 헤아리지 않았으며, 난소와 자궁의 안위를 걱정하지 않았는데 말이지;;

살수록 더 많은 고민거리들이 생긴다. 그에 따른 괴로움도. 

어떤 과제는 채 해결되지 않았는데 새로운 과제가 주어져 망연해지기도 한다. 
상황이 그런데도 인생선배들이 곧잘 하는 말. 

“얘가 아직 뭘 모르네. 지금 이때가 좋은 거야.”
굳이 괴로움을 통해서 복잡한 인생사를 배우고 싶지는 않은데;; 나이를 느끼게 하는 127가지 중 또 다른 하나.

그렇게 진이 빠질 때로 빠진 날에 이 책을 읽었다.


김현이 짓고 이부록이 그린 <걱정 말고 다녀와>.

그렇다. 순전히 제목 때문에 읽기 시작했다. 그렇게 내 몸 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한 와일드한 망상(이겠지)에서 순식간에 벗어나 젊은 시인의 노동하는 일상으로 들어갔다.
집중력이 거의 바닥난 상태였는데도 책장이 잘 넘어갔다. 일과 일상, 가족과 지인들에 대한 여러 감정을 담담하게 이야기하는 시인의 목소리 때문이었는지도. 가난과 편견, 차별과 혐오를 이기는 삶을 이야기할 때도 서정과 신파 그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그런 점에서 켄 로치의 영화를 닮았다. 그의 영화처럼 감정(특히 분노와 슬픔)을 격렬하게 불러일으키진 않지만. 그럼에도 여러 번 마음이 흔들렸다.

무방비상태로 있다가 단원고 2학년 6반 이영만학생의 생일을 맞아 시인이 쓴 시를 읽고는 고개를 잔뜩 숙인 채 머리를 커튼 삼아 숨기도 했다.


부제는 ‘켄 로치에게’이다. dear my Ken Loach라고도 적혀 있다. 
책 곳곳에서, ‘my’라는 수식어에 담긴 시인의 애정을 느낄 수 있다.
켄 로치의 영화로 이어지는 일상의 편린들을, 그리고
“먹고 사는 일이 인생의 과제처럼 느껴”질 때 그 과제를 성실하게 수행하면서도 그 속에 함몰되지 않으려 노력하는 삶을 발견할 수 있다.
때때로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나쁜 꿈으로부터 안전한 곳에서 모두가 평온하게 살기를’ 기원하고,
넋 놓고 구름을 보다가 ‘구름에게 배우는 평화란 이토록 전진하는 것’이라 읊조리는
시인의 순수한 감성도.


다니엘 블레이크가 삶이 무너지기 직전인 싱글맘 케이티에게 말했듯이,
“우리에게도 잠시 쉴 바람이 필요”하다.





이 책은 내게 ‘잠시 쉴 바람’이 되어주었다.

“우리는 생활에서 벗어날 수 없다. 적어도 나는 그런 것 같다. 언제나 생활이 앞장선다. 문학하는 자라고 해서 뭐 특별히 다른 생활을 하는 것도 아니고 특별히 다른 생활을 해야만 문학을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건 인간의 됨됨이란 생활 속에서 성장하거나 퇴화한다는 것. 동그라미를 의미심장하게 쪼개어 적어 놓은 방학 계획표를 보면서 그 어린 나이에도 자신이 살아온 바를 후회하던 우리가 아닌가.(p46)”



“So we must say something else is possible, another world is possible and necessary.”

- Ken Loach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