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순만 Apr 02. 2022

시경(詩經)과  초사(楚辭) 비교

시경과 초사의 비교

   하 은 주 나라에서 주나라 말기로부터 춘추시대는 주로 시경이며, 전국시대에 주로 초사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당시 채시관(採詩官)이 당시에 지방에 유행한 노래를 채집한 것이 바로 시경이다. 


시경은 BC 11~6C 공자가 사무사(思無邪)라는 개념으로 311수로 정리하였으며 305로 전해진다. 풍아송(風雅,)으로 ()은 주로 농경의 고통, 남녀 간의 사랑, 위정자의 풍자를 그린 내용이다.  ()는 귀족들의 노래로 좀 우아하여 각종 외교사절, 사냥에 대한 풍자, 전쟁의 출정 등을 노래하는 시이며, ()은 농사의 신인 후직과 같은 조상신을 기리는 시로 주(周) 나라 노(魯) 나라 은(殷) 나라 상(商) 나라 왕실을 찬송하는 시이다. 즉 조상의 업적을 기리는 시이다.     


시경과 초사의 비교표, 김순만 요약(이종찬, 한문학 개론)

[2-2] 子曰。『詩三百、一言以蔽之、曰。思無邪』 。

 시경 삼백 편의 내용을 한마디로 대표하면 ‘생각이 바르므로 간사함이 없다’는 것이다.

[2:2] The Master said: “The 300 verses of the Book of Odes can be summed up in a single phrase: ‘Don't think in an evil way.’”

논어 제2장 위정편(爲政編) 

 


   고대사회 종교가 발전하는 시기에는 자연계의 신비스러운 현상이나 죽음에 대한 공포, 영혼에 대한 믿음 등에 있어 신을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문화로 발전하며, 종교적 영역을 벗어나 귀족의 오락과 만족으로 궁정(宮庭)으로 옮겨가게 되며, 귀족의 오학과 잔치를 노래하는 아(雅)로 발전한다. 아(雅)는 대아(大雅)와 연회(宴會)나 전렵(田獵을 노래하는 소아(小雅)가 있다. 


  주로 시경(詩經)은 북방(北方) 황하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여 농경(農耕)을 바탕으로 한 유가(儒家)사상을 주로 노래하며, 초사(楚辭)는 남방 양자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문화로 도가(道家) 사상이다. 


  시경이 사계절을 바탕으로 봄에 씨앗을 뿌려 여름에는 경작을 하는 이른바 농업을 해야 하므로 협동을 해야 하는 현실주의적 측면이 강하다면 초사는 물상이 풍부하며, 의복도 간소하게 입었고 초현실적이다.   

   

시의 체제(體制)

시경의 체계를 육의(六義)라고 육의는 풍아송부비흥이다. 풍아송부비흥을 양분(兩分)하여 풍아송은 시명(詩名)이며, 부비흥은 시법(詩法)이다.  풍아송은 주로 시(詩)의 내용을 의미하며, 부비흥은 수사(修辭)법을 말하는데 부(賦)는 직서법이며, 비(比)는 비유법이며 분위기를 만들고 띄우는 흥(興)은 연상법을 뜻하는 수사법이다.    사(辭)는 감상적인 내용을 담아 서정성을 띠우고, 부(賦)는 주로 어떤 사실을 설명하므로 서사적이다.



사부(辭賦)     

  초사(楚辭)를 사(辭)라하고 한부(漢賦)를 부(賦)라고 한다. 시(詩)와 문(文)의 중간적 특징을 지닌다. 정형성은 없으나 압운을 취한다.   부(賦)는 그 기원이 초사이며, 소부는 전국시대 굴원과 송옥이며, 고부(古賦)는 한나라때 소부를 모방한 것이며, 배부(排賦)는 육조시대에 주로 대우법을 사용하였고 4 6 변려문으로 짝을 맞추는 시로 발전했다. , 율부(律賦)는 당나라 때 성율을 강조하였고, 문부(文賦)는 송나라때 논리성을 강조한 주지주의(主知主義)를 강조하였고, 이는 과거시험에 토대가 되었다. 

작가의 이전글 공자의정명론(正名論)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