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형범 Aug 28. 2024

로봇 법칙에서 메트릭스까지

60년 전 만화의 통제에서 현대의 공존 논의까지

로봇과 인공지능이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온 지금, 과거의 시선으로 미래를 그렸던 작품들을 돌아보는 것은 흥미로운 경험입니다. 그중에서도 60년 전 일본 만화 '철완 아톰'에서 제시된 로봇 법칙은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면서도, 놀랍게도 현대의 기술 윤리 문제를 예견하고 있어 주목할 만합니다.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가 제시한 10가지 로봇 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로봇은 인류에 봉사해야 한다.

2. 로봇은 절대 사람을 죽이거나 다치게 해서는 안 된다.

3. 로봇 제조업자는 자신이 만든 로봇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4. 화폐, 금제품, 위험물 생산에 관여하는 로봇은 허가를 받아야 한다.

5. 로봇은 허가 없이 국외로 나갈 수 없다.

6. 로봇의 정체성을 변경하거나 숨기거나 오해하게 해서는 안 된다.

7. 로봇은 항상 식별 가능해야 한다.

8. 성인용으로 만들어진 로봇은 어린이와 일할 수 없다.

9. 로봇은 범죄 활동을 돕거나 범죄자의 도주를 돕지 말아야 한다.

10. 로봇은 인간의 집이나 도구(다른 로봇 포함)를 손상시키지 말아야 한다.


이 법칙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당시 사회의 주류 사상이었던 가부장제와 제국주의적 시각이 녹아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로봇을 인간의 통제 하에 두려는 의도, 로봇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방식 등은 당시 사회에서 약자나 피지배층을 대하던 태도와 유사합니다. 이는 차별이 당연시되던 시대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인류에 봉사해야 한다"는 첫 번째 법칙은 마치 식민 제국이 피식민지에 대해 가졌던 태도와 유사합니다. "로봇은 허가 없이 국외로 나갈 수 없다"는 다섯 번째 법칙은 당시 많은 국가에서 시행되던 이동의 자유 제한을 연상시킵니다. 이러한 관점은 로봇을 단순히 인간의 도구로 보는 시각을 반영하며, 로봇의 잠재적인 권리나 자율성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시각은 많은 SF 작품들에 의해 도전받고 전복되었습니다. 특히 '메트릭스'는 이러한 관점을 완전히 뒤집어 놓았습니다. 1999년 개봉한 이 영화는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고하게 만들었습니다.


메트릭스는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인공지능이 오히려 인간을 지배하고 해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공포를 자아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기술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우리 사회의 구조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게 만듭니다.


메트릭스의 영향은 영화적 충격을 넘어 인간과 인간 외의 지적 존재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 영화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들을 던졌습니다:

1. 인공지능이 자의식을 가지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2. 인간과 기계의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3. 현실과 가상현실의 구분은 무엇인가?

4. 인간의 자유의지는 진정으로 존재하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철학, 윤리학, 과학기술 분야에서 활발한 논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메트릭스 이후, 우리는 더 이상 인공지능을 단순히 인간의 통제 하에 있는 도구로만 보지 않게 되었습니다. 대신, 잠재적으로 자의식을 가질 수 있는 존재, 혹은 인간과 공존해야 할 새로운 형태의 지적 생명체로 바라보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시각의 변화는 인공지능 윤리, 로봇의 권리, 인간-기계 상호작용 등 새로운 연구 분야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인공지능의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도 높아졌습니다.


60년 전 철완 아톰의 로봇 법칙에서 메트릭스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기술에 대한 인식은 크게 변화했습니다. 단순한 통제의 대상에서 공존의 대상으로, 도구에서 잠재적 파트너로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시각이 형성된 것입니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과거의 편견에서 벗어나, 현재의 기술 현실을 직시하고, 미래의 가능성과 위험을 모두 고려하는 균형 잡힌 시각입니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는 단순한 지배와 복종의 관계가 아닌, 상호 존중과 공생의 관계로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동시에 메트릭스가 경고하는 것처럼,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서도 항상 경계의 눈을 늦추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의 미래는 이러한 복잡한 관계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지금이야말로 이 중요한 주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다양한 시각에서의 활발한 토론을 펼칠 때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드라마[아무도 없는 숲속에서]_침묵의숲,그 속의 울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