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형범 Nov 05. 2024

조선의 선비들도 닉네임이 있었다?

호(號)로 알아보는 옛 지식인들의 은밀한 자기표현


여러분은 온라인 게임이나 SNS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닉네임을 사용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별칭 사용은 흔한 일이지만, 놀랍게도 이와 유사한 문화가 조선시대에도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바로 '호(號)'라는 것인데, 이는 조선 시대 선비들이 사용하던 일종의 별칭이었습니다.


조선 시대의 선비들은 대개 세 가지 이상의 이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먼저 태어날 때 부모님께서 지어주신 본명인 '명(名)'이 있었고, 성인이 되어 관례를 치르면서 받게 되는 '자(字)'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스로 짓거나 다른 이가 지어준 별칭인 '호(號)'가 있었죠. 이 중에서 호는 가장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이름이었습니다.


호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당시 조선 사회에서는 타인의 본명을 직접 부르는 것이 무례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어른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은 큰 결례로 간주되었죠.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호는 상대방을 존중하면서도 자유롭게 부를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되었습니다.


호를 짓는 방법은 다양했지만, 주로 네 가지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첫째로, 자신이 살고 있거나 인연이 깊은 지명을 따서 짓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다산 정약용은 유배지였던 전남 강진의 다산이라는 지명을 따서 호를 지었습니다. 둘째로, 좋아하는 사물을 이용해 호를 짓기도 했습니다. 매화와 대나무를 좋아했던 성삼문은 '매죽헌'이라는 호를 사용했죠. 셋째로, 자신의 삶의 철학이나 지향점을 반영하여 호를 짓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넷째로, 존경하는 인물의 이름을 따서 호를 짓기도 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한 사람이 여러 개의 호를 가질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특히 추사 김정희는 100개에서 많게는 500개의 호를 가졌다고 전해집니다. 이는 마치 현대인들이 여러 SNS 계정에서 각기 다른 닉네임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호는 단순한 별칭을 넘어 그 사람의 취향, 가치관, 삶의 철학을 담아내는 수단이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조선 시대 선비들은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했던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닉네임과 마찬가지로, 호는 그 시대의 문화와 개인의 개성을 반영하는 흥미로운 문화적 요소였습니다.


이렇게 조선 시대의 호 문화를 살펴보면, 시대는 변해도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호를 짓고 싶으신가요? 자신의 철학, 취향, 혹은 살아온 장소를 반영한 닉네임을 한번 지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것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의미 있는 자기 성찰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호불호의 끝판왕, 마성의 음료-3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