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형범 Sep 16. 2024

노벨평화상의 두 얼굴

평화의 상징 뒤에 숨겨진 한국의 아픈 역사

노벨상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류 발전에 기여한 위대한 업적을 떠올립니다. 특히 노벨평화상은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한 인물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영예로운 상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이 상의 이면에 숨겨진 복잡한 역사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미국 최초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아픈 역사를 돌아보고자 합니다.


1906년, 시어도어 루즈벨트는 러일전쟁을 종결시키는 데 기여한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는 1905년 포츠머스 조약 체결을 중재하여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쟁을 종식시켰죠. 국제사회에서는 이를 평화를 위한 위대한 업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입장에서 이 사건은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러일전쟁의 종결은 일본의 승리를 의미했고, 이는 곧 한국(당시 대한제국)에 대한 일본의 지배력 강화로 이어졌습니다. 포츠머스 조약 체결 직후인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 체결되어 한국은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국권 상실의 시작점이었습니다.


더욱 씁쓸한 것은 포츠머스 조약 체결 전인 1905년 7월, 미국과 일본이 비밀리에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체결했다는 사실입니다. 이 밀약에서 미국은 일본의 한국 지배를 인정하고, 일본은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인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당시 고종 황제는 미국에 도움을 요청하며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이미 미국은 일본과의 밀약을 통해 한국의 운명을 결정지은 상태였던 것입니다.


이렇게 루즈벨트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국제사회에서는 평화를 위한 공로로 인정받았지만, 한국의 입장에서는 국권 상실의 시작점과 맞물린 사건이었습니다. '평화'를 위한 노벨상 수상이 한 나라의 주권 상실과 연결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 사례는 국제 정치의 복잡성과 강대국 중심의 세계 질서가 약소국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 또한 역사는 항상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음을 상기시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위대한 업적'의 이면에 누군가의 아픔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역사를 더욱 깊이 있게 바라보고,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이해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국제 사회에서 약소국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역사의 이면에 숨겨진 이야기들에 귀 기울이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지혜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작가의 이전글 관객이 만드는 예술: 오노 요코의 '컷 피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