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윤석 Jul 24. 2022

현장을 무시한 조선, 결국 칠천량의 참사를 부르다

무지와 아집을 내려놓고 현장에 물어라

임진왜란 때의 선조실록을 보면 참 답답한 내용들이 많다. 대신들은 실제 현장의 경험이 없는 아마추어들인데 국가를 운영하고 그 지침을 실전부대에게 내리면 현장의 장수들은 현실과 맞지 않는 전략에 괴로워하는 모습들이 많았다.


예를 들어서 수군이 한산도의 길목을 지키고 있는 상태인데, 수군장수들에게 전주로 무과를 보러 오라고 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런 지침이 내려올 때 이순신 장군의 마음은 어땠을까? 답답했을 것이다. 결국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청을 하여 결국 한산도 진영에서 무과를 보게 되었지만 선조는 속으로 삐치게 되었다. 나중에 이순신을 벌할 때 그 이야기를 선조가 꺼내는 것을 보면 참 답답함이 느껴진다.


한마디로 정의하면 그 시절 조정에서는 무능한 선조(오너)와 현실을 모르는 대신(임원)들의 사업놀이가 벌어졌던 것이다. 요즘 현실에서도 이런 경우는 많다. 초기상황을 벗어나 안정된 수많은 기업들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본질적으로 시장에서 승부를 보지 못했던 리더들이 자신의 학력이나 머리를 믿고 엉뚱한 지침을 내려서 실제 일을 하고 있는 직원들을 힘들게 하는 경우가 많이 벌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사업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이 어떤 기획안을 올리면 꼭 자신이 똑똑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약간 바꾼다. 심지어는 "자신들의 자녀들이 이런 이야기를 하던데..." 라고 하면서 수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결국 엉뚱하게 일이 흘러가서 일이 실패하는 경우가 현실에서는 많이 벌어지고 있다.


이순신 장군은 항상 현장을 살펴보고 전략을 정했다. 조선수군이 칠천량 해전에서 완전히 궤멸 당한 후에도 권율 장군과 회의를 하다가 현장을 살펴보고 전략을 정하자고 하는 사례도 있으며, 난중일기 곳곳에 아래와 같이 현장을 면밀히 살피는 모습이 계속 눈에 띈다.


또한 이순신 장군은 현장을 책임지고 있는 책임자들과 터놓고 논의하는 것을 좋아했다. 아래와 난중일기와 같이 종일토록 논의했다는 내용이 참 많이 나온다.


현장에 가보지 못한다면 현장의 담당자들과 깊이 있게 논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대부분의 문제가 생기는 조직은 현장의 소리가 본부로 잘 전달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실에서는 적이나 고객은 멋진 파워포인트 장표에 그려진 전략대로 움직여 지지 않는다. 대부분의 조직의 중앙에 있는 전략기획 담당자들이나 임원들은 간과하는 것이다. 그렇게 쉬우면 누구나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것을 겉멋이라고 한다. 현장의 정보나 니즈가 빠진 리포트는 참 멋지기는 하지만 실전에서는 쓸 수 없는 도장권법과 같다. 고객이 자기의 의지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리더는 항상 무지와 아집을 내려놓고 현장에서 물어야 한다. 세상은 도장 권법이 아닌 실전격투기이다. 도장에서는 멋진 540도 회전 발차기가 가능하지만 실전에서는 단순 명료한 로우킥이 더 중요한 것과도 같다.


그렇게 이순신을 비난하던 원균도 결국 이순신 장군을 내쫓고 현장에 가보니 칠천량으로 진격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안 가려고 하다가 권율 장군에게 곤장을 맞고 칠천량으로 몰려서 조선수군 전체를 잃게 되는 비극이 벌어졌다. 결국 원인은 원균을 내몬 조정의 어설픈 지침이다.


현장의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 소통 없는 조직은 결국 패망의 길로 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리더들은 항상 멋진 파워포인트 장표의 함정에서 벗어나 투박하지만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단순명료하고 자명한 방안을 도출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사업놀이에서 벋어나 진정한 사업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 칠천량해전. 칠천량해전공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