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그 정부 관계자가 누구야?”
우리 기사를 읽을 때면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한 기사를 종종 발견한다.
예를 들면 이런 형식이다. =>정부 관계자는 “0000000000000”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00000” 말했다.
이 관계자의 말에 따라서 우리는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한다. 각 정책이 주는 임팩트에 따라 우리는 정책의 수혜자가 될 수도, 피해(?)를 입는 사람이 될 수도 있어서다.
정부 관계자는 누굴까.
일단 A 정책에 대해서 멘트를 하려면 당연히 그 정책에 대해서 알고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우선 담당 정책을 기안한 주무관과 5급 사무관, 그리고 과장(이사관-4급, 부이사관-3급), 국장(2급), 실장(1급) 정도까지 정책에 대해서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보면 된다. 사실 급수가 올라갈수록 기자가 멘트를 따기는 쉽지 않다. 수시로 청와대 회의와 장관 주재 간부회의에 동참해야 하고, 민간과의 회의 등에도 참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무직인 장·차관이 직접 일반 정책에 대해 기자에게 멘트를 하는 경우도 흔하지 않은 사례다.
그렇다면 왜 기사에 실명을 쓰지 않느냐.
모든 정책은 필연적으로 이해 관계자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국토교통부가 그린벨트 지역을 풀어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정책을 발표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 지역에서 농사를 짓고 있던 A는 보상을 통해 돈방석에 앉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냥 소소하게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거나 상가 하나를 오픈해 노후를 살아가던 사람들은 졸지에 정부가 나를 쫓아내는 ‘괴물’처럼 느껴질 수 있다(보상 받은 여부와 관계없이). 개개인의 사회경제적, 또 마인드에 따라 정책에 대한 호불호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가장 큰 이유는 취재원 보호다.
기사에 실명을 무조건 달게 되면 담당 공무원들이 민원인들의 전화를 받느라 일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일부 정부부처 공무원들은 각종 특종이 나갔을 경우에 정보기관에서 조사를 받기도 한다. 심지어 CCTV를 통해 해당 과(科)의 사무실에 기자가 출입했는지 여부를 뒤지기도 한다. 기자가 물어본 것에 답을 했을 뿐인데, 단순히 청와대가 민감해 하는 내용을 얘기했다고 해서 승진하나만 보고 사는 공무원들의 앞길을 막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