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캘리박 Aug 28. 2018

불안한 직업, 기자

어느 직업이나 그렇지만 저마다 풍운의 꿈을 품고 언론계에 입성한다.

언론 준비생들이나 일부 기자들은 ‘언론 고시’라고 부르지만, 고시 공부를 해야 할 정도로 공부량이 많은 건 아니다. 입사 시험을 위해선 오히려 상상력이 풍부해야 한다. 암튼 나는 ‘언시’라고 부르는 걸 싫어한다. 


기자는 불안한 직업이다. 일단 생명이 길지 않다.

언론사에 입사한 후 몇 일이 지나지 않아 현실을 목도하게 된다. 끊임없이 엄습해오는 불안감.

내가 가장 크게 느꼈던 불안감은 회사에서 첫 인사를 낸 후였다. 소위 라인을 타는 언론계의 특성상 누가 새 최고경영자(CEO)가 됐느냐, 혹은 편집국장이 됐느냐에 따라 언론사에는 한바탕 피바람이 분다. 


특히 새 편집국장이 들어서면 회사 분위기는 판이하게 바뀐다. 기자 사회는 검찰 조직과 비슷하게 기수 문화가 공고히 자리 잡고 있다. 새 검찰총장이 자기보다 기수가 낮으면 선배들이 옷을 벗고 변호사를 개업하는 것처럼, 기자 역시 기수가 낮은 사람이 편집국장이 되면 그 위 기수들은 사표를 쓰고 나가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 그간 주목을 받지 못했던 부장(데스크)들이 화려하게 메인 부서의 부장으로 귀환하는 경우도 있고, 소위 잘 나갔던 부장들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어제까지 부장으로 모셨던 사람들이 하루 만에 이십년 넘게 다녔던 회사를 떠나는 모습을 보면서 ‘저게 내 미래의 모습이구나’하는 불안감에 빠진다. 나이차는 20년 가까이 나지만 기자로서의 삶이란 것이 어느 정도 궤적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물론 눈높이를 조금 낮춰 매체 사이즈가 작은 언론사에 데스크로 가는 분들도 있다. 가뭄에 콩 나듯이 대기업 홍보팀 임원으로 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기자란 공격수에서 수비수(홍보팀)으로 포지션이 바뀌어 정체성에 어려움을 겪는 선배들도 적지 않다. 물론 잘 적응해서 고액의 연봉을 받으며 다니는 선배들도 있을 것이다.

기자들이 겪는 이 같은 불안감에 대해 누군가가 “야 임마, 어느 회사나 어느 직업이나 다 그래. 불안하지 않은 업종이 어딨냐”라고 말한다면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안 힘든 분야가 없다는 것도 안다.

중요한 것은 기자로 살면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항상 준비된 모습을 갖춰야 한다는 것일 터. 나 스스로도 잘 못 지키고 있지만, 인생 2모작을 위해,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생존하기 위해 모두 파이팅!!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