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성운 Aug 05. 2020

먹기 싫은 반찬을 먹게 하는 법

어머니는 어떻게 아들이 먹기 싫어하는 반찬을 먹게 했을까?

A: “이 반찬 몸에 좋은 거야. 한 번 먹어봐."

B: “이 반찬 근육 만드는 데 좋대. 먹어봐.”


세상의 모든 어머니는 자식이 언제나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누구나 한번 쯤은 (결코 한 번일 리는 없지만) 어머니와의 식사 시간에 위와 같은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거예요. 하지만 자식들은 대개 본인의 입맛에 맞는 음식만을 먹습니다. 몸에 좋은 반찬은 왠지 손이 잘 안 가게 되죠.


만약 여러분이 운동을 하고 있는데 어머니께서 B의 말투로 반찬을 권하신다면 어떻게 반응할까요? 당연히 그 음식에 손이 가게 되어있습니다. 저희 어머니는 그렇게 아무런 저항 없이 본인이 만든 건강한 반찬을 저에게 먹이고는 하셨죠. 과연 여기엔 어떤 심리가 작용하는 걸까요?


‘몸에 좋은 반찬’과 ‘근육 형성에 좋은 반찬’ 둘 중 어떤 표현이 더 구체적인가요? 후자입니다. 건강이라는 건 굉장히 보편적인 가치이지만 근육 형성이라는 것은 세분화 된 가치입니다. 어머니께서는 저의 니즈를 정확하게 자극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저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던 것이죠.


상대의 마음을 움직이고 싶다면 세분화 된 가치를 파악해야 합니다. 예뻐지고 싶은 것인지 눈이 커지고 싶은 것인지, 몸이 좋아지고 싶은 것인지 힙업을 하고 싶은 것인지 구체적으로 파고들면 마음을 움직이기가 훨씬 수월해지죠. ‘구체적으로 말하기', 오늘 한 번 꼭 시도해보세요. 효과 직방입니다.






<말투의 심리학>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내 생각과 의견을 상대에게 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강의입니다. 오해 없이 행복한 인간관계를 위한 소통의 기술을 심리학적 관점으로 풀어보았습니다. 사람들과 보다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싶은가요? 클래스를 통해 행복한 인간관계를 위한 열쇠를 얻어가세요.


온라인 강의 2020/8/27 (목) 19:00~21:00 @ZOOM

오프라인 강의 2020/8/29 (토) 13:00~15:00 @강남


https://ngnsacademy.co.kr

매거진의 이전글 거절을 못하는 사람의 특징과 거절을 잘하는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