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성운 Aug 24. 2020

칭찬을 함부로 하면 안 되는 이유

칭찬을 잘못하면 오해를 받을 수 있다?


A: “OO 씨 오늘 셔츠 정말 잘 어울리네요. 혹시 이 보고서 수정 좀 도와줄 수 있어요?”

B: “OO 씨 혹시 이 보고서 수정 좀 도와줄 수 있어요? 지난번에 보니 글을 정말 논리적으로 잘 쓰던데 조금만 도와주면 큰 힘이 될 것 같아요.”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을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실제로 칭찬은 사람의 마음을 열게 하는 쉽고도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스킬 중 하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너무 노골적이거나 뻔한 칭찬을 하면 도리어 아첨으로 들리는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설득에서 칭찬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약간의 전략이 필요하다. 위 예문을 보면 A의 경우 먼저 칭찬을 하고 그 뒤에 목적을 말했는데 이럴 경우 설사 칭찬이 진심이었다 해도 그 진정성이 흐려지게 된다. 반면 B의 경우는 목적을 먼저 말하고 미묘하게 칭찬을 섞어서 말했다.


칭찬을 통해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고 행동을 유도하고 싶다면 은근하고 미묘하게 하라. 원하는 결과를 먼저 말하고 왜 그 일을 상대방에게 부탁하는지 칭찬을 더해 말한다면 설득력은 한층 올라갈 것이다. 이때 칭찬에 진정성을 담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번에 준비한 <말투의 심리학> 강의에서는 말투의 변화를 통해 내 말에 설득력과 신뢰를 더하는 방법을 전한다. 평소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불필요한 오해를 겪거나, 인간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이 강의가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커뮤니케이션 스킬도 여느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아는 만큼 보이고, 연습하는 만큼 늘게 된다.




<말투의 심리학 원데이 클래스>

온라인 강의 2020/8/27 (목) 19:00~21:00 @ZOOM

오프라인 강의 2020/8/29 (토) 13:00~15:00 마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 https://ngnsacademy.co.kr 

매거진의 이전글 먹기 싫은 반찬을 먹게 하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