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 윌버의 책 '무경계' 중에서...
당신이 만들어낸 모든 경계는 '당신 자신'을 분리된 존재, 즉 나와 나 아닌 것으로 나누는 이 최초의 근원적 경계에 기초해 있다....
'근원적 경계'라고 표현한 것은 실제로 다른 것 보다 더 근원적인 경계라는 것이 따로 있어서가 아니라, '나'라는 개념에 강하게 밀착되 있는 우리의 보편적인 상태를 기준으로 표현했을때의 '근원적 경계'라는 말이다. 실제로는 눈 앞의 컵과 그 옆에 있는 접시를 보고 분리로 느끼는 것과 '나'와 '나 아닌 것'을 분리로 보는 것은 정확히 동일하다. 색안경을 쓰면 모두 붉게 보이는 것이지 좀 더 근원적인 붉음이 있는 것은 아닌 것과 같다.
다른 모든 경계가 이 첫 번째 경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경계를 간파하는 것은 모든 경계를 간파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모든 경계가 이 첫번째 경계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은 '나'라는 관점에서 모든 것들이 잘못 해석됨을 표현한 것이다. 실제로 이 '나'라는 경계의 습관은 너무나 강력해서 이 착각에서 벗어나면 다른 모든 경계들이 힘을 잃는 결과를 낳기도 하므로 강조되는 것이다.
뭉뚱그리자면, 최초의 근원적 경계란 '경험자'와 '경험된 세계' 사이의 간극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는 최초의 경계를 파괴하기 위해 고생할 필요가 없다. '최초의 경계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지극히 단순한 이유 때문이다...(중략)
지금 이 책을 읽고 있는 바로 이 순간에도 진정 최초의 경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 이 순간 합일의식을 가로막고 있는 실질적인 장애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최초의 경계를 찾아내서 그것을 제거하려고 애쓰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은 엄청난 오류이거나 적어도 어마어마한 시간낭비다...
우리는 최초의 경계를 실재하는 것으로 받아들인 다음에 그것을 제거하려 하지 않고, 먼저 최초의 근원적 경계 그 자체를 찾아보려고 시도할 것이다. 만일 그 경계가 정말로 환상에 불과하다면 우리는 그 흔적을 결코 찾아내지 못할 것이다.....최초의 경계를 찾아보자는 말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경험과 느낌으로부터 떨어져 분리된 나, 즉 '분리된 채로 경험하고 느끼는 나'를 아주 잘 찾아보자는 뜻이다. 나는 아무리 잘 찾아보아도 이런 '나'를 결코 발견할 수 없으리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내가 없다'란 말을 사용할 때 우리가 의미하는 바는 '분리된 나'라는 존재감이 실은 오해이고 잘못 해석된 감각이라는 것, 우리의 관심사는 바로 이 잘못된 해석을 일소하는 데 있다는 것이다. 우리 모두는 경험의 흐름에서 떨어져 나온 '나', 주변 세계로부터 분리되고 고립된 '나'라는 존재감을 내면 깊은 곳에 간직하고 있다. 우리 모두는 그 '나'라는 느낌과 외부세계에 대한 느낌을 다르게 여긴다. 그러나 '나'라는 느낌과 '저 밖에 있는 세계'의 느낌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이 두 감각이 실제로는 '하나이자 동일한 느낌'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다시 말해, 내가 지금 밖에 있는 객관적 세계라고 느끼는 그것과 내면의 주관적 나라고 느끼는 그것이 동일하다는 말이다. '경험하는 자'와 '경험된 세계' 사이에 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들을 따로 찾아낼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몸-마음'구조를 주체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습관을 벗어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 모든 이야기들이 너무 그럴듯해서 그것을 반박할 수 없을 것만 같다. 그런데 알고보면 그 이야기는 전혀 그럴듯하지도 않고 허점 투성이의 설정들이다. 매우 이상하게도 우리는 그 이상함을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그것을 '당연함'으로 받아들인다. 마치 우리가 꿈속에서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지지만 너무나 당연하게 느끼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 이유는 실제로 그것이 당연하거나 당연하지 않아서가 아니란 말이다.
우리는 경계를 믿는 데 너무나 익숙해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내 말이 아주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른다. 자신은 소리를 '듣는 자'이고, 감각을 '느끼는 자'이며, 광경을 '보는 자'라는 생각이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진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자기 자신을 '보여진 사물을 보고 있는' 보는 자라거나, '들리는 소리를 듣고 있는' 듣는 자로 묘사해야 한다는 점이 뭔가 이상하진 않은가? 지각이란 것이 정말로 그렇게 복잡한 것일까? 지각 과정에는 이처럼 '보는 자', '보는 행위', '보여진 대상'이라는 세 가지 개별적인 실체가 진정 포함되는 것일까?.....보는자, 보는 행위, 보여진 대상은 모두 한 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 지나지 않는다. 언제 어느 때든, 다른 둘 없이 하나만 존재하는 일은 걸코 일어나지 않는다. 나머지가 없으면 그중 어떤 것도 발견될 수 없다.
문제는 우리가 단일한 작용인 '본다'는 경험에 대하여 '보는 자', '보는 행위', '보여진 대상'이라는 세 개의 단어를 갖고 있다는 데 있다. 이는 단일한 물의 흐름을 '흘러가는 물이 흘러가는 행위를 하면서 흐른다'라고 표하는 꼴과 같다. 이는 전적으로 동어반복에 불과하며, 실은 하나밖에 없는 곳에 세 개의 요인을 도입하는 셈이다.....과연 경험자가 정말로 경험된 대상과 전적으로 다른 존재인지를 살펴보자. 먼저 듣기에서부터 시작해보자. 눈을 감고 실질적인 듣기 과정에 주의를 기울여보라. 새들의 노랫소리, 자동차 소음, 귀뚜라미 우는 소리....그 모든 소리에 아무리 신중히 주의를 기울이더라도 당신이 결코 들을 수 없는 한 가지 소리가 있다. 당신은 '듣는 자'를 들을 수 없다.....듣는 자를 들을 수 없는 이유는 '듣는 자가 존재하지 않기'때문이다. 우리가 '듣는 자'라고 부르게끔 배워온 그것은 실제로 다만 듣는 경험의 한 측면 일 뿐이다. 현실에는 오직 소리의 흐름만이 존재하며, 그 흐름은 주체와 객체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 거기엔 그 어떤 경계도 없다. 두개골 안쪽에 있는 '드는 자'라는 감각이 듣는 경험 그 자체 속으로 녹아들도록 놓아두면, 당신은 자기 자신이 '외부 소리'의 세계 속으로 온통 녹아드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경험과 동떨어져 있는 나 자신을 찾으려 할 때마다, 그것이 마치 경험 '속으로' 사라져버리는 듯 보인다. '경험하는 자'를 찾으려 해도 우리는 늘 또 다른 경험만을 발견하게 되며, 주체와 객체는 언제나 하나의 존재라는 사실만이 폭로된다.....자, 이제 '나'와 '나의 경험' 사이에 아무런 간격도 없다는 사실을 이해했으니, '나'와 '내가 경험한 세계' 사이에도 아무 간격이 없다는 점이 분명해지기 시작하지 않는가? '나'는 곧 '나의 경험'이고, 또한 '내가 경험한 세계'이기도 하다. 내가 새를 보는 것이 아니라, 내가 곧 새를 보는 경험 그것이다. 내가 책상을 만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곧 책상을 만지는 경험 그것이다.
켄 윌버의 책 <무경계> 중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없이 무경계의 이 대목은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어렵다는 것은 지식의 알고 모름과는 상관 없다. 다만 우리의 이원적 생각이 만들어내는 구조 때문이다. 분리를 만들어 내는 것은 우리의 개념을 기본 단위로 하는 '생각'이다. '내가 새를 본다' 이 단순한 문장의 구조를 보라. 이 생각 속에는 이미 '나' '새' '본다' 이렇게 세개의 분리된 관념을 기반으로 한다. 모두 생각이다. 실제 우리의 경험은 전혀 그렇치가 않다. 경험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몸'과 '마음'이 주체로 설정되면서 분리가 벌어질 뿐이지 경험 자체에는 실제로 그런 것이 없다.
관념은 실상이 아니다. 당신이 보기에는 '나'와 '새'와 '본다'는 것이 실체적으로 존재하는 대상으로 여겨지겠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관념에 불과하다. 이런 생각 없이 분리는 그야말로 불가능하다. 생각 혹은 개념이 실체가 아닌 허상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면, 이 분리 없음의 황당한 이야가기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
<무경계>는 작가의 젊은 시절 초기 작품이라는 점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쉽게 잘 쓰여진 책이다. 의식과 깨어남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사람이라면 두고두고 읽어봐야할 매우 훌륭한 책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