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athemata mathemata Mar 05. 2023

<피지컬100>과 공정의 문제



넷플릭스의 인기 서바이벌 예능 프로그램인 <피지컬100>의 뒷말이 많다. 결승전을 두고 논란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관계는 별론으로 하고, 무엇이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는지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100명을 선발하는 과정에서부터 불법 약물을 투약한 사람(로이더 논란), 남여 신체적 한계에 따른 논란(성별 논란)이 있었다. 뛰어난 사람이라기 보다는 화제성 있는 인물 중에 운동 수행능력이 탁월한 사람들을 뽑다 보니 나온 결과이다. 올림픽도 아닌데, 어쩔TV라고 하면 할 말은 없지만, 향후 시즌을 계속하고 싶다면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누군가는 구글링 해가면서 시험지를 풀고 있고, 다른 사람은 머릿속에 지식으로만 해야 한다면 관객의 입장에서 볼 때 승패의 재미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피지컬100의 원조격인 고대 로마의 검투사들 역시 갑옷과 무기 밸런스패치는 기본으로 하였다.(무기가 유리하면 갑옷을 가볍게 입어야 했다.)


대학 시절 취업 프로그램을 수강했다가 우연히 방송 촬영에 참여하게 되었다. 사전 예고 없이 뒤에서 방송을 촬영한 것이다. 당시 영어로 진행한 수업으로 기억했는데, 수업권을 무시하고 계속 PD가 원하는 그림이 나올 때까지 억지스러운 설정을 요구했다. 미국에서 오랫 동안 살아온 교포 출신 강사는 화를 참지 못하고 밖을 뛰쳐 나갔다. 그런데 여기서 PD의 반응이 더 재미있었다.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촬영을 마무리했던 것이다. 마치 이 모든 변수를 계산했다는 것처럼 말이다. 


방송에 있어 감독이나 PD는 창조주의 입장일 것이다. 자신의 편집에 따라 출연자의 촬영분량 생사여탈권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거기에 더해 영화에는 몽타주 기법*이란 것이 있다. 각각의 장면을 연결시켜 놓아 자연스럽게 하나의 메시지 전달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인데,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예능 프로그램의 '악마의 편집' 역시 몽타주 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즉, 감독(PD)는 자신의 플롯 안에 출연자를 잘 배치하면 원하는 메시지를 손쉽게 전달할 수 있다. 마치 유료 설문조사처럼 말이다.

* (a)남자가 걷는다. (b)여자가 걷는다. (c)화면에 두 사람이 비춰진다. 이 장면을 (c)→(a)→(b)로 바꿔서 붙이면 헤어지는 장면으로 인식될 것이다. (출처 : 나무위키) 


미학(美學)에 미메시스(대상에 대한 모방)라는 개념이 있다. 아도르노는 이 의미를 확장시켜 미메시스를 예술에서만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갑자스레 이 단어를 꺼낸 이유는, 예술이 미메시스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부조리를 보여주어야 한다. 이를테면 김기덕의 영화들, 봉준호의 <기생충> 같은 불편함 말이다. 그런데 예술(편의상, '예술'이라 부르자) 외적으로 발생하는 이 공정성 논란에 의해 역설적으로 미메시스가 발동했다. 공정한 승패의 결과는 오로지 편집자만이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사실 말이다. 기록된 것이 역사의 진실로 남게 되니, 패자의 말은 변명거리 내지 설화로 남게 되는 참혹한 현실을 재현했으니 말이다. 




작가의 이전글 상여자 체크리스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