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해헌 서재 Oct 19. 2016

<백 년을 살아보니>

김 형 석

<백년을 살아보니> 김형석

                                           강 일 송

오늘은 100세가 얼마 남지 않은 노학자의 글을 한 번 보려고 합니다.

저자는 1920년 평안남도 대동에서 태어나 일본 조치(上智)대학교 철학과
를 졸업했습니다.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30여 년간 후학을 길렀고,
‘대한민국 철학계 1세대 교육자’이며, 97세의 나이에도 활발한 저서 활동
과 강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주요 저서로 “현대인의 철학”,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예수”,
“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하여” 등이 있습니다.

한 번 보시겠습니다.

---------------------------------------------------

◉ 행복이란

우리가 행복을 이야기할 때는 삶의 일상적이며 정상적인 내용과 연결
되는 행복을 뜻한다.
많은 사람들은 물질적이며 가시적인 것을 소유함으로써 주어지는 만족
감을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인간 본연의 욕구에 속하는 것들이다.
어린애들이 마음에 드는 인형을 얻었을 때의 즐거움과 유사하다.

또 적지 않은 사람들이 정치로 대표되는 권력을 소유하기를 원한다.
지배하고 싶은 본능, 강자가 되려는 의욕, 야망을 채우고 싶은 삶의
욕망들이다. 그런 것을 소유했을 때는 만족과 즐거움을 누리며, 우리는
그것을 행복이라고 여긴다. 명예욕도 그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소유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실했을 때는 고통과 불행
으로 바뀌게 된다. 그런 것을 인생의 목적으로 삼는 사람은 소유의 노예가
되어 정신적 행복은 누리지 못한다. 그래서 예로부터 인생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말이 진리같이 전해지고 있다.

◉ 젊어서는 용기, 늙어서는 지혜

흔히 들어온 이야기가 있다. 젊었을 때는 용기가 있어야 하고, 장년기에
는 신념이 있어야 하나, 늙어서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젊었을 때는 삶의 활력이 넘쳐나는 시기로 용기가 없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다. 만용이나 자제해야 할 욕망을 위한 용기는 진정한 용기가
아니다. 선한 의지와 고상한 목표를 위한 용기가 있어야 한다.
인생에 있어 장년기는 가장 오랜 세월을 차지한다. 30에서 60까지는 장
년기에 속한다고 보아 좋을 것이다. 자신의 일과 더불어 성장하는 시기이
며 사회적 의미와 가치를 평가받는 기간이기도 하다. 그 긴 시간 동안
에는 어떤 신념이 있어야 한다. 무엇이 선이고 악이라는 윤리적 신념도
필요하다.
그러다가 장년을 끝내게 되면 대개의 경우 일터의 일선에서는 물러나게
된다. 늙으면 주어진 일을 열정적으로 수행하기에는 인간적 에너지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 계속 배우고 공부하기

그렇다면 노년기에 필요한 지혜란 어떤 것인가.
가장 중요한 것은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해서 지식을 넓혀가는 일이다.
70대에 갖고 있던 지식을 접거나 축소하지 말고 필요한 지식을 유지
하거나 넓혀가는 일이다.
나 같은 사람은 강연이나 이야기를 하는 일을 오래전부터 해왔다.
내가 연세대에서 강의를 시작한 것은 1953년이었다. 시간강사로 시작
을 하였고 31년 후에 정년 퇴임하고도 특수 대학원이나 행사에서 강의
나 강연을 했다. 그렇게 보면 63년간을 계속한 셈이다.
물론 건강이 유지되었고 여건이 채워진 때문이기도 하다.

◉ 사람은 성장하는 동안은 늙지 않는다.

노년기는 언제부터 시작되는가. 보통 65세부터라고 말한다.
그러나 나와 내 가까운 친구들은 그런 생각을 버린 지 오래다.
사람은 성장하는 동안은 늙지 않는다. 육체적으로는 40대가 되면 성인
병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늙는다고 생각하지만, 정신적 성장과 인간적
성숙은 그런 한계가 없다. 노력만 한다면 75세까지는 성장이 가능하
다고 생각한다. 내가 1961년에 미국에 갔을 때 미국 백인 교수들은
‘인생은 60부터’라는 말을 모두 믿고 있었다.

◉ 선생님, 제 큰 절을 받으세요.

2015년 가을이었다. 45회 중앙 졸업생 중의 한 제자로부터 전화가
왔다. 미국에 살던 방 군이 서울에 오는데, 동기들이 선생님을 모시고
점심을 같이 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약속한 시간에 63 빌딩 양식당으로 갔다. 방 군을 포함하여 9명이
모여 기다리고 있었다. 80세 전후의 옛날 제자들이었다. 이름이 기억
나는 이도 있고 얼굴이 기억에 남는 제자도 있었다.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나도 동창의 한 사람으로 착각했을 정도로 모두 늙어 있었다.
식사를 시작하기 전에 방 군이 입을 열었다. 방 군은 일찍 미국에
건너가 의사로 일하다가 정년으로 퇴직을 하였다. 방 군은 625 전쟁
기간에 졸업생이었다.
“제가 미국에서 우연히 TV를 보다가 선생님께서 건재하신 것을 알았
습니다. 더 세월이 지나기 전에 뵈옵고 제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
베풀어주신 말씀과 사랑에 감사해야겠다는 결심을 했습니다. 그때
토요일 오후마다 들려주시던 말씀을 못 들었다면 지금의 저는 없었
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더 늙으시기 전에 큰절을 드리
고 싶었습니다.”
라고 말하면서 카펫 위에 무릎을 꿇고 큰절을 했다. 자리를 함께 한
다른 친구들도 같이 엎드렸다. 서빙을 하기 위해 들어섰던 직원들이
놀라는 표정이었다.
그것이 사제간의 사랑이다. 나는 제자들에게 해준 일이 없었다.
그저 저 제자들이 자라 모두 행복해지고 사회를 위해 봉사를 하는 일
꾼이 되어주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가졌을 뿐이다.
사랑이 있는 사람은 자기를 위하게 되어 있지 않다. 사랑하는 상대
를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도 더 사랑하고 싶어 지는 법이다.

◉ 사랑이 있는 고생이 행복이다.

2011년 한림대학교에서 일송(一松)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그 수상
소감에서 한 말이다.

“제가 사랑이 있는 고생이 행복이었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 90이
넘는 세월이 걸렸습니다. 그렇게 많은 사랑을 받아오면서도 그
사실을 외면하고 살았습니다. 다시 한번 교단에 설 수 있다면
정성껏 제자들을 위하고 사랑해주고 싶습니다. 여러 교수님들은
저와 같은 후회를 남기지 않도록 새 출발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것이 제 나이가 되면 여러분의 인생을 행복과 영광으로 이끌어
줄 것으로 믿고 감사드립니다.”

-----------------------------------------------------------------

오늘은 백세를 목전에 둔 노학자의 책을 한 번 보았습니다.

저자는 정말 한 세기를 살아온 대한민국의 산 증인이었습니다.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대학을 나오고 서울에서 고교 교사를
거쳐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한 평생을 살아온 그는 우리나라
철학계의 1세대라 불립니다.

그의 글을 보자면, 차분히 한 인생을 교육자로 학자로 헌신하였고
수많은 제자들의 사랑을 아직도 받고 있는 큰 어른이었습니다.
80세가 넘은 제자들이 함께 모여 큰절을 올리는 장면은 참으로 흐뭇
하고 뭉클합니다.
아직도 배우고 공부하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는 저자는 배우고 성장
하는 동안은 나이에 상관없이 늙지 않는다고 합니다.
너무 조로하여 50-60에 성장을 멈추어 버린 사람들에게 그는 새로운
일깨움을 주고 있습니다.

"사랑이 있는 고생이 행복이었다."라는 고백은 참 가슴에 와 닿습니다.
제자들을 위한 헌신, 지병이 있는 아내를 위한 병수발 등을 통해 이러한
가치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앞으로 의학이 발달하고 건강에 관심이 늘어나면서 점차 백세 사회가
오리라 예상이 되는 이 시점에 백세를 살아오신 스승의 말씀은 한 줄기
빛처럼 이 사회에 비치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