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창훈 May 08. 2020

 꼭 필요한 만큼 써먹는 '적정영어', Globish

시간이 없는 전문가가 현실적으로 쓸 수 있는 영어

적정영어, 활용하는 영어로 충분하다.


 적정 기술 (AE, Appropriate Technology)이라는 말이 있다. 인류에게 고도의 기술이 축적되어 있지만 실생활에서 꼭 필요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만을 활용하는 것이다.  아프리카에서 물통을 눕힌 드럼통 형식으로 만들어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한 사례 등 널리 쓰이고 있다. 흔히 말하는 가성비가 높기 때문일 것이다.

 영어에도 적정 영어 (Appropriate English) 가 있다.  간단히 말하면 내가 일하는 분야에 관해서는 다소 더듬거리더라도 말할 수 있고, 100%는 아니더라도 상대방의 말을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수준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발음이 세련될 필요도 없다.  의도한 대로 전달되는 것이 우선순위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후에 추가적 노력을 통해 세련된 발음이나 정확한 문법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서는 영미권 사람들 이외에도 많은 외국인들과 영어로 소통을 할 일이 발생한다.  어차피 쓰는 영어라면 멋지고 수준있게 영미권 사람들 같은 발음과 유창함으로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는 한다.  하지만 그 수준을 목표로 잡다보면 다른 바쁜 일에 우선순위가 밀려 결국은 담을 쌓고 만다.  (한편으로 네이티브 수준인 사람이 하는 말을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상대방이 내 말을 못알아 듣는 당황스러운 상황도 가끔 발생한다.)

  실제로 내 영어실력과 발음이 고급 수준이 아닌 경우 중국, 일본, 홍콩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 더 편안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서로가 쉬운 표현을 적정한 속도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반기문 전 사무총장을 비롯해서 영미권 출신이 아닌 국제기구 수장들의 영어를 들어보면 쉽게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영어가 계속 숙제로만 남아있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영어는 숙제로만 남아있다.  '영어' 자체를 소재로 대화하다보면 '아~ 영어해야되는데'라는 말을 가장 많이 듣는 것 같다.  영어가 숙제로만 남게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필자의 생각에는 딱 두가지 뿐이다.  하나는 목표가 분명하지 않거나, 목표가 너무 높고 먼 곳에 있는 것이다.

  원래 언어라는 것은 목표 개념이 없다. 한국 사람들은 대부분은 '저는 영어를 못해요'라고 말하지만 그 '못한다'는 기준도 모호하다. 물론 토익, 토플과 같은 점수화된 시험이 있기에 우리는 그것을 목표로 공부하고 시험을 본다. 하지만 그간 많은 보완이 있었음에도 '시험 대비' 언어 훈련은 실전에서 많은 한계를 드러낸다.

  자신의 전공, 전문 분야가 있는 성인에게는 단순한 하나의 목표가 있다. '나의 전문 영역을 영어로 어떻게든 알아듣고 말할 수 있는 수준'이다.  (물론 그 이후에 영문을 잘 읽거나, 영작을 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수준에 관련된 더 구체적인 목표는 세가지가 있다.  구체적이고 단순한 목표가 정해지면 실질적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에게 필요한 '적정 영어'의 세가지 목표


 문법 - 문법은 대략 중3, 고1 정도의 교재 한권을 숙지하면 된다. 문법을 100% 맞춰 쓰는 것보다는 상대가 오해할 수 있는 표현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숙지했다고 말할 수 있는 기준은 단순하다.  해당 교재의 한국어 지문을 보고 영작을 할 수 있으면 된다.  물론 영작을 했을 때는 해당 지문이 의도하는 문법적인 핵심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전문 자료 - 내 전문 영역의 대표적인 영문 자료를 직접 번역해보고, 한국어를 보며 영어로 표현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외워도 좋다.) 영문 자료는 잡지의 기사가 될 수도 있고, 전문 매뉴얼이 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내 전문 분야에 해당되는 용어, 표현을 폭넓게 아는 것이다.  중3, 고1 수준의 문법 수준이라도, 그 문법의 틀에 전문 용어를 잘 반영하여 사용하면 기본적인 소통에는 문제가 없게 된다.

 내 스크립트 - 내가 스스로 전문 영역을 설명하는 스크립트를 만들어 본다.  한국어로 본인의 전문 영역을 설명한다면 크게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한국어 내용을 녹음이나 글로 기록한 후 영작해 보면 된다. 그리고 원어민에게 교정을 받아 본다.  내가 주로 틀리는 패턴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이 스크립트가 영문으로 완성되면, 이것을 기반으로 자유롭게 응용하면서 표현해 본다.


좋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복잡한 것을 단순명료하게


 영어 스피치 클럽을 처음 갔을 때 인상적인 두 사람이 있었다. 한명은 교포였는데 'Um,.. Well,.. You know,... Like...'등의 불필요한 표현(cliche)을 과도하게 많이 섞어 표현했다. 5분 정도의 발표에서 대체 핵심이 뭐였는지는 모르겠고 그냥 You know, Like민 기억났다. 다른 한명은 인도인이었는데, 유창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단문을 중심으로 하고자 하는 말을 간결하게 풀어 나갔다.  물론 키워드와 메시지도 명확하게 들어왔다.

 생각해보자, 한국인은 한국어를 유창하게 한다.  하지만 한국어를 장황하고 복잡하게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비즈니스에서는 유창한(?) 것보다는 단순명료한 것이 더 중요하다.  영어를 유창하면서도 단순명료하게 하면 가장 좋겠지만, 둘 중 우선순위를 둔다면 무엇을 선택하겠는가?

 역설적이게도 영어가 매우 유창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명료'하게 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내 분야에 대한 풍부한 배경지식, 평소에 조금씩 꾸준히 다듬어 놓은 언어 감각, 이 두가지가 있다면 화려하고 세련된 표현이 아닐지라도, 필요한 상황에 맞춰 포인트를 잘 말할 수 있게 된다. 외국어로 일상 대화나 잡담을 하고자 한다면 그냥 즐기며 배우면 된다.  하지만 비즈니스와 같이 목적이 있는 상황이라면, 복잡한 것을 단순화해서 명확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세련됨은 그 뒤에 따라오도록 연습하면 된다.


관심에서 실천으로


필자는 외국에서 살거나 공부하지 않았고 세련된 표현을 많이 쓰지도 않는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가장 쉬운 단어와 표현으로 의도하는 바를 전달한다.  네이티브나 교포 정도의 수준은 아니더라도 감각적 훈련을 오래 해왔기 때문이다.  그런 필자에게 적잖은 분들이 말한다. "아~ 영어 하기는 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 할 수 있나요?"  한때 그 질문에 나는 침을 튀겨가며 열심히 내 생각을 말했다.  하지만 한참이 지나서야 알았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은 그저 '관심'의 영역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말그대로 '잘하면 좋겠지만, 그 불편한 과정들을 다시 겪고 싶지는 않다'는 상태인 것이다.  그러므로 권하는 바가 있다. 관심의 영역에서 구체적인 욕구와 실천의 영역으로 넘어오시라는 것이다. 적어도 당신의 전문 영역만큼은 영어로 이해하고 말할 수 있어야 하지 않는가?  영어로 의도하는 바를 표현하게 된 대부분이 말한다.  내가 가진 것을 펼칠 수 있는 무대, 그리고 상황을 보는 시야가 넓어졌다고.  이것은 전문 분야를 축적해온 모두에게 필요한 요소일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중년, 귀찮은 변화(?)와 계속 친해지는 중입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