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묘 Jun 02. 2017

인생은 '곧'

삼척에서 만난 할머니

삼척항 근처에서. 위로 가면 동해시, 아래로 가면 경상북도 울진군으로 이어진다.


터미널에 도착하자마자 곧장 삼척항으로 향했다. 일단 물회 한 그릇을 먹고 난 뒤, 바다를 볼 셈이었다. 바다를 보고 나면, 장미축제가 한창이라는 오십천변의 공원으로 이동할 예정. 드문드문 다니는 시내버스를 기다리다간 현기증이 날 것 같아서 택시를 잡아 탔다. 어차피 요금은 기본요금에 천 원 정도 더해질 터.


초로의 기사님은 충청도 사투리를 쓰는 분이었다. 저 서쪽지방의 말씨를 쓰는 기사님이 멀리 동쪽지방까지 와서 택시를 몰기까지 그의 인생행로가 조금 궁금해지기도 했으나, 궁금함은 그냥 궁금함으로 남겨 두었다.


일요일인데도 삼척항 근처는 무척 한갓진 편이었다. 바다 옆 새천년도로로 달리는 차도 없고, 인적도 별로 없었다. 아마 장미축제가 열리는 곳에 많이들 모여 있거나, 그것도 아니면 레저 스포츠나 캠핑을 즐길 수 있어서 요즘 각광받고 있다는 장호항으로 많이들 간 것이리라.


인적이 없는 탓에 다니는 택시도 없고, 다음 목적지까지 콜택시를 불러야 하나 잠시 고민을 하다가, 시내버스를 기다려 보기로 했다. 슬슬 걸어서 20분쯤 가니 버스 정류장이 나타났다. 할머니 한 분이 앉아서 버스를 기다리고 계셨다.

"할머니, 실례합니다. 버스가 몇 분에 있나요?"


할머니는 손목에 찬 번쩍번쩍 금시계를 가만히 들여다보셨다. 현재 시각 1시 20분.

"곧 와요."


나는 그 '곧'이 몇 분인지 알고 싶었다. 버스가 도착하기까지 남은 시간을 초단위로 알려주는 어플에 어느덧 익숙해진, 별 수 없는 서울사람이었기에. 버스 시각표가 없을까 하여 정류장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물었다.

"아, 곧 오나요? 몇 분에 한 대씩 다니는데요?"


"그런 거는 모르고, 버스가 시내에서 1시에 출발하면, 쭉 지나와서, 여기를 지나서, 저 안쪽에 호텔 있는 데까지 들어갔다가 다시 돌아서 나와요. 그러니까 곧 와요."  


"아…….


이제, 그 '곧'은 몸으로 느끼는 수밖에 없다. 할머니 옆에 가만히 앉아 삼척항에 옹기종기 모인 작은 배들을 바라보거나 산 위에 지어진 집들을 보며 감탄하면서 '곧'의 몇 분의 몇이 지났을까 자꾸만 셈을 해보았다. 한 번 감탄할 것을 두 번 세 번 감탄해도 '곧'은 아득했다. 할머니 옆에서 스마트폰을 꺼내어 만지는 것은 상당한 실례처럼 느껴져서 그러지 않기로 했다. 아까부터 할머니가 뭔가 말을 건네고 싶은 표정으로 나를 한 번씩 쳐다보셨기에.


이윽고 내 쪽에서 먼저 말을 붙여 보았다.

"시장 보러 가세요?"


"좀 볼일이 있어서."


"아, 그러시구나."


"아가씨는 어디에서 왔어요?"


"서울에서 왔어요."


"나도 본디는 서울사람인데 어쩌다 보니 삼척까지 와서. 이제는 옛날에 살던 곳도 못 찾아가요."


"아, 서울분이신데, 삼척으로 시집오신 거예요?"


아까부터 강원도 사투리를 쓰고 계셨기에 서울이 고향인 분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응, 그렇지. 삼척으로 시집왔지. 이제는 서울에 가도 아무도 없어요. 우리 친정 쪽 형제자매 전부 미국에서 살아. 내가 삼척으로 오겠다고 했을 때 가지 말라고 다들 그렇게 말렸는데. 그런데 우리 신랑이 그만 서른아홉에 돌아가셨어. 그때 내 나이는 서른셋."


할머니의 연세는 여든둘. 자녀분은 세 분. 50년 가까이 자녀 셋을 홀로 키우며 친정식구도 만나기 어려운 곳에서 버텨온 삶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뒤이어진 뜻밖의 이야기.

"내가 사실 지난 5년간 기억이 없어요."


"네?"


"어느 날 갑자기 쓰러져서 5년 동안을 식물인간처럼 누워만 있었대."


"어디가 편찮으셨어요? 아니면 사고를 당하신 거예요?"


"아니야. 아프지도 않고 사고를 당한 것도 아닌데 어느 날 갑자기 그렇게 된 거래요. 갑자기 딱 고만 쓰러져서 못 일어났다지. 그런데 6년째 되던 해에 눈을 떠서 이제 이렇게 조금씩 바깥으로도 다니게 된 거야. 처음에는 돈을 봐도 뭐가 뭔지를 몰랐는데 이제는 이렇게 동전도 셀 수 있게 됐어요."


할머니는 차비를 내기 위해 손에 가득 쥔 동전들을 펴 보이면서 아이처럼 웃었다. 할머니의 이야기를 좀 더 듣고 싶다고 생각했을 때, 버스가 우리 앞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곧'은 정말 곧이었다.



작가의 이전글 그래도 지구는 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