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대중철학자 Nov 06. 2024

우편을 찢었다

‘유성범 님 안녕하세요. XXX입니다. 2차 면접을 안내드립니다...’     


집에 오는 길에, 우편함에서 봉투를 꺼냈다. 카드사에서 온 새 카드였다. 미리 문자로 고지를 받았기 때문에, 겉면을 확인할 필요도 없이 안에 카드가 들어있는가 만지작 거렸다. 부욱. 집에 도착해서 종이를 반으로 찢었다. 발가벗겨진 채 모습을 드러낸 카드를 집게손가락으로 뺐다.      


‘중요한 건 안에 있는 카드일 뿐’     


거칠게 찢긴 종이는 글씨를 질질 흘리며 쓰레기통으로 던져졌다. 아무짝에 쓸모없어 보이는 종이. 왜 굳이 포장을 저렇게 많이 했을까. 나는 그런 포장은 반대한다. 종이가 아깝고, 인쇄되는 잉크와 전기세도 아깝다. 서울 중구 구청에 따르면 구청 사무실이 한 해 쓰는 628만 장의 종이를 절반만 줄여도 종이와 복사기를 사는데 필요한 예산 7800만 원을 절약할 수 있다.     


우편물은 포장을 통해서 우편의 형식으로 보내진다. 만약에 포장을 하지 않았더라면, 배달원도, 우편함도 없어진다. 디지털화에 따라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게 된다. 포장이라는 형식이 아이러니하게 시장을 형성하고 이끈다면 너무나 큰 비약일까.      


사람에게도 포장이 있다. 사람을 포장하는 시장도 주류 산업이다. 포장은 중요할까? 만약 포장도 볼 것 없이 바로 뜯기는 날이 오면 어떨까. 어느 날 100년 뒤에 디지털화된 취업 시장을 상상해 보자. 면접관은 집에서 클릭 하나로 간편하게 모든 지원자의 정량적 스펙을 비교하며 파악할 수 있다. 과장을 덧붙여서 집에 키우는 강아지 품종 하나만으로 우리 회사와 걸맞은 인재인지 데이터적으로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다. 사람을 직접 볼 필요도 없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회사 매칭률, 구성원 간의 조화 등이 수치로 뜨고, AI로 홀로그램을 만들어 모의 면접도 손쉽게 해 볼 것이다. 


다시 2024년으로 돌아와 보자. 오늘 나는 면접관을 대면해 면접을 치렀다. 간단한 이력과 살아온 경험을 위주로 물었고, 태도에 관한 몇 가지 질문이 이어졌다. 모두 또박또박 잘 이야기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과 부드러운 아이컨택을 유지하면서 비언어적으로 좋은 인상을 심어주려 노력했다. 그런 것들로 나를 포장한다. 비록 어려운 업무를 해내는데 역량이 부족할 수 있어도, 금방 따라잡을 수 있다며 한껏 미소 짓는다. 정장과 구두, 알맹이를 까보면 난 그저 글을 잘 쓰고 싶은 29살 사회 초년생에 불과한데.

      

만약에 면접관이 편지봉투를 뜯듯 나를 반으로 찢어서 알맹이만 빼냈다면, 나는 부끄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탈락했을 것이다. 그러나 편지의 만듦새를 보고, 부드러운 손길로 그 안에 있는 내용도 톺아보셨다.


편지봉투를 가차 없이 찢는 나는 본질을 굉장히 중요시하게 여긴다.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알맹이만 가지고 살아가기에는, 이 세상이 가지고 있는 불완전함을 포용하지 못한다. 우리는 본디 불완전한 존재임을, 그것이 가진 아름다움의 역설이 인간미를 만들어 갈 텐데 말이다.      


“그게 무슨 비빔밥이에요. 비벼먹을 수가 없는데”


어찌 보면 우리 사회는, 한국계 미국인 이균의 비빔밥이 안성재에게 인정받지 못한 것처럼, '그의 불온전한 정체성은 결국 사회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서사가 완성되었다고 말하는 우스갯소리와 같지 않을까.     


작가의 이전글 흑백요리사에 담긴 현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