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hilosophers needlework May 16. 2023

미친 김치

김치, 뜨개질 그리고 글쓰기

  

 어쩌다 보니 갑자기 김장을 하였다.      


 시댁에서 김치를 계속 보내 주셔서 묵은지가 와인처럼 빈티지를 따질 정도로 쌓인 채 살았다. 2021년 김치는 삼합용, 2022년 김치는 찌개용 이런 식으로. 그래서 김치 아쉬운 줄 몰랐다. 김치는 맛이 있었지만 받아먹는 입장에서 맛이 있네 없네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받는 것이 편하다고 내 취향이 없지는 않았다. 내 김치를 담가 보고 싶었다.      


 처음으로 배추김치를 포기로 담갔다. 여섯 포기였는데 배추가 엄청 커서 쪼개고 절이느라 고생을 좀 하였다. 결국 한 포기를 빼놓고 담가 놓으니 김치통 큰 것으로 두 통 반이나 되었다. 온 집안에 젓갈 냄새가 진동하고, 주방은 난장판이 되었으며, 허리를 펼 때마다 아구구 소리가 저절로 나오고, 손목이 시큰거려 젓가락질하기조차 힘들었으니 완벽한 김장이었다.      


 양념이 배추 안쪽까지 고루 밴 후 알맞게 발효되어야 맛있는 김치다. 김치를 급하게 익히려고 하다 보면 미친 상태가 된다. 겉면의 양념만 익고 배춧잎은 생생한 채로 양념과 배추가 따로 놀아 맛이 영 어울리지 않은 상태를 김치가 미쳤다고 한다. 미친 김치를 더 익도록 시간을 두면 맛이 나아지기는 하지만 처음부터 천천히 익기를 기다려 먹는 김치 맛과는 차이가 있다. 맛없는 김치는 푸욱 익혀 찌개를 끓이거나 볶아 먹으면 괜찮다. 그러나 미친 김치는 이도 저도 아니어서 뭘 해도 맛이 없다. 심지어 씻어 먹어도 별로다. 미친 김치는 맛없는 김치보다 더 나쁘다.    

  

 맛있는 김치를 만드는 일과 공감을 일으키고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글을 쓰는 것은 매우 닮아 있다. 김치는 좋은 재료를 쓰고 양념이 충분하되 과하지 않게 버무린 후 알맞은 온도에서 익혀 적당한 온도로 저장한다. 이렇게 단계를 차례차례 밟아야 맛있는 김치가 되듯이 글도 좋은 글감에 생각이 무르익은 후 저절로 써지듯 써야 한다. 김치가 익어가듯 글도 숙성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야기가 익기를 기다려 쓰인 글과 쥐어짜듯 서둘러 지은 글은 다르다.      


대바늘로 짠 스웨터

 김치처럼, 글처럼, 단계를 차근차근 밟아야 하는 것 중에 뜨개질도 있다. 

     

 뜨개질로 완성품을 만들려면 한 코를 건너뛸 수 없다. 먼저 만든 코에 이어서 다음 코를 만들기 때문이다. 코들이 이렇게 또는 저렇게 얽혀들며 무늬를 만들기도 한다. 완성품은 실 하나로 모두 연결되어 있다. 뜨개질을 할 때마다 이 신기에 매혹된다. 

     

 나는 단순한 과정이 반복될 때 무념무상에 빠지는 것을 좋아한다. 뜨개질할 때도 코바늘이나 대바늘이 실과 공간을 엮어 차원을 이동하는 것 같은 순간순간에 오로지 집중하다 보면 시간이 흐른 줄도 모를 때가 많다. 식사를 거르기도 하고 밤을 새울 때도 있다. 눈 안 아프냐, 그러다 어깨 나간다, 손가락 관절 상한다,는 걱정을 뒤로 하고 작업을 할 만큼 재미가 있다.     


 한 코 한 코, 한 땀 한 땀에 재미를 느끼다가도 완성에 욕심을 낼 때가 있다. 그러면 마음이 조급해지고 코를 놓치기도 한다. 빨리 알아채면 다행이지만 진도가 한참 나간 후에 빠뜨린 코를 발견하면 심하게 갈등이 된다. 잘 안 보이는 부분이라 티 안 날 거야. 나만 모른 척하면 아무도 모를 거야. 아무도 모르면 아무 일 없는 거다.  

     

 실제로 모른 척해 본 적이 있었다. 얼핏 봐서는 코가 빠진 티도 안 나고 그냥 입어도 크게 지장이 있을 것 같아 보이진 않았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나는 안다는 것이었다. 그 옷을 볼 때마다 빠진 코 부분에만 눈이 갔다. 그 흠이 보이나 안 보이나 신경 쓰느라 다른 부분이 얼마나 잘 만들어졌는지 살필 겨를이 없었다.    

  

 뜨개질하다 보면 이런 일들이 꼭 생긴다. 아무리 단순하고 익숙한 스티치라 하더라도 잠깐 방심하면 코를 빼먹는다. 그럴 때마다 실수를 모른 척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그리하면 어찌 될지 알면서 되풀이하는 잘못이 뼈아프다. 아닌 것은 아니다. 풀어야 할 것은 풀어야 한다. 기회비용이 아깝더라도 시작으로 돌아가야 한다. 실수를 깨달았을 때 망설이면 완성의 시간을 늦출 뿐이다. 어떻게든 좀 넘어가 보려 해도 결국 풀게 된다. 


 뜨개질의 좋은 점은 언제든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이다. 코를 빼먹었거나 무늬를 틀렸을 때 풀어서 고치는 것이 가능하다. 오래되어 싫증이 나면 실로 되돌려 다른 형태로 다시 짜면 된다. 풀 때 먼지가 날리고 그만큼 실의 부피는 줄겠지만 다시 시작할 수 있으니 그 정도는 감수할 만하다. 혹은 고급 스웨터는 가볍기도 하다.

 

 미친 김치를 맛있게 익힐 수 없듯 빠진 코를 모른 척하고 넘어가서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없다. 글쓰기도 이와 같다. 뭔가 부족하다는 것은 쓰는 당사자가 제일 잘 안다. 미진한 점을 발견하면 과감하게 다시 시작해야 한다. 어렵게 어렵게 지어낸 글일수록 버리기가 더 아깝겠지만 바늘허리에 실을 매어서 쓰지 못하듯, 미친 김치가 맛있어지지 않듯, 순서에 맞게 때를 기다려 찬찬히 글을 써야 한다.      

 

필사하는 중


작가의 이전글 내가 좋아하는 것 [My favorite things]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