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루 MuRu Mar 22. 2020

타인을 '정죄(定罪)'하고자 하는 욕망

왜 꼭 '너'가 죄인이고, '내'가 정의여야 하는가

우리 모두에게는 

타인을 '정죄(定罪)'하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


다른 말로 하면, 

'너는 죄가 있다', 

'너는 죄인이다', 

'너는 처벌받아야 한다',

'너가 잘못했다',

'너가 틀렸다',

'너는 이상하다'라고 

하고 싶어함이다. 


이것은 실은, 

'나는 죄가 없다',

'나는 너를 처벌하는 사람이다',

'나는 잘했다',

'나는 맞다',

'내가 옳다',

'나는 정상이다'라고

하고 싶어함이다.


/


왜 꼭 너가 죄인이고, 내가 정의이어야 할까.


왜 꼭 너가 잘못했고, 나는 잘한 것이어야 할까.


왜 꼭 너가 틀렸고, 내가 맞아야 할까.


나아가, 애초에 그러한 '맞고 틀림'이 절대적으로 존재할까.


/



물론 경우에 따라선 '맞고 틀림'을 유용하게, 도구로서

사용해야 할 때도 있다. 종종 있다. 

그런 경우엔 잘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설사 이 '정죄의 욕망'을 잘 사용한다 해도

그 판단은 언제든 바뀔 수 있는 가변적인 것임을 

늘 눈치채고 있어야 한다.


더우기 이 '정죄의 욕망'이 불필요한 곳에 사용될 때는 더더욱.


한번 정한 '맞고 틀림'이 

결코 바뀔 수 없는 그런 무엇이 아님을 

늘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가변적이고 바뀔 수 있는 것인데

절대이고 불변이라 착각하면

결국 부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본래 그런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이러한 것 이전에 

정말 다시 한번 보아야 한다.


왜 꼭 너가 죄인이고, 내가 정의이어야 하는지.


왜 꼭 너가 잘못했고, 나는 잘한 것이어야 하는지.


왜 꼭 너가 틀렸고, 내가 맞아야 하는지.


그 반대일 수도 있고, 

심지어 너도 나도 아무도 죄인이 아닐 수도 있다.

아무의 잘못이 아닐 수도 있다.


나아가, 애초에 그러한 '맞고 틀림'이 정말 존재하는지.

'죄, 잘못, 이상'이라는 것 자체가 없는 것은 아닌지.


/


타인을 정죄하고자 하는 욕망.


어쩌면 인간의 근본 무명인 '탐진치'보다

더 중독성 높고 독성이 큰 근본 착각이자 오해, 오류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수용과 거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