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루 MuRu Oct 15. 2015

모르는 내가 옳고, 아는 너는 틀렸다

'자기 옳음'의 확신에 대한 인간의 강한 본능

"모르는 내가 옳고, 아는 너는 틀렸다."


이 말은 분명 모순이다. 

(다른 표현은 "틀린 내가 맞고, 맞은 너는 틀렸다") 


그런데 인간의 '자기 옳음'에 대한 본능적 느낌과 믿음은 너무나 강하고 교묘해서, 심지어 자신이 '모르는' 경우 조차도 자기가 옳다고 여길 정도다.  


이 '자기 옳음에 대한 느낌 혹은 믿음'은 다분히 동물적 본능 혹은 원형적 본능이다. 예를 들어 동물은, 어느 순간에 자신이 무엇을 하든 그게 맞다는 느낌을 바탕으로 모든 것을 해 나갈 것이다.  


만약 '내가 틀렸다'는 느낌이 주되게 되면 그 동물은 혼란과 당황스러움에 옴짝달싹도 못하고 정지해 있을 것이다. 그러면 포식자에게 먹히든 굶어 죽든 할 것이다. 그래서 '내가 맞다. 나는 제대로 하고 있다. 내가 옳다'는 느낌을 비언어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계속 바탕에 깔도록 본능화 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제 대뇌 전전두엽의 이성의 기능이 발달된 인간은 추가된 대뇌의 능력인 '상상, 연상, 연결' 기능에 의해 이 본능적 느낌이 확장, 과장, 왜곡되어 버린다. 그런데 조금만 주의 깊게 사유하면, 이러한 '자기 옳음'의 강력한 느낌이 다만 하나의 본능의 흔적일 뿐 항상 그런 것은 아니라는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고 알 수 있다. 그런데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자기도 모르게 이 본능에 매몰되어 있다.  



이제 남은 것은 두 가지 중 하나다.  


이를 도구로써 사용함으로써,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를 구분해서 필요할 때만 사용하느냐 아니면 여전히 절대 사실로 받아들여 글자 그대로 '내가 옳다는 것은 항상 옳다'라고 스스로 매몰 되느냐.  


두 가지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동물성에서 벗어나느냐 아니면 여전히 동물에 가깝게 살아가느냐가 결정되겠다. 


이것은 '내가 틀렸다'로 그 본능적 느낌을 바꾸라는 말이 아니다. 그게 아니라 계속 '내가 옳다'를 바탕 느낌으로 삼고 살아가되, 필요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 실제로 내가 옳은 지 아니면 내가 틀릴 수도 있는 지를 이성적으로 파악하고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당연히 이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유용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비전을 세우는 최고의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