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오늘의 픽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허병민 Oct 16. 2023

2023. 10. 15.


‧ Rest in peace, Mr. Park.


‧ 제2의 아이유 탄생, 미리 축하.


‧ '발레리나'에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아니 기이+황당했던 씬.


‧ Mary Quant. 미니스커트를 탄생시킨 장본인. 

   약 10년 전에 딱 한 번 콘텐츠 쪽으로 협업했음. 

   당시, 외부인에게 한 번도 공유한 적이 없다면서 

   '엄청난' 자료를 보내왔지. 기억하기론, 자신이 만든

   최초의 미니스커트 관련 촬영물이 중심이 된 자료 

   뭉탱이. 반 년 전에 돌아가셨다는 걸 뒤늦게 인지. 

   사용 후 돌려달라고 했는데.


‧ MI7. 감독님 나빠요. 저렇게 감미로운 광고 한 편 

  뚝딱 만들어놓고, 허무하기 짝이 없게 퇴장시키는 

  스킬 시전. 뭐, 팬들은 다음 편에서 살아 돌아오는 

  거 아니냐 하지만, I doubt it. 눈을 뜬 채로 작별을

  고했다고요.


‧ 사진은 어릴 적의 我.


‧ '대학 교양영어는 회화 중심으로 가야 한다.' 

  문학평론가로서 교수신문 2005년 5월 중순경에 

  투고했던 칼럼. 바로 전주에 한 교수의 헛소리 

  가득했던 '회화 술술 하려면 작문부터 깨쳐야'라는 

  타이틀의 칼럼이 실려 바로 반론을 써서 투고했던 

  기억. 18년 전에 쓴 글이지만, 지금도 같은 생각. 

  어릴 적 미국에서 살다 온 1인으로서 하는 말이지만,

  작문은 뭔 작문. 작문이 중요치 않다는 얘기가 아니라,

  주객이 전도됐다는 것.


‧ 사르트르와 레비나스, 시인 김수영, 

  사실상 이 세 사람 때문에 2002년에 철학대학원에 

  갔다. 사르트르와 관련된 웬만한 글은 다 봤다고 

  생각했는데, 희한하게도 이건 몰랐네. 

  아 놔, 사르트르 옹.


‧ 저런 청초한 느낌, thumbs up. 짝짝짝.

매거진의 이전글 2023.2.8.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