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필명이오 Mar 13. 2023

요즘 집안 좋고 예쁘고 잘생긴 애들이 공부도 잘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원 고르기

 사촌동생 혼자 돌봄 교실에서 7시까지 있기는 무리일 것 같아서 삼촌과 같이 학원을 고르고 있었다.


 “아, 이거 어떻게 알아봐야 되냐… 너는 무슨 학원이 좋을 것 같아?”


 “수학이랑 영어는 원래 많이 다니고, 내가 중학교 들어갔을 쯤부터 국어랑 과학 학원에 많이 가기 시작했지.“


 “수학이랑 영어는 방과후 보내고 있잖아.”


 “얘가 가는 건 주산이잖아.”


 “주산이랑 수학이 똑같지 않나? 과학? 과학도 일찍 보내야 되나?”


 ”뭐든지 해놓으면 좋지. 그전까지 과학 학원은 영재고/과학고 보낼 애들만 다니는 곳이라는 인식이 많았는데, 나 때부터 많이 다니더라. 나는 원래 문과였으니까 같은 반이었던 고등학교 친구들도 다 문과였는데, 다들 과학 학원 많이 갔어. 이과인 애들은 당연히 많이 갔고. 문과라도 내신에 1학년 통합과학은 꼭 들어가니까, 미리 1년 치 끝내놓고 학기 중에 시간 번다고. 특히 화학은 일찍 배우면 좋지. 내가 해보니까 어렵더라. 나도 했으면 좋았을 걸.”


 “그렇다고? 그럼 학원을 몇 개나 보내야 되는 거야… 요즘 학원 하나 한달에 얼마나 할까?”


 “기본 30만 원 아닐까?”


 “30??? 아니 무슨 이렇게 쪼마난 애 학원 한 번 보내는데 30인데?”


 “삼촌! 요즘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데… 30이면 괜찮지.”


 “야, 30이면 거의 내 월급의 10% 정돈데, 나 혼자 벌어서 어떻게 30만 원씩 하는 학원 여러 개 돌리냐? 맨날 보내는 학원은 아닐 거잖아?”


 “체육관 아니고 공부하는 학원이면 거의 주 2회겠지? 많아도 3회? 그래서 엄마들이 학원끼리 시간 잘 맞물리게 스케줄 짜잖아. 월요일이랑 수요일에는 어디 가고, 화요일이랑 목요일에는 또 어디 가고…”


 “야, 그러면 원래 1학년이 1시에 끝나고 내가 7시에 집 도착하는데, 주 5일 하루에 6시간 동안 학원에 있으려면 5~6개는 보내야 되는 거야? 돌봄 교실 다녀도 학원 2~3개는 가야 되고? 내가 엄청 많이 버는 편도 아닌데… 돈 벌어서 학원비로 다 나가겠어.”


 “뭐 어떡하겠어… 일하는 동안 애를 혼자 둘 수가 없는데… 나 학생 때는 어머니들이 퇴근하시면서 애들 태우고 과외선생님 계신 동네까지 운전해서 수업 듣게 했는데? 전 과목 과외 붙이거나, 똑같은 과목인데 학원 다니면서 과외 다니거나 많아. 뭐… 효과 있으니까 다들 그렇게 하지.”


 “야! 그렇게 안 해도 될 애는 돼! 그거 다 헛빵이야.”


 “내 애가 될 앤지 안 될 앤지 아는 방법은 일단 시켜보는 거 아니겠어? 될 애가 좀 더 수월하게 되고, 안 될 애가 되게 만드는 게 환경의 힘이지. 삼촌도 애 고등학교 보내봐. 내가 고등학교 다녀보니까 그렇더라. 영유나 유학이나… 나만 국내파야.”


 “너네 학교는 부촌에서 온 애들이 많아서 그게 일반적으로 보이는 거고.”


 “있는 집은 아버지 해외근무 겸 유학시키고, 짧으면 어학연수라도, 없어도 없는 대로 빚내서 교육시켜요. 그런 거 보면 우리 엄마는 내가 가성비 좋았지. 인강 패스만 끊었으니까.”


 “니 정도는 다들 하지 않나?”


 “그래? 그렇다 쳐도 엄마는 나한테 교육비가 거의 안 들었잖아. 남들 월 몇 백씩 긁을 때.”


 “그러니까 애들이 수업들을 때 졸잖아. 돈 아깝게.”


 “학원은 공부하는 목적도 있지만, 일종의 커뮤니티야. 자기들끼리 잘 어울리려면 본인 성적이 좋아야 되니까 안 졸고 열심히 하는 애도 많아.”


 “다 헛빵이야.”


 “삼촌 생각이 그렇다는데 뭐 내가 어떻게 할 수 있겠어? 근데 나는 내가 그렇게 안 컸는데도, 내 애를 낳으면 그렇게 할 것 같아. 근데 삼촌은 내가 여기 안 왔으면 혼자 어떻게 하려고 했어?”


 “아니, 돌봄이 7시까지 되는 줄 알았지. 다들 그렇게 하는 줄 알았는데, 갑자기 아닌 걸 알았잖아.”


 “이제 어떡하려고? 내가 여기 계속 있을 수 있는 건 아니잖아…”


 “주 5일 되는 체육관이나 하나 보내야지. 공부 잘하는 것보다 사람 되는 게 먼저야.”


 “애들은 나쁜 환경만 없으면 어떻게 하든 자연스럽게 인간적으로 커. 내 친구들을 봐도 공부 잘하는 애들이 좋은 말만 듣고 자라서 성격도 좋아. 요즘은 집안도 좋고, 예쁘고 잘생긴 애들이 공부까지 잘해. 예체능도 안 빠지고, 키도 커. 모난 데가 없다니까? 엄마 아빠가 그만큼 신경 쓸 여유가 있다는 거거든.”


 “공부만 시켜서 성격 이상해진 거 뉴스에 많이 나오잖아.”


 “그건 극히 일부고. 내 친구들은 다 예쁘고 착해. 공부 잘하는 애랑 예쁜 애랑 교집합이 더 많다니까? 요즘 세대는 우월한 유전자랑 환경만 골라서 물려받은 애들이 많아.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때부터 세대를 거듭한 종자 개량이랄까?”


 “아니야. 사람 되는 게 먼저야.”


 “애들 다 착하다니까? 공부하는 습관도 정신 수양이야. 연예인처럼 생긴 애들이 공부도 잘해.”


 “나는 쟤가 힘들 것 같은데. 나도 수업 들을 때 너무 지루해서 언제 끝나나 시계만 계속 확인했거든.”


 “막상 거기에 넣어놓으면 다들 나처럼 크나보다 하고 알아서 해. 더 이상 못 하겠으면 그동안 해놓은 걸로 고등학교 가서 편하게 살더라. 특히 제2외국어 쪽이 그래.”


 “그렇게 하면 다 대학 잘 가나?”


 “스카이 서성한 많이 가고, 재수하는 애들도 있지.”


 “거 봐. 재수하잖아.”


 “의치한 가려고 다들 해. 요즘 재수는 다르지. 공부 잘하는 애들이 재수 많이 해. 그렇게 안 시켰으면 이런 세계가 있다는 것도 모르고, 재수할 생각도 안 하고, 아무 데나 가서 생각 없이 놀겠지. 다른 쪽에 재능이 있으면 몰라도, 예체능에 비하면 공부가 제일 가성비 좋아. 매년 몇십 만 명씩 그 시장에 뛰어드니까 프리패스가 싸잖아.”


 “하긴 우리 때는 학생 수가 많아서 어디든 들어갈라 했다만, 요즘은 눈이 높아서 골라 들어가려고 그런다더라. 근데 우리 때는 지금 애들이 안 가려고 하는 대학의 비주류 과들도 경쟁률이 3:1, 5:1 이랬어.”


 “지금은 완전 양극화지. 학교 다닐 때 보면, 메디컬 가는 극극상위권은 자본력으로 어릴 때부터 다져진 다재다능이 있어. 확실히 성골 진골이야. 나도 공부 열심히 해서 화이트컬러 해야지.”


 “화이트칼라, 블루칼라가 뭐가 중요하냐? 우리 동창회 가면 회장이 누굴 것 같아? 경찰청 간부 친구? 서울대 나온 친구? 아니. 학교 다닐 때 맨날 놀다가 공사 현장 장비 대여해 주는 애야. 돈 많으면 떵떵거리고 살아. 지금 다 친구일 것 같지? 다 경쟁이야. 걔가 돈 제일 많으니까 ”


 “그렇게 경쟁의식만 그득그득하면 열등감만 생겨. 이상을 낮출 바에는 현실을 높여야지. 자기 계발이 최고의 투자야. 그래서 공부해본 사람이든 안 해본 사람이든 자식 교육에 돈 쏟아붓는 거고. 나는 현우진쌤 말을 믿어. 주변을 보면서 ‘이 정도면 괜찮겠지?’, ‘나도 한 번 졸아볼까?’ 줏대 없이 흔들리기보다 본인한테 집중하는 게 중요해.”


 “나는 현우진 정승제 모르는 줄 아나? 그 사람들은 성공했으니까 그런 말을 하는 거야.”


 “그럼 성공한 사람들이 그런 말하지, 실패한 사람들이 그런 말해? 학생들도 성공한 사람들 말을 믿어야지.”

매거진의 이전글 8살 사촌동생의 꿈은 건물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