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피링스 Nov 29. 2021

기가막힌 메타영화 <홀리모터스>

★★★★★


 어느 순간부터는 같은 변주가 계속되긴 했지만 엔딩으로 갈수록 진짜 감독이 웃긴 것 같아서 진짜 웃음도 나오고, 어디 한 번 더 해봐, 어떻게 마무리 하나 보자 하는 생각으로 재밌게 봤다. 오스카의 귀가, 셀린의 귀가, 자동차의 대화 이 모든 게 이 감독의 장난인 걸 깨닫고 웃으며 끝나게 됐다.


 영화 내적(또 한 단계 더 내적) 이야기는 강도를 높여가며 연기와 삶을 혼동스럽게 하며 생각거릴 던지는 것 같지만 그냥 내내 같은 걸 보고 있을 뿐이다. 이 같은 것이란 건 레오 까락스라는 웃긴 사람의 장난질 같은 이 ‘홀리 모터스’ 영화다. 차가 말을 하든, 침팬지가 아내와 딸이든, 오스카씨의 진짜 정체가 뭐든 아무 상관 없다. 사실 어떤 이야기가 나와서 지구가 멸망하든 모두 다 죽든 뭔 상관인가. 우린 이거 다 보면 그냥 별점 매기고 잊어버릴 것을. 그저 많았던 레오 까락스가 짜고 드니 라방이 춤춘 일부의 순간 중의 하나이다.


 그러니 오스카 씨가 여러 개의 인생을 겨우 연기 한 것 같긴 하지만 사실 오스카씨는 무슨.. 드니 라방일 뿐이다. 사실 그가 배우로서 데뷔한 순간부터 우린 한 순간도 진짜 드니 라방은 본 적도 없다. 레오 까락스가 포장해서 선물한 드니 라방 말고, 아무개 라방의 아들인 드니 라방의 원래 말투나 생각은 애초에 들을 수도 없었고, 우린 본 적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 라방이 연기하는 오스카씨, 그 오스카씨가 연기하는 여러 캐릭터들에 몰입하다가도 ‘아차, 이거 연기지?’라고 인지하는 순간에도 우린 ‘아차, 그 연기하는 것도 연기지?’라고 이중으로 메타인지를 해야만 한다. 영화에 익숙할 수록 그게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그게 킹받는데 또 그래서 대단하다고 느껴지는 포인트다. 


 결국 이 영화에서 드니 라방은 오스카라는 캐릭터를 통해 그가 마치 배우인 스스로에 대해 자각하는 것처럼, 스스로의 배우 인생을 되돌아보는 것처럼, 그래서 이 영화가 마치 드니 라방의 고뇌담긴 자서전인 것처럼 보이다가도 결국엔 레오 까락스가 조종하고 있다는 걸 다시 또 깨닫게 되면서 ‘참 웃긴 감독이야’하는 수 밖에 없고, ‘영화와 배우와 관객을 아주 제멋대로 가지고 노는구만’이라고 인정할 수 밖에 없다. 


 그러니 사실 우리는 이 영화가 이상하다고 하지만, 배우에게는 그의 삶이 이상한 것이었다. 그리고 자기의 삶이 이상하다는 말조차도 가짜인 영화로 던져질 수 밖에 없었다. 


 실험영화도 예술영화도 아닌 개념영화라고 해야할까. 도발적인 질문 그 자체를 두 시간 동안 별별 요소를 다 집어넣고 자사도 열심히 써서 만든 것도 생각해보면 열받고(킹받고) 또 웃긴 것 같다. 


*중간에 보강씨를 연기하며 호텔로 갈 때, 차 안에서 잡힌 앵글로 문을 닫고 걸어가는 보강씨(오스카(라방(까락스의 광대)))를 보여주며 차문이 닫히며 사운드가 다 꺼져 조용해지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음 연기하러 떠난 배우의 텅 비어버린 마음같다고 할까.(근데 그것도 배우가 아닌 감독 까락스의 설정….) 


*카일리 미노그를 배우로 쓰면서 다른 배우한테 카일리 미노그 이름을 붙인 것도, 10대 파티에 언제쩍 카일리 미노그 히트곡을 쓰는 지도, 모두 아찔하게 열받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아한 재스민의 동정과 냉정 사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