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riadne Jun 27. 2023

2.5. 플랫폼 노동자의 근무 실태

고용노동부 '디지털노동대응TF' 발표자료

다음은 고용노동부에서 가장 최근에 조사된 플랫폼 종사자 조사결과이다.



’22년 플랫폼종사자 규모와 근무실태 결과 발표


- 온라인 플랫폼의 단순 중개‧소개 또는 알선을 통해 일거리(일감)를 구한 종사자 292만명(32.9% 증가)

- 웹 기반형 플랫폼은 일감 증가 등의 영향으로 종사자 전문직 60.3%, IT 21.4% 증가

- 월 평균 근무일수(14.9 → 14.7일) 및 일 평균 근무시간(6.3 → 6.4h)은 전년과 유사

- 웹 기반형 직종의 경우 수입증가

- 12.2%가 플랫폼 노동이 첫 일자리

- 주업형과 간헐적 참가형으로 플랫폼 노동 양분화

- 웹 기반형 플랫폼  직종의 종사자는 플랫폼 노동 중단(이직 의향)이 38~44%로 비교적 낮음


- 모집단 : 전국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총 50,000명(15~69세) 대상 표본조사 실시  
* 「주민등록연앙인구통계」(’22.7.)를 모집단으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표본 추출 
- 조사 기간 : 2022년 10월~11월
- 조사 방법 : 전화 및 온라인 조사



[1] 플랫폼 종사자의 규모 및 유형


1. 규모
플랫폼 종사자 즉, '고객만족도 평가 등의 방법으로 일의 배정 등에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을 매개로 노무를 제공하는 플랫폼 종사자*'는 약 80만 명으로 취업자 (15~69세)의 3.0%에 해당하며, ’21년 약 66만 명 대비 13.4만 명(20.3%) 증가했다.


*일의 배정 등에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이 대가나 보수를 중개하고, 중개되는 일이 특정인이  아닌 다수에게 열려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배달, 번역 플랫폼 등) 

※ 온라인 플랫폼(스마트폰 앱이나 웹사이트 등)의 단순 중개‧소개 또는 알선을 통해 일거리(일감)를 구한 종사자까지 포함한 광의의 플랫폼 종사자는 약 292만 명으로 ’21년 약 220만 명에 비해 약 72.2만명(32.9%) 증가


2. 성별⋅연령별 분포  
플랫폼 종사자 중 남성은 74.3%(590천명), 여성은 25.7%(205천명)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는 40대(35.3%)가 전년에 비해 가장 크게 증가했고, 30대 (31.0%), 50대(21.5%) 순으로 높았으며, 15-19세(△57.19%), 20대(△11.3%)는 감소했다. 

직종별 규모 변화  플랫폼 종사자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큰 배달‧배송‧운전 직종은 2.2% 증가에 그친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으로 가사‧청소‧돌봄 직종(89.3%) 등에서는 종사자가 크게 증가했다.   

웹 기반형 플랫폼 직종(미술 등 창작활동, 데이터 입력 등 단순 작업 등), 전문 서비스 등도 일감 증가 등의 영향으로 종사자가 크게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났다.  


출처 : 2022.12.27. 한국고용정보원 , 근로기준정책관, 디지털노동대응TF 보도자료



[2] 플랫폼 종사자의 근무실태

 
3. 주⋅부업 유형별 변화  
▴주업형: 플랫폼 일자리 수입이 전체의 50% 이상 or 주당 20시간 이상 노동
▴부업형: 플랫폼 일자리 수입이 전체의 25~50% or 주당 10~20시간 노동
▴간헐적 참가형: 플랫폼 일자리 수입이 전체의 25% 미만 or 주당 10시간 미만 노동  


플랫폼 종사자 중 57.7%는 주업으로 해당 일을 하고 있는데 이는 작년 대비 47% 증가한 수치이다. 간헐적 참가형의 비중은 21.2%로 전년 대비  91.9% 증가했으나, 부업형의 비중은 21.1%로 전년 대비 35.8% 감소했다.

출처 : 2022.12.27. 한국고용정보원 , 근로기준정책관, 디지털노동대응TF 보도자료


4. 근무 현황  
플랫폼 이용 시 ‘어떠한 계약도 맺지 않았다’ 또는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3.4%로 전년(42.3%)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월평균 근무일수(14.9 → 14.7일) 및 일평균 근무시간(6.3 → 6.4h)은 전년 대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랫폼 노동으로 번 월평균 수입은  146.4만원으로 전년(123.1만원) 대비 18.9% 증가했다. 고용보험 가입률은 46.4%로 전년 대비 17.3%p, 산재보험 가입률은  36.5%로 전년 대비 6.4%p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직장 이동


5. 첫 번째 일자리 여부  
플랫폼 종사자 중에서 12.9%는 현재의 플랫폼 일자리가 본인의 첫 번째 일자리라고 응답하여 10명 중 1명 이상이 플랫폼 노동을 통해서 노동 시장에 최초로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플랫폼 일자리로 이동한 이유  직전 일자리에서 플랫폼 일자리로 이동한 1순위 이유로는 ‘더 많은 수입을 얻기 위해서’(62.6%), ‘일하는 시간이나 날짜의 선택이 가능해서’(18.0%),  ‘일에  있어서 개인이 더 많은 자율성과 권한을 가질 수 있어서’(6.9%)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다.



[4] 포스트 코로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변화


6. 수입  
최근 3개월(’22.9월~11월) 동안 1년 전에 비해 수입이 줄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48.0%로 수입이 늘었다고 응답한 비율인 24.7%에 비해 약  두 배가 높았다. 직종별로는 배달‧배송‧운전 직종에서는 수입이 감소했다는 응답률이  과반을 넘은 반면(55.0%), 웹 기반형 직종의 경우 1년 전에 비해 수입이 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출처 : 2022.12.27. 한국고용정보원 , 근로기준정책관, 디지털노동대응TF 보도자료


7. 이직 계획과 의향  
플랫폼 종사자 중 이직 의사가 있는 비율은 54.0%이며, 성별로 보면 남자 (52.0%)가 여자(46.0%)에 비해 이직 의사가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54.3%), 30대(52.2%), 20대(52.2%) 순으로 높았다. 직종별로는 가사‧청소‧돌봄(54.3%)과 배달‧배송‧운전(53.8%) 등 지역기반형  플랫폼 직종의 이직 의향이 비교적 높았고, 정보기술(IT) 관련 서비스, 미술 등 창작활동, 데이터 입력 등 단순 작업과 같은 웹 기반형 플랫폼  직종의 종사자는 이직 의향이 38~44% 수준으로 비교적 낮았다.

출처 : 2022.12.27. 한국고용정보원 , 근로기준정책관, 디지털노동대응TF 보도자료


8. 조사 해설 

이번 조사에 참여한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김준영)은 “이러한 플랫폼 종사자 규모 증가는 코로나19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 디지털 경제의  확산 등으로 가사‧청소‧돌봄, 미술 등 창작활동, 문 서비스 등 그간 오프 라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노무제공 분야가 점차 플랫폼 노동으로 전환 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플랫폼종사자 중에서 배달‧배송‧운전 직종이 차지하는 비중(75.9%→ 64.5%)이 크게 감소하고, 주업형과 간헐적 참가형으로 플랫폼 노동이  양분화되고 있다는 본 조사의 결과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의 최근  플랫폼 노동시장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한편,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관(김유진)은 “플랫폼을 매개로 한  다양한 고용형태 증가에도 불구하고 계약도 체결하지 않고 일하는 종사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플랫폼 종사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한 상황임”을 강조하면서, “내년부터 플랫폼 종사자가 노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보장받아야 할 권리(차별받지 않을 권리, 쉴 권리 등)를 중심으로 법‧제도적 보호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며, 이와 함께 직종별 표준(모범)계약서 제‧개정, 분쟁  해결시스템 마련 등을 통한 공정한 계약 관행 형성 및 플랫폼 종사자  일터개선 지원 등을 통한 안전한 일터 조성 등 정책적 보호 노력에도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 상세 결과는 한국고용정보원 누리집(www.keis.or)



매거진의 이전글 2.4. 플랫폼 노동의 제도적 환경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